이 연구는 광범위한 교감의 역할과 직무에 대해 교사들이 기대하는 수준과 수행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기대하는 수준과 수행하는 수준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교감상을 새롭게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 배경 변인(성별, 직위, 학교 규모, 경력)에 따라 교감의 직무 및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수준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배경 변인(성별, 직위, 학교 규모, 경력)에 따라 교감의 직무 및 역할의 실제 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감의 직무 및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실제 수행수준 간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역할의 개념, 역할의 종류와 속성, 역할지각, 역할기대를 중심으로 역할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고 교감의 법적 지위, 교감의 직무상 역할을 중심으로 교감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30개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29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김호기(2003)의 연구와 이인숙(2009)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로 하여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학교 구성원 간의 조정자 영역, 학교 교육계획 관리 영역,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 교직원 관리 및 교무업무 영역, 생활지도 영역, 사무․재무․시설 관리 영역, ...
이 연구는 광범위한 교감의 역할과 직무에 대해 교사들이 기대하는 수준과 수행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기대하는 수준과 수행하는 수준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교감상을 새롭게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 배경 변인(성별, 직위, 학교 규모, 경력)에 따라 교감의 직무 및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수준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배경 변인(성별, 직위, 학교 규모, 경력)에 따라 교감의 직무 및 역할의 실제 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감의 직무 및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실제 수행수준 간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역할의 개념, 역할의 종류와 속성, 역할지각, 역할기대를 중심으로 역할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고 교감의 법적 지위, 교감의 직무상 역할을 중심으로 교감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30개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29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김호기(2003)의 연구와 이인숙(2009)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로 하여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학교 구성원 간의 조정자 영역, 학교 교육계획 관리 영역,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 교직원 관리 및 교무업무 영역, 생활지도 영역, 사무․재무․시설 관리 영역, 지역사회 관계 영역의 총 7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질문 문항은 총 25개이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8.0을 이용하여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 분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검증을 실시하였고, 일원변량분석의 사후 검증으로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초등학교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수행수준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을 성별, 직위, 학교규모, 교직경력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성별, 교직경력에 따른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위, 학교규모에 따른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부장 교사는 평교사보다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5학급 이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는 36학급 이상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이 교감의 학교경영 업무 중 기대하는 영역은 교직원 관리 및 교무업무, 학교 구성원간의 조정자, 학교 교육 계획 관리, 생활지도, 지역사회 관계, 사무․재무․시설 관리,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감의 역할에 대해 교사들이 수행수준 인식이 높은 영역은 지역사회 관계, 학교 교육계획 관리, 생활지도, 교직원 관리 및 교무업무, 사무․재무․시설 관리, 학교 구성원간의 조정자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7개 모든 하위영역에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교사들은 7개 영역 모두에서 교감의 역할수행이 기대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에 비해 수행인식 수준인 낮은 영역은 교직원 관리 및 교무업무, 학교 구성원간의 조정자 영역이며 기대수준에 비해 수행인식 수준인 높은 영역은 지역사회 관계 영역이었다. 기대수준 순위와 수행수준 인식 순위 간에 차이가 없는 영역은 학교 교육계획 관리와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이었다.
이 연구는 광범위한 교감의 역할과 직무에 대해 교사들이 기대하는 수준과 수행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기대하는 수준과 수행하는 수준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바람직한 교감상을 새롭게 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추진하였다. 첫째, 배경 변인(성별, 직위, 학교 규모, 경력)에 따라 교감의 직무 및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기대 수준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배경 변인(성별, 직위, 학교 규모, 경력)에 따라 교감의 직무 및 역할의 실제 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수준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셋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감의 직무 및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실제 수행수준 간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는 역할의 개념, 역할의 종류와 속성, 역할지각, 역할기대를 중심으로 역할 이론에 대해 살펴보았고 교감의 법적 지위, 교감의 직무상 역할을 중심으로 교감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인천광역시 소재 30개 초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29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 도구는 김호기(2003)의 연구와 이인숙(2009)의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로 하여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학교 구성원 간의 조정자 영역, 학교 교육계획 관리 영역,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 교직원 관리 및 교무업무 영역, 생활지도 영역, 사무․재무․시설 관리 영역, 지역사회 관계 영역의 총 7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질문 문항은 총 25개이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 분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검증을 실시하였고, 일원변량분석의 사후 검증으로 Scheffe′검증을 실시하였다.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초등학교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수행수준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을 성별, 직위, 학교규모, 교직경력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성별, 교직경력에 따른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직위, 학교규모에 따른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부장 교사는 평교사보다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5학급 이하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는 36학급 이상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이 교감의 학교경영 업무 중 기대하는 영역은 교직원 관리 및 교무업무, 학교 구성원간의 조정자, 학교 교육 계획 관리, 생활지도, 지역사회 관계, 사무․재무․시설 관리,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감의 역할에 대해 교사들이 수행수준 인식이 높은 영역은 지역사회 관계, 학교 교육계획 관리, 생활지도, 교직원 관리 및 교무업무, 사무․재무․시설 관리, 학교 구성원간의 조정자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7개 모든 하위영역에서 기대수준과 수행수준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교사들은 7개 영역 모두에서 교감의 역할수행이 기대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감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에 비해 수행인식 수준인 낮은 영역은 교직원 관리 및 교무업무, 학교 구성원간의 조정자 영역이며 기대수준에 비해 수행인식 수준인 높은 영역은 지역사회 관계 영역이었다. 기대수준 순위와 수행수준 인식 순위 간에 차이가 없는 영역은 학교 교육계획 관리와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영역이었다.
