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한국의 연극계에는 탈 리얼리즘 희곡의 영향을 받은 실험성 강한 연극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강백 역시 이 시기에 현실을 은유적으로 비판한 신진 작가로 주목받기 시작하여 지금까지도 꾸준한 작품활동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해 오고 있다. 특히 그의 핵심적 극작법인 알레고리 기법은 작가가 세계를 인식하는 틀과 방법론의 소산이다. 하지만 그간 진행되어온 이강백에 관한 연구에서는 작가의 세계관이라는 부분이 간과되어 왔다. 따라서 본고는 이강백의 희곡에서 나타나는 세계관의 변화과정을 198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세계관의 변화과정을 논함에 있어 1980년대 작품에 주목하는 이유는 작가의 80년대 작품에서 두 가지 뚜렷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가지 경향 중 그 하나는 알레고리가 약화되고 사실성이 강화된 작품들이고, 또 하나는 한국적 설화 세계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인데, 각각의 작품분석을 통해 작가의 세계인식의 변화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론의 1장에서는 80년대에 발표한 작품 중 대립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비관적 세계인식을 드러내는 「족보」, 「쥬라기의 사람들」, 「호모 세파라투스」,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를 ...
1970년대 한국의 연극계에는 탈 리얼리즘 희곡의 영향을 받은 실험성 강한 연극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강백 역시 이 시기에 현실을 은유적으로 비판한 신진 작가로 주목받기 시작하여 지금까지도 꾸준한 작품활동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해 오고 있다. 특히 그의 핵심적 극작법인 알레고리 기법은 작가가 세계를 인식하는 틀과 방법론의 소산이다. 하지만 그간 진행되어온 이강백에 관한 연구에서는 작가의 세계관이라는 부분이 간과되어 왔다. 따라서 본고는 이강백의 희곡에서 나타나는 세계관의 변화과정을 198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세계관의 변화과정을 논함에 있어 1980년대 작품에 주목하는 이유는 작가의 80년대 작품에서 두 가지 뚜렷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가지 경향 중 그 하나는 알레고리가 약화되고 사실성이 강화된 작품들이고, 또 하나는 한국적 설화 세계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인데, 각각의 작품분석을 통해 작가의 세계인식의 변화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론의 1장에서는 80년대에 발표한 작품 중 대립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비관적 세계인식을 드러내는 「족보」, 「쥬라기의 사람들」, 「호모 세파라투스」,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이 작품들에서 작가는 성서적 모티프를 차용, 현실 사회의 문제 해결을 개인의 죄의식과 반성, 희생을 통해 이룰 수 있다는 세계인식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사회현실에 대한 해결책의 제시일 뿐 작가의 세계인식은 비관적 태도에 머물러 있다. 2장에서는 「봄날」, 「비옹사옹」, 「칠산리」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이 작품들에서 작가는 한국적 설화 모티프를 차용, 설화세계가 갖는 교훈적인 요소나 세계관을 수용하여 작품의 주제와 연결시키고 있다. 특히 한국적 설화에 내재돼 있는 일체론적 사고와 작품 속 인물에서 보이는 구원자적 모성 이미지를 통해 작가는 대립적 세계관을 지양하고 화해와 합일을 추구하는 세계인식을 형상화하고 있다. 80년대 작품에서 이러한 변화를 뚜렷이 볼 수 있는 것은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함께 작가 자신의 ‘사회 체험’과 관련이 있다. 등단 이후부터 사회 현실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던 작가는 그 당시 사회운동적 종교단체인 크리스챤 아카데미 활동을 통해 사회를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었고, 이것이 바탕이 되어 80년대 초기에 사실성이 강화된 작품들을 발표하게 되었다. 사실성을 강화한 작품에서 작가는 사회 부조리를 타파하기 위한 방법들을 고민했지만 현실 사회에서 그 희망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작가는 80년대 후반의 작품에서 한국적 설화를 차용, 화해와 포용의 세계를 표현하게 된 것이다. 