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부모 가정의 양육스트레스 실태와 이러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연구하고자, 한부모 가정이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의 수준, 사회적 지지의 수준,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다. 본 조사대상은 경기도와 서울에 소재하는 사회복지관의 한부모 자조모임이나 지역아동센타에 다니는 아동의 한부모 7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는 한부모 가정의 양육스트레스 실태와 이러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연구하고자, 한부모 가정이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의 수준, 사회적 지지의 수준,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다. 본 조사대상은 경기도와 서울에 소재하는 사회복지관의 한부모 자조모임이나 지역아동센타에 다니는 아동의 한부모 7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KOR.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분석에서는 한부모의 성별 요인과의 상관계수와 평균치와의 차이검증을 위해 독립표본의 t 검증과 One-way ANAVA를 하였고, 양육스트레스의 하위변인들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표준화계수(β, F, R²)를 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PSI)를 서혜영(199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측정도구는 박지원(1985)이 만든 척도를 장인규(1990)가 수정, 보완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가정의 전반적인 양육스트레스는 한부모가 여성인 모자(母子) 가정의 경우가 한부모가 남성인 부자(父子) 가정의 경우보다 양육 스트레스를 전반적으로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부모가 직장을 다닐 경우에 더 많은 양육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으로 인해 과중한 역할 부담을 가지고 자녀를 돌볼 시간적 여유도 없어져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책임감과 죄책감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커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부모 가정의 전반적인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지지를 하위 영역인 정서적 지지(M = 3.71), 평가적 지지(M = 3.70 ), 정보적 지지(M = 3.67 ), 물질적 지지(M = 3.44)가 모두 중간점수인 3점을 넘어 한부모가 느끼는 사회적 지지가 그다지 낮은 편을 아니었으며, 한부모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들 간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었다. 가장 많은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차원은 다중응답한 결과로 친구, 가족, 친척 지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사, 이웃, 성직자의 지원을 받는 경우는 적은 편이었다. 이처럼 아직까지 우리사회는 공식적인 지지보다는 비공식적인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인 면에서 좀더 공식적인 지지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전체적으로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면 사회적 지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인들과 사회적 하위요인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면 사회적 지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정의 양육스트레스 실태와 이러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사회적 복지적 서비스를 모색하고 한부모가정을 위한 복지 정책의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가 되고자 했다는 점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이들의 심리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로써 한부모의 심리적 건강의 향상을 위한 개입의 방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좀 더 구체화 될 수 있어야함은 물론,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보다 확실하게 제기하는 것이라 하겠다. 셋째, 한부모들의 양육스트레스 저하를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한부모의 경우 반드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본 연구는 한부모 가정의 양육스트레스 실태와 이러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를 연구하고자, 한부모 가정이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의 수준, 사회적 지지의 수준, 그리고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를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다. 본 조사대상은 경기도와 서울에 소재하는 사회복지관의 한부모 자조모임이나 지역아동센타에 다니는 아동의 한부모 79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KOR.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신뢰도 검증을 위해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분석에서는 한부모의 성별 요인과의 상관계수와 평균치와의 차이검증을 위해 독립표본의 t 검증과 One-way ANAVA를 하였고, 양육스트레스의 하위변인들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 변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표준화계수(β, F, R²)를 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Abidin(1990)의 Parenting Stress Index(PSI)를 서혜영(199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의 측정도구는 박지원(1985)이 만든 척도를 장인규(1990)가 수정, 보완한 것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 가정의 전반적인 양육스트레스는 한부모가 여성인 모자(母子) 가정의 경우가 한부모가 남성인 부자(父子) 가정의 경우보다 양육 스트레스를 전반적으로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부모가 직장을 다닐 경우에 더 많은 양육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으로 인해 과중한 역할 부담을 가지고 자녀를 돌볼 시간적 여유도 없어져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책임감과 죄책감으로 양육스트레스가 커진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한부모 가정의 전반적인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지지를 하위 영역인 정서적 지지(M = 3.71), 평가적 지지(M = 3.70 ), 정보적 지지(M = 3.67 ), 물질적 지지(M = 3.44)가 모두 중간점수인 3점을 넘어 한부모가 느끼는 사회적 지지가 그다지 낮은 편을 아니었으며, 한부모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들 간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었다. 가장 많은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차원은 다중응답한 결과로 친구, 가족, 친척 지원 순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복지사, 이웃, 성직자의 지원을 받는 경우는 적은 편이었다. 이처럼 아직까지 우리사회는 공식적인 지지보다는 비공식적인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인 면에서 좀더 공식적인 지지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 전체적으로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면 사회적 지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스트레스 하위 요인들과 사회적 하위요인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면 사회적 지지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한부모가정의 양육스트레스 실태와 이러한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사회적 복지적 서비스를 모색하고 한부모가정을 위한 복지 정책의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가 되고자 했다는 점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둘째, 한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이들의 심리적인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로써 한부모의 심리적 건강의 향상을 위한 개입의 방향과 사회복지사의 역할을 좀 더 구체화 될 수 있어야함은 물론, 사회적 지지의 필요성을 보다 확실하게 제기하는 것이라 하겠다. 셋째, 한부모들의 양육스트레스 저하를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사회적 지지가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한부모의 경우 반드시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