This study aims at shedding new light on role model of vice-principal by looking into teachers'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broad duties and their level of cognition to vice-principals' execution, and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level of expectation and actual execution. To achieve t...
This study aims at shedding new light on role model of vice-principal by looking into teachers'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broad duties and their level of cognition to vice-principals' execution, and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level of expectation and actual execu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teachers' level of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role and dut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ex, post position, school scale and career)?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eachers' level of cognition to vice-principals' actual execution in their duty and rol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ex, post position, school scale and career)? Third, what is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ognition to level of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duty and role and actual level of execution? Research study about role theory focusing on the concept of role, attribute and sort of role, role perception, role expectations was implemented and role of vice-principal focusing on vice-principals' legal position and their official role. 298 teachers working for elementary schools in city of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urvey is comprised of 25 inquires and 7 areas which are the area of mediator among school members, management of school education plan,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supervision of school faculty and administration, student guidance work, administration of finance and facilities and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SPSS WIN 18.0 was used to analysis data and reliability coefficient(Cronbach's α) was used to analysis reliability of investigative tool. In stage of analysis the result,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o analysis teachers' level of expectation and cognition to vice-principals' rol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Scheffe' test also was used for post test. The matching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and cognition to vice-principals' rol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and cognition to vice-principals' role and actual execution according to teachers' post position and school scale.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s analysed by teachers' sex and school career. Second, teachers's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school administration area are supervision of school faculties and school administration, a mediator among school members, management of school education plan, student guidance work,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management of administration, finance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in order. Third, the area of vice-principals' role which has highly realized by teachers are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management of school education plan, student guidance work, supervision of school faculties and school administration, management of administration, finance and facilities and a mediator among school members in order. Four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7 subordinate areas examining difference between level of expectation and actual execution to vice-principals' role. That is, results show that teachers realize the level of vice-principals actual execution is under teachers' level of expectation. The areas under teachers'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role are supervision of school faculty and administration, a mediator among school faculties and the area over teachers's expectation is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There are no difference in the areas of management of school education plan and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key words: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 role expectation, role performance
This study aims at shedding new light on role model of vice-principal by looking into teachers'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broad duties and their level of cognition to vice-principals' execution, and by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etween level of expectation and actual execu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in teachers' level of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role and duty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ex, post position, school scale and career)?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eachers' level of cognition to vice-principals' actual execution in their duty and rol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ex, post position, school scale and career)? Third, what is difference between teachers' cognition to level of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duty and role and actual level of execution? Research study about role theory focusing on the concept of role, attribute and sort of role, role perception, role expectations was implemented and role of vice-principal focusing on vice-principals' legal position and their official role. 298 teachers working for elementary schools in city of Incheon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urvey is comprised of 25 inquires and 7 areas which are the area of mediator among school members, management of school education plan,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supervision of school faculty and administration, student guidance work, administration of finance and facilities and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SPSS WIN 18.0 was used to analysis data and reliability coefficient(Cronbach's α) was used to analysis reliability of investigative tool. In stage of analysis the result,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to analysis teachers' level of expectation and cognition to vice-principals' rol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 Scheffe' test also was used for post test. The matching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sis the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and cognition to vice-principals' rol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pectation and cognition to vice-principals' role and actual execution according to teachers' post position and school scale.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sults analysed by teachers' sex and school career. Second, teachers's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school administration area are supervision of school faculties and school administration, a mediator among school members, management of school education plan, student guidance work,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management of administration, finance and facilities and management of curriculum in order. Third, the area of vice-principals' role which has highly realized by teachers are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management of school education plan, student guidance work, supervision of school faculties and school administration, management of administration, finance and facilities and a mediator among school members in order. Fourth,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7 subordinate areas examining difference between level of expectation and actual execution to vice-principals' role. That is, results show that teachers realize the level of vice-principals actual execution is under teachers' level of expectation. The areas under teachers' expectation to vice-principals' role are supervision of school faculty and administration, a mediator among school faculties and the area over teachers's expectation is local community relationship. There are no difference in the areas of management of school education plan and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key words: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 role expectation, role performanc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