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갯벌은 그 동안 매립·간척에 의해 많은 훼손이 있어왔다. 특히 방조제 건설은 갯벌 훼손이라는 사회적 문제와 함께 오염 문제를 유발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의 복원을 위해 갯벌의 특징인 수문, 토양, 생물의 복원이 있어야하며 본 연구에서는 외국사례와 국내 현황에 따라 각 방법들을 도출하였고, 복원대상지로 설정된 지역에 대한 복원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조제 건설은 해수 소통을 막아 생태계 환경의 변화와 오염을 가중시키는 것과 함께 내부 개발을 위해 갯벌을 훼손하게 된다. 방조제 건설로 인한 환경변화의 과학적인 정보는 부족한 현실이지만 최근 수질오염으로 인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실행된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 복원의 예가 없는 실정이며, 본 연구는 많은 문제점을 지니는 방조제 건설로 매립·간척된 갯벌을 복원함은 물론 자연환경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실행될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 복원의 최초 연구로서, 국내 복원사업 실행 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목적과 다른 용도로 이용되거나, 다른 생태계에 오염을 유발하는 지역, 복원과 관련된 계획이 있거나 실행되었던 지역에 대해 복원 대상지 선정 기준으로 하였다. 복원대상지로는 농업용지, ...
우리나라 갯벌은 그 동안 매립·간척에 의해 많은 훼손이 있어왔다. 특히 방조제 건설은 갯벌 훼손이라는 사회적 문제와 함께 오염 문제를 유발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의 복원을 위해 갯벌의 특징인 수문, 토양, 생물의 복원이 있어야하며 본 연구에서는 외국사례와 국내 현황에 따라 각 방법들을 도출하였고, 복원대상지로 설정된 지역에 대한 복원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조제 건설은 해수 소통을 막아 생태계 환경의 변화와 오염을 가중시키는 것과 함께 내부 개발을 위해 갯벌을 훼손하게 된다. 방조제 건설로 인한 환경변화의 과학적인 정보는 부족한 현실이지만 최근 수질오염으로 인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실행된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 복원의 예가 없는 실정이며, 본 연구는 많은 문제점을 지니는 방조제 건설로 매립·간척된 갯벌을 복원함은 물론 자연환경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실행될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 복원의 최초 연구로서, 국내 복원사업 실행 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목적과 다른 용도로 이용되거나, 다른 생태계에 오염을 유발하는 지역, 복원과 관련된 계획이 있거나 실행되었던 지역에 대해 복원 대상지 선정 기준으로 하였다. 복원대상지로는 농업용지, 담수호, 염전, 양식장, 나대지로 구분되었으며, 각 지역에 대한 현황파악을 실시하였다. 둘째, 갯벌의 특성인 수문, 토양, 생물의 복원방법들을 조사하여 제시하였으며, 수문복원의 경우 방조제 제거, 수로개설, 배수갑문을 활용한 상시개방의 방법이 있으며, 토양복원은 표토제거, 준설, 준설토를 활용하는 방법이 복원에 사용될 수 있다. 생물복원은 물리적 환경변화에 따른 자연적인 천이 유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목적에 따라 대상종을 도입할 수 있다. 셋째, 복원대상지로 선정된 농업용지, 담수호, 염전, 양식장, 나대지에 대해 방조제와 농업용지로 이용되는 경우와 담수호와 농업용지가 같이 존재하는 경우로 구분하였으며, 폐염전과 폐양식장은 나대지에 포함시켜 각각의 복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 복원을 위한 복원대상지 선정과 수문, 토양, 생물 복원의 방법, 각 복원대상지에 대한 복원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제한된 자료의 이용으로 적용과정에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구체적인 대상지의 상태나 이해당사자간의 의견 조율, 복원목적과 목표의 설정을 통해 실제 갯벌복원 적용과정에서 다른 형태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리나라 갯벌은 그 동안 매립·간척에 의해 많은 훼손이 있어왔다. 특히 방조제 건설은 갯벌 훼손이라는 사회적 문제와 함께 오염 문제를 유발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의 복원을 위해 갯벌의 특징인 수문, 토양, 생물의 복원이 있어야하며 본 연구에서는 외국사례와 국내 현황에 따라 각 방법들을 도출하였고, 복원대상지로 설정된 지역에 대한 복원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방조제 건설은 해수 소통을 막아 생태계 환경의 변화와 오염을 가중시키는 것과 함께 내부 개발을 위해 갯벌을 훼손하게 된다. 