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습지를 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 대체서식지 계획 모형 : 군포시 당동 신기마을 맹꽁이 서식처를 사례로 A Planning model for a substitute habitat of wildlife based on wetland: case of Shinki village Dang dong in Gunpo city원문보기
서식지 파괴는 개체 수 감소와 생태 네트워크의 단절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로 이어져 생태계 파괴에까지 이르는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개발로 인한 서식처 파괴는 경제발전에 따른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볼 때 훼손위기에 있는 서식지에 대한 효율적인 보존대책과 복원방안, 대체서식지 조성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별도의 규제나 정책이 강제적이지 못함으로 인해 대체서식지 조성사업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실정으로 대체서식지 조성에 관한 연구는 특정 사업만을 대상으로 한 목표종 선정이나 입지선정 등 부분적인 연구만 진행되어 일반 사업지구에 적용할 수 있는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전 과정을 보여주는 일반화 된 계획모형의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개발 사업으로 인해 훼손될 위기에 있는 야생동물의 서식지 중 생물다양성이 가장 높은 습지를 서식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의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계획모형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에 따라 대체서식지 계획모형을 위한 개념적 틀을 개발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식지 보전가치 평가로서, 연구대상지역의 서식지분포를 조사한 후 보전가치평가를 실시하여 보전과 향상 복원의 방향을 설정하고, 보전할만한 가치가 있는 서식지 중에서 개발을 피할 수 없을 경우 ...
서식지 파괴는 개체 수 감소와 생태 네트워크의 단절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로 이어져 생태계 파괴에까지 이르는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개발로 인한 서식처 파괴는 경제발전에 따른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볼 때 훼손위기에 있는 서식지에 대한 효율적인 보존대책과 복원방안, 대체서식지 조성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별도의 규제나 정책이 강제적이지 못함으로 인해 대체서식지 조성사업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실정으로 대체서식지 조성에 관한 연구는 특정 사업만을 대상으로 한 목표종 선정이나 입지선정 등 부분적인 연구만 진행되어 일반 사업지구에 적용할 수 있는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전 과정을 보여주는 일반화 된 계획모형의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개발 사업으로 인해 훼손될 위기에 있는 야생동물의 서식지 중 생물다양성이 가장 높은 습지를 서식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의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계획모형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에 따라 대체서식지 계획모형을 위한 개념적 틀을 개발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식지 보전가치 평가로서, 연구대상지역의 서식지분포를 조사한 후 보전가치평가를 실시하여 보전과 향상 복원의 방향을 설정하고, 보전할만한 가치가 있는 서식지 중에서 개발을 피할 수 없을 경우 대체습지 조성을 결정하였다. 보전가치 평가법은 기존의 평가법에서 제시된 평가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지형에 적합하고 신속한 진행이 이루어져야 하는 개발사업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둘째, 대체해야 할 서식지의 야생동물을 조사하고 목표종 선정 기준에 의해 보전가치가 있는 생물종을 목표종으로 선정하고 목표종의 생태적 특성에 따른 서식지조건을 조사하여 종서식처 적합도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종서식처 적합도 평가기준은 입지선정과 대체서식지 조성계획 지표설정을 위한 기본항목으로 사용하였다. 셋째, 대체서식지 입지선정은 지형도, 수계도, 토지이용계획도와 같은 도면을 중심으로 한 실내평가에 의해 1차 조성후보지를 선정하고 생물서식기반환경 적합도, 종서식처 적합도, 인간의 간섭도를 평가항목으로 하여 마련한 평가기준에 의한 평가와 현장조사를 통해 조성입지를 선정하였다. 넷째, 대체서식지 조성계획 지표설정은 야생동물서식지 기능평가와 목표종의 서식지적합도 평가, 생물서식기반환경 적합도평가의 평가기준과 양서류의 생태적 특성에 의한 서식처 조성 기법에 의해 양서류 대체서식지 조성계획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념적 틀에서 제시된 계획모형을 사례 대상지에 적용하고 실제 조성공사를 시행하는 것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군포시 당동 신기마을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본 대체서식지 조성계획 모형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지역의 목표종은 멸종위기종인 맹꽁이를 선정하였고 대체서식지 조성 입지평가에 의해 3개의 후보지역 중 한곳을 조성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맹꽁이 대체서식지 조성계획지표를 기준으로 조성대상지에 대체서식지를 조성하였고 기존의 서식지에서 맹꽁이 성체와 올챙이를 포획하여 조성된 대체서식지에 방사하였다. 2) 대체서식지 조성의 최종 목적은 자연적 천이과정을 통한 생태계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 즉 외부로부터 종 이입과 자체 생활사 반복을 통한 생물서식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는 조성된 대체서식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함으로써 계획모형에 대한 검증을 통해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훼손되는 야생동물 서식지를 과학적인 기준에 의해 평가하여 보전과 복원의 방향을 정하고 훼손이 불가피할 경우 야생동물의 생태적 특성에 적합한 대체서식지를 조성하는 전 과정에 대한 계획모형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맹꽁이 대체서식지계획 모형은 맹꽁이 서식처뿐만 아니라 맹꽁이가 파충류나 대형조류의 먹이원이 됨으로 먹이사슬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생물종의 이입이 예상됨에 따라 종 다양도가 풍부한 습지서식지로서의 기능을 감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 대한 효과는 일반 개발 사업지구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계획모형을 사업 초기단계부터 적용함으로써 야생동물의 서식조건에 가장 적합한 환경을 계획할 수 있으며 대체서식지 뿐만 아니라 보호종의 서식지를 새롭게 조성하는 창출과 훼손된 서식지의 복원사업,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환경성 검토 등 제반 환경성평가 과정에도 적용가능하다.