본고는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세계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작가의 작품을 주제나 기법적인 측면이 아닌 세계인식의 관점에서 분석한 본 논문을 통해 작품 해석의 다양성을 넓혔다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앞으로 80년대라는 한 시기에만 머물지 않고 다양한 작품들에 대한 세계인식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1970년대 한국의 연극계에는 탈 리얼리즘 희곡의 영향을 받은 실험성 강한 연극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강백 역시 이 시기에 현실을 은유적으로 비판한 신진 작가로 주목받기 시작하여 지금까지도 꾸준한 작품활동으로 자신만의 독특한 작품 세계를 구축해 오고 있다. 특히 그의 핵심적 극작법인 알레고리 기법은 작가가 세계를 인식하는 틀과 방법론의 소산이다. 하지만 그간 진행되어온 이강백에 관한 연구에서는 작가의 세계관이라는 부분이 간과되어 왔다. 따라서 본고는 이강백의 희곡에서 나타나는 세계관의 변화과정을 198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세계관의 변화과정을 논함에 있어 1980년대 작품에 주목하는 이유는 작가의 80년대 작품에서 두 가지 뚜렷한 경향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가지 경향 중 그 하나는 알레고리가 약화되고 사실성이 강화된 작품들이고, 또 하나는 한국적 설화 세계를 바탕으로 한 작품들인데, 각각의 작품분석을 통해 작가의 세계인식의 변화과정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론의 1장에서는 80년대에 발표한 작품 중 대립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비관적 세계인식을 드러내는 「족보」, 「쥬라기의 사람들」, 「호모 세파라투스」, 「유토피아를 먹고 잠들다」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이 작품들에서 작가는 성서적 모티프를 차용, 현실 사회의 문제 해결을 개인의 죄의식과 반성, 희생을 통해 이룰 수 있다는 세계인식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사회현실에 대한 해결책의 제시일 뿐 작가의 세계인식은 비관적 태도에 머물러 있다. 2장에서는 「봄날」, 「비옹사옹」, 「칠산리」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이 작품들에서 작가는 한국적 설화 모티프를 차용, 설화세계가 갖는 교훈적인 요소나 세계관을 수용하여 작품의 주제와 연결시키고 있다. 특히 한국적 설화에 내재돼 있는 일체론적 사고와 작품 속 인물에서 보이는 구원자적 모성 이미지를 통해 작가는 대립적 세계관을 지양하고 화해와 합일을 추구하는 세계인식을 형상화하고 있다. 80년대 작품에서 이러한 변화를 뚜렷이 볼 수 있는 것은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함께 작가 자신의 ‘사회 체험’과 관련이 있다. 등단 이후부터 사회 현실에 적극적인 관심을 보였던 작가는 그 당시 사회운동적 종교단체인 크리스챤 아카데미 활동을 통해 사회를 구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었고, 이것이 바탕이 되어 80년대 초기에 사실성이 강화된 작품들을 발표하게 되었다. 사실성을 강화한 작품에서 작가는 사회 부조리를 타파하기 위한 방법들을 고민했지만 현실 사회에서 그 희망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작가는 80년대 후반의 작품에서 한국적 설화를 차용, 화해와 포용의 세계를 표현하게 된 것이다. 본고는 그동안 논의되지 않았던 이강백 희곡에 나타난 세계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작가의 작품을 주제나 기법적인 측면이 아닌 세계인식의 관점에서 분석한 본 논문을 통해 작품 해석의 다양성을 넓혔다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앞으로 80년대라는 한 시기에만 머물지 않고 다양한 작품들에 대한 세계인식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e domestic theatrical world in the 1970s witnessed the advent of experimental spirit-oriented plays which were influenced by surrealistic plays. In that period, Lee Gang-baek came to the fore as a rising writer who criticized reality metaphorically. Since then, he has steadily carried out his acti...