방조제 건설로 인한 환경변화의 과학적인 정보는 부족한 현실이지만 최근 수질오염으로 인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아직까지 국내에서 실행된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 복원의 예가 없는 실정이며, 본 연구는 많은 문제점을 지니는 방조제 건설로 매립·간척된 갯벌을 복원함은 물론 자연환경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앞으로 실행될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 복원의 최초 연구로서, 국내 복원사업 실행 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획된 목적과 다른 용도로 이용되거나, 다른 생태계에 오염을 유발하는 지역, 복원과 관련된 계획이 있거나 실행되었던 지역에 대해 복원 대상지 선정 기준으로 하였다. 복원대상지로는 농업용지, 담수호, 염전, 양식장, 나대지로 구분되었으며, 각 지역에 대한 현황파악을 실시하였다. 둘째, 갯벌의 특성인 수문, 토양, 생물의 복원방법들을 조사하여 제시하였으며, 수문복원의 경우 방조제 제거, 수로개설, 배수갑문을 활용한 상시개방의 방법이 있으며, 토양복원은 표토제거, 준설, 준설토를 활용하는 방법이 복원에 사용될 수 있다. 생물복원은 물리적 환경변화에 따른 자연적인 천이 유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목적에 따라 대상종을 도입할 수 있다. 셋째, 복원대상지로 선정된 농업용지, 담수호, 염전, 양식장, 나대지에 대해 방조제와 농업용지로 이용되는 경우와 담수호와 농업용지가 같이 존재하는 경우로 구분하였으며, 폐염전과 폐양식장은 나대지에 포함시켜 각각의 복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방조제 건설로 훼손된 갯벌 복원을 위한 복원대상지 선정과 수문, 토양, 생물 복원의 방법, 각 복원대상지에 대한 복원방안을 제시하였으나, 제한된 자료의 이용으로 적용과정에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구체적인 대상지의 상태나 이해당사자간의 의견 조율, 복원목적과 목표의 설정을 통해 실제 갯벌복원 적용과정에서 다른 형태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idal flats are breeding and nursery grounds for mollusks and fish. They also have function of water purification and characterized by a high productivity that supports important coastal fisheries. However, many tidal flats were reclaimed for agricultural land, industrial sites and urban areas and s...
Tidal flats are breeding and nursery grounds for mollusks and fish. They also have function of water purification and characterized by a high productivity that supports important coastal fisheries. However, many tidal flats were reclaimed for agricultural land, industrial sites and urban areas and so forth. Especially the reclamation site where constructed sea dike have damaged not only the tidal flat but also the neighborhood of sit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specific restoration plan. The plan starts to research the status of damaged tidal flats through sea dike construction and hydrologic restoration by dike removal or section breaching. Then soil improvement and organism introduction should be considered.
Tidal flats are breeding and nursery grounds for mollusks and fish. They also have function of water purification and characterized by a high productivity that supports important coastal fisheries. However, many tidal flats were reclaimed for agricultural land, industrial sites and urban areas and so forth. Especially the reclamation site where constructed sea dike have damaged not only the tidal flat but also the neighborhood of sit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specific restoration plan. The plan starts to research the status of damaged tidal flats through sea dike construction and hydrologic restoration by dike removal or section breaching. Then soil improvement and organism introduction should be consider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