서식지 파괴는 개체 수 감소와 생태 네트워크의 단절로 인한 생물다양성 감소로 이어져 생태계 파괴에까지 이르는 시급한 문제라 할 수 있다. 개발로 인한 서식처 파괴는 경제발전에 따른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볼 때 훼손위기에 있는 서식지에 대한 효율적인 보존대책과 복원방안, 대체서식지 조성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별도의 규제나 정책이 강제적이지 못함으로 인해 대체서식지 조성사업과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실정으로 대체서식지 조성에 관한 연구는 특정 사업만을 대상으로 한 목표종 선정이나 입지선정 등 부분적인 연구만 진행되어 일반 사업지구에 적용할 수 있는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전 과정을 보여주는 일반화 된 계획모형의 제시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따라 개발 사업으로 인해 훼손될 위기에 있는 야생동물의 서식지 중 생물다양성이 가장 높은 습지를 서식기반으로 하는 야생동물의 대체서식지 조성을 위한 계획모형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에 따라 대체서식지 계획모형을 위한 개념적 틀을 개발하였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식지 보전가치 평가로서, 연구대상지역의 서식지분포를 조사한 후 보전가치평가를 실시하여 보전과 향상 복원의 방향을 설정하고, 보전할만한 가치가 있는 서식지 중에서 개발을 피할 수 없을 경우 대체습지 조성을 결정하였다. 보전가치 평가법은 기존의 평가법에서 제시된 평가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지형에 적합하고 신속한 진행이 이루어져야 하는 개발사업에 적용 가능한 모델을 개발하였다. 둘째, 대체해야 할 서식지의 야생동물을 조사하고 목표종 선정 기준에 의해 보전가치가 있는 생물종을 목표종으로 선정하고 목표종의 생태적 특성에 따른 서식지조건을 조사하여 종서식처 적합도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종서식처 적합도 평가기준은 입지선정과 대체서식지 조성계획 지표설정을 위한 기본항목으로 사용하였다. 셋째, 대체서식지 입지선정은 지형도, 수계도, 토지이용계획도와 같은 도면을 중심으로 한 실내평가에 의해 1차 조성후보지를 선정하고 생물서식기반환경 적합도, 종서식처 적합도, 인간의 간섭도를 평가항목으로 하여 마련한 평가기준에 의한 평가와 현장조사를 통해 조성입지를 선정하였다. 넷째, 대체서식지 조성계획 지표설정은 야생동물서식지 기능평가와 목표종의 서식지적합도 평가, 생물서식기반환경 적합도평가의 평가기준과 양서류의 생태적 특성에 의한 서식처 조성 기법에 의해 양서류 대체서식지 조성계획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념적 틀에서 제시된 계획모형을 사례 대상지에 적용하고 실제 조성공사를 시행하는 것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군포시 당동 신기마을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고 본 대체서식지 조성계획 모형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지역의 목표종은 멸종위기종인 맹꽁이를 선정하였고 대체서식지 조성 입지평가에 의해 3개의 후보지역 중 한곳을 조성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개발된 맹꽁이 대체서식지 조성계획지표를 기준으로 조성대상지에 대체서식지를 조성하였고 기존의 서식지에서 맹꽁이 성체와 올챙이를 포획하여 조성된 대체서식지에 방사하였다. 2) 대체서식지 조성의 최종 목적은 자연적 천이과정을 통한 생태계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 즉 외부로부터 종 이입과 자체 생활사 반복을 통한 생물서식구조를 나타내는 것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는 조성된 대체서식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함으로써 계획모형에 대한 검증을 통해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훼손되는 야생동물 서식지를 과학적인 기준에 의해 평가하여 보전과 복원의 방향을 정하고 훼손이 불가피할 경우 야생동물의 생태적 특성에 적합한 대체서식지를 조성하는 전 과정에 대한 계획모형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맹꽁이 대체서식지계획 모형은 맹꽁이 서식처뿐만 아니라 맹꽁이가 파충류나 대형조류의 먹이원이 됨으로 먹이사슬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생물종의 이입이 예상됨에 따라 종 다양도가 풍부한 습지서식지로서의 기능을 감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 대한 효과는 일반 개발 사업지구에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계획모형을 사업 초기단계부터 적용함으로써 야생동물의 서식조건에 가장 적합한 환경을 계획할 수 있으며 대체서식지 뿐만 아니라 보호종의 서식지를 새롭게 조성하는 창출과 훼손된 서식지의 복원사업, 환경영향평가 및 사전환경성 검토 등 제반 환경성평가 과정에도 적용가능하다.
The destruction of habitats leads to decrease in diversity of living things due to decrease in number of individuals and discontinuance of ecological network and it might leads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which is very urgent matter. As the destruction of habitats is regarded as inevitable pheno...
The destruction of habitats leads to decrease in diversity of living things due to decrease in number of individuals and discontinuance of ecological network and it might leads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which is very urgent matter. As the destruction of habitats is regarded as inevitable phenomenon due to economic development, efficient preservation measure, restoration plan and preparation of alternative for damaged habitats is more demanded. The prepa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and relative research is not so active as relative regulation or policy is not compulsory, and the research on prepa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has been done partially such as selecting target species or site for specific business and therefore, generalized planning model which shows entire process of preparing alternative habitats is requir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general business sector. This study, in response to such a demand of time, aims to suggest a planning model for prepa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of wildlife live in wetland where has the highest variety of creatures living in among endangered habitats of wildlife due to development business. This study developed conceptual frame for alternative habitats planning model following such a goal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n