The domestic theatrical world in the 1970s witnessed the advent of experimental spirit-oriented plays which were influenced by surrealistic plays. In that period, Lee Gang-baek came to the fore as a rising writer who criticized reality metaphorically. Since then, he has steadily carried out his activity and constructed his unique world of literary works. Especially, his core dramaturgy of allegory technique is the result of his recognizant frame and methodology of the world. However, preceding studies on him overlooked his view of the world. In this regar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Lee Gang-baek's view of the world, focusing on his plays in the 1980s. The reason why the investigator focuses on the plays in the 1980s to discuss the changes of his view of the world is in that his plays in that period reveal two remarkable tendencies. First, he wrote such plays of which allegory was weakened but reality was strengthened, And second, he wrote such plays of which foundation was Korean world of legends. Based on these two tendencies, the investigator analyzed his plays to find out the changes of his view of the world. First, in the first chapter of main subject, the investigator analyzed his such plays as 「Genealogy」, 「Jurassic People」, 「Homo Separatus」, and 「Falling Asleep After Taking in Utopia」 which were published in the 1980s and remarkable with his pessimistic view of the world on the basis of confrontational world view. In these plays, the writer borrowed biblical motif and presented such a view of the world that social problems could be solved through individuals' sacrifice and repentance of guilty sense. However, this view was just his suggestion for the settlement of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His view of the world was still pessimistic. In the second chapter, the investigator analyzed 「Spring Days」, 「Biongsaong」, and 「Chilsanri」. In these plays, the writer borrowed the motif of Korean legends and then adopted its instructive elements or world views, thus connecting it with the themes of plays. Especially, the writer stopped confrontational view of the world and then materialized the reconciliatory and unitary recognition of the world by means of the unitary way of thinking that was inherent in Korean legends and saver-like motherly affection that was presented by characters. Such a distinctive change in his plays in the 1980s seems to be derived from the background of the time and his social experience. He has been actively concerned about social reality, since his entrance into Korean literary circles. He could have a concrete experience about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activities in the Christian Academy, a social movement-oriented religious organization. And based on the experience, he could publish reality-reinforced plays in the 1980s. In those plays, the writer tried to destruct social irrationality, but he found no hope in real society. Thus, he borrowed the motif of Korean legends and then presented the world of reconciliation and tolerance in his plays in the late days of the 1980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iew of the world presented in Lee Gang-baek's plays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up to date. The investigator analyzes his plays not in the aspect of themes or techniques but in the aspect of view of the world, thus hopefully diversifying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works. The investigator hopes future studies on him deal with a variety of his literary works in addition to the studies on his plays in the 1980s.
The domestic theatrical world in the 1970s witnessed the advent of experimental spirit-oriented plays which were influenced by surrealistic plays. In that period, Lee Gang-baek came to the fore as a rising writer who criticized reality metaphorically. Since then, he has steadily carried out his activity and constructed his unique world of literary works. Especially, his core dramaturgy of allegory technique is the result of his recognizant frame and methodology of the world. However, preceding studies on him overlooked his view of the world. In this regar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of Lee Gang-baek's view of the world, focusing on his plays in the 1980s. The reason why the investigator focuses on the plays in the 1980s to discuss the changes of his view of the world is in that his plays in that period reveal two remarkable tendencies. First, he wrote such plays of which allegory was weakened but reality was strengthened, And second, he wrote such plays of which foundation was Korean world of legends. Based on these two tendencies, the investigator analyzed his plays to find out the changes of his view of the world. First, in the first chapter of main subject, the investigator analyzed his such plays as 「Genealogy」, 「Jurassic People」, 「Homo Separatus」, and 「Falling Asleep After Taking in Utopia」 which were published in the 1980s and remarkable with his pessimistic view of the world on the basis of confrontational world view. In these plays, the writer borrowed biblical motif and presented such a view of the world that social problems could be solved through individuals' sacrifice and repentance of guilty sense. However, this view was just his suggestion for the settlement of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His view of the world was still pessimistic. In the second chapter, the investigator analyzed 「Spring Days」, 「Biongsaong」, and 「Chilsanri」. In these plays, the writer borrowed the motif of Korean legends and then adopted its instructive elements or world views, thus connecting it with the themes of plays. Especially, the writer stopped confrontational view of the world and then materialized the reconciliatory and unitary recognition of the world by means of the unitary way of thinking that was inherent in Korean legends and saver-like motherly affection that was presented by characters. Such a distinctive change in his plays in the 1980s seems to be derived from the background of the time and his social experience. He has been actively concerned about social reality, since his entrance into Korean literary circles. He could have a concrete experience about contemporary society through the activities in the Christian Academy, a social movement-oriented religious organization. And based on the experience, he could publish reality-reinforced plays in the 1980s. In those plays, the writer tried to destruct social irrationality, but he found no hope in real society. Thus, he borrowed the motif of Korean legends and then presented the world of reconciliation and tolerance in his plays in the late days of the 1980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iew of the world presented in Lee Gang-baek's plays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up to date. The investigator analyzes his plays not in the aspect of themes or techniques but in the aspect of view of the world, thus hopefully diversifying the interpretation of literary works. The investigator hopes future studies on him deal with a variety of his literary works in addition to the studies on his plays in the 1980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