evaluation for habitats preservation, we investigated habitats distribution of research target area, performed habitats evaluation for preservation to setup direction for preservation and improving restoration, and decided to prepare alternative wetland for any valuable habitats to be preserved when the development was unavoidable. We developed an evaluation method for preservation which is suitable for the topography of Korea and applicable for any development business which requires prompt progress based on existing evaluation methods. Secondly, we investigated wildlife of habitats to be replaced, selected target species with preservation value following the target species selection criteria, investigated habitats conditions following the ecological features of target species, and prepare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appropriateness of species habitat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appropriateness of species habitats was used as a basic item to select site and to setup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plan index. Thirdly, as for alternative habitats site selection, we selected 1st preparation sites proposed based on indoor evaluation centered on drawings such as topographical map, water system diagram and land use plan, and selected preparation sites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criteria prepared with evaluation items such as appropriateness of living environment for creatures, appropriateness for species to live, and degree of human interference. Fourthly, as for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plan index setup, we developed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plan model for amphibians according to habitats preparation method following ecological features of amphibians and to evaluation criteria of wildlife habitats functional evaluation, target species habitats appropriateness evaluation, and appropriateness evaluation for living environment of creatures. The study was performed by applying plan model suggested by conceptual frame to the target site and by executing actual preparation. We selected Sinki village, Dang-dong, Gunpo-city as target site of the study and applied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plan model and achieved the following results. 1) as for the target species of target site, we selected small round frog which is an endangered species and then we selected a target site out of three proposed sites according to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location evaluation. Based on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plan index for small round frog, we prepared alternative habitats on the target site and released grown small round frogs and tadpoles captured from the existing habitats to the prepared alternative habitats. 2) The ultimate goal of preparing alternative habitats is to make ecosystem construction through natural course of transition, namely, it should represent creatures habitats structure through importing species from the outside and repeating internal life. Therefore, as for following studies, continuous monitoring on the prepared alternative site shall be performed so that objective evaluation can be made through verification on the planning model.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a planning model for entire courses of preparing alternative habitats suitable for ecological feature of wildlife if damage of wildlife habitats is inevitable by fixing the direction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damaged wildlife habitats according to scientific criteria; the alternative habitats plan for small round frog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ring in various kinds of species by diversifying the food chain as small round frog is feed for the reptiles and large birds, and it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wetland habitats full of various kinds of species. As for the effect of this study, the planning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general development business areas from initial stage of business to plan the most appropriate environment for living conditions of wildlife and also can be applied to the creation of new habitats for protective species as well as alternative habitats and the restoration of damaged habitats, review on environmental influence evaluation, prior environmental feature review and other courses of environmental evaluation.
The destruction of habitats leads to decrease in diversity of living things due to decrease in number of individuals and discontinuance of ecological network and it might leads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which is very urgent matter. As the destruction of habitats is regarded as inevitable phenomenon due to economic development, efficient preservation measure, restoration plan and preparation of alternative for damaged habitats is more demanded. The prepa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and relative research is not so active as relative regulation or policy is not compulsory, and the research on prepa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has been done partially such as selecting target species or site for specific business and therefore, generalized planning model which shows entire process of preparing alternative habitats is required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general business sector. This study, in response to such a demand of time, aims to suggest a planning model for preparation of alternative habitats of wildlife live in wetland where has the highest variety of creatures living in among endangered habitats of wildlife due to development business. This study developed conceptual frame for alternative habitats planning model following such a goal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n evaluation for habitats preservation, we investigated habitats distribution of research target area, performed habitats evaluation for preservation to setup direction for preservation and improving restoration, and decided to prepare alternative wetland for any valuable habitats to be preserved when the development was unavoidable. We developed an evaluation method for preservation which is suitable for the topography of Korea and applicable for any development business which requires prompt progress based on existing evaluation methods. Secondly, we investigated wildlife of habitats to be replaced, selected target species with preservation value following the target species selection criteria, investigated habitats conditions following the ecological features of target species, and prepared evaluation criteria for the appropriateness of species habitats. The evaluation criteria for the appropriateness of species habitats was used as a basic item to select site and to setup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plan index. Thirdly, as for alternative habitats site selection, we selected 1st preparation sites proposed based on indoor evaluation centered on drawings such as topographical map, water system diagram and land use plan, and selected preparation sites through onsite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criteria prepared with evaluation items such as appropriateness of living environment for creatures, appropriateness for species to live, and degree of human interference. Fourthly, as for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plan index setup, we developed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plan model for amphibians according to habitats preparation method following ecological features of amphibians and to evaluation criteria of wildlife habitats functional evaluation, target species habitats appropriateness evaluation, and appropriateness evaluation for living environment of creatures. The study was performed by applying plan model suggested by conceptual frame to the target site and by executing actual preparation. We selected Sinki village, Dang-dong, Gunpo-city as target site of the study and applied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plan model and achieved the following results. 1) as for the target species of target site, we selected small round frog which is an endangered species and then we selected a target site out of three proposed sites according to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location evaluation. Based on alternative habitats preparation plan index for small round frog, we prepared alternative habitats on the target site and released grown small round frogs and tadpoles captured from the existing habitats to the prepared alternative habitats. 2) The ultimate goal of preparing alternative habitats is to make ecosystem construction through natural course of transition, namely, it should represent creatures habitats structure through importing species from the outside and repeating internal life. Therefore, as for following studies, continuous monitoring on the prepared alternative site shall be performed so that objective evaluation can be made through verification on the planning model.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is a planning model for entire courses of preparing alternative habitats suitable for ecological feature of wildlife if damage of wildlife habitats is inevitable by fixing the direction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damaged wildlife habitats according to scientific criteria; the alternative habitats plan for small round frog sugges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ring in various kinds of species by diversifying the food chain as small round frog is feed for the reptiles and large birds, and it is expected to function as a wetland habitats full of various kinds of species. As for the effect of this study, the planning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general development business areas from initial stage of business to plan the most appropriate environment for living conditions of wildlife and also can be applied to the creation of new habitats for protective species as well as alternative habitats and the restoration of damaged habitats, review on environmental influence evaluation, prior environmental feature review and other courses of environmental evalu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