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합성명사의 유형과 음운적·형태적·통사적·의미적 특징을 대조 연구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베트남 학습자들이 좀 더 쉽게 합성명사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합성명사의 품사와 의미에 의한 유형을 대조 분석하였다. 베트남어보다 한국어 합성명사 형성에 참여하는 품사가 더 다양함을 알게 되었다. 한국어 합성어에는 후행 요소의 품사가 합성어의 전체의 품사를 나타낸다. 반대로, 베트남어 합성어에는 선행 요소의 품사가 합성어의 전체의 품사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한국어 합성명사의 후행 요소는 명사이어야 하고, 선행 요소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수사, 대명사, 부사 중에 하나이다. 반대로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선행 요소는 명사이어야 하고, 후행 요소는 명사, 형용사, 동사, 수사, 대명사 중에 하나이다. 이는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 합성명사를 암기하는데 하나의 어려움이다. 3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합성명사의 음운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국어 합성명사는 구성 요소의 사이를 띄어 쓸 수 없으나 베트남어는 고립어이기 때문에 베트남어 합성명사는 구성 요소를 띄어 써야 된다. 즉 한국어 합성명사 사이에는 폐쇄 ...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합성명사의 유형과 음운적·형태적·통사적·의미적 특징을 대조 연구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베트남 학습자들이 좀 더 쉽게 합성명사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합성명사의 품사와 의미에 의한 유형을 대조 분석하였다. 베트남어보다 한국어 합성명사 형성에 참여하는 품사가 더 다양함을 알게 되었다. 한국어 합성어에는 후행 요소의 품사가 합성어의 전체의 품사를 나타낸다. 반대로, 베트남어 합성어에는 선행 요소의 품사가 합성어의 전체의 품사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한국어 합성명사의 후행 요소는 명사이어야 하고, 선행 요소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수사, 대명사, 부사 중에 하나이다. 반대로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선행 요소는 명사이어야 하고, 후행 요소는 명사, 형용사, 동사, 수사, 대명사 중에 하나이다. 이는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 합성명사를 암기하는데 하나의 어려움이다. 3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합성명사의 음운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국어 합성명사는 구성 요소의 사이를 띄어 쓸 수 없으나 베트남어는 고립어이기 때문에 베트남어 합성명사는 구성 요소를 띄어 써야 된다. 즉 한국어 합성명사 사이에는 폐쇄 연접이 오나, 베트남어 합성명사 사이에는 개방 연접이 개재된 것이다. 베트남어 합성명사는 음운변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나 한국어 합성명사는 다양한 음운변동 현상(경음화, 음운 탈락, 음운 첨가)이 일어남을 알았다. 따라서,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공부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는 부분 중에 하나가 음운변화 현상이다. 베트남어는 음운변화가 일어나지 동의유사음(同意類似音) 현상이라는 것이 있다. 어떤 A+B라는 합성명사에 A와 뜻이 같고 음이 비슷한 A’를 대체하여 써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합성명사의 형태․통사론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국 종속합성명사는 앞에 수식어가 오고 뒤에 핵심어가 오지만 베트남 종속합성명사는 앞에 핵심어가 오고 뒤에 수식어가 온다. 양국 종속 합성명사의 구성 요소의 배열순서가 바뀔 수 없다. 앞뒤 구성 요소는 수식 관계로 이루기 때문에 순서가 바뀌면 뜻도 달라진다. 양국 대등 합성명사의 구성 요소의 배열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앞뒤 구성 요소는 대등 관계를 이루기 때문에 순서를 바꿔도 의미가 다르지 않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선후행 요소는 의미적으로 밀착되어 있어서 선후행 요소 사이에 다른 단어를 삽입할 수 없다. 양국 합성명사의 한 구성요소만이 수식받을 수는 없다. 한국어는 교착어로서 합성명사의 직접 구성 요소는 단어, 어간, 어근, 어미이지만 베트남어는 고립어로서 합성명사의 직접 구성 요소는 단어이다. 양국 합성명사의 구성 요소는 공통적으로 문장의 구성 요소 간에 존재하는 관계와 비슷한 관계를 가진다. 가장 중요한 관계는 핵심어 - 수식어, 술어 - 논항, 그리고 동격관계이다. 5장에는 한국과 베트남의 합성명사의 의미론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합성명사는 선후행 요소가 결합될 때 두 의미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의미의 변화를 일으킨 공통적인 의미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합성 명사의 의미변화 유형은 [A+B = AB], [A+B = AB 또는 C],[ A+B = C], [A+B = A’B], [A+B = AB’]의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의미변화 유형은 [A+B=AB], [A+B = AB 또는 C], [A+B=C], [A+B=A B’]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베트남 학습자들이 좀 더 쉽게 한국어 합성명사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합성명사의 유형과 음운적․형태적․통사적․의미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어와 베트남어에서 가장 생산성이 높은 합성명사의 유형과 음운적·형태적·통사적·의미적 특징을 대조 연구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보고 베트남 학습자들이 좀 더 쉽게 합성명사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돕는데 있다. 살펴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합성명사의 품사와 의미에 의한 유형을 대조 분석하였다. 베트남어보다 한국어 합성명사 형성에 참여하는 품사가 더 다양함을 알게 되었다. 한국어 합성어에는 후행 요소의 품사가 합성어의 전체의 품사를 나타낸다. 반대로, 베트남어 합성어에는 선행 요소의 품사가 합성어의 전체의 품사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한국어 합성명사의 후행 요소는 명사이어야 하고, 선행 요소는 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수사, 대명사, 부사 중에 하나이다. 반대로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선행 요소는 명사이어야 하고, 후행 요소는 명사, 형용사, 동사, 수사, 대명사 중에 하나이다. 이는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 합성명사를 암기하는데 하나의 어려움이다. 3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합성명사의 음운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국어 합성명사는 구성 요소의 사이를 띄어 쓸 수 없으나 베트남어는 고립어이기 때문에 베트남어 합성명사는 구성 요소를 띄어 써야 된다. 즉 한국어 합성명사 사이에는 폐쇄 연접이 오나, 베트남어 합성명사 사이에는 개방 연접이 개재된 것이다. 베트남어 합성명사는 음운변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으나 한국어 합성명사는 다양한 음운변동 현상(경음화, 음운 탈락, 음운 첨가)이 일어남을 알았다. 따라서, 베트남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공부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는 부분 중에 하나가 음운변화 현상이다. 베트남어는 음운변화가 일어나지 동의유사음(同意類似音) 현상이라는 것이 있다. 어떤 A+B라는 합성명사에 A와 뜻이 같고 음이 비슷한 A’를 대체하여 써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한국과 베트남 합성명사의 형태․통사론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국 종속합성명사는 앞에 수식어가 오고 뒤에 핵심어가 오지만 베트남 종속합성명사는 앞에 핵심어가 오고 뒤에 수식어가 온다. 양국 종속 합성명사의 구성 요소의 배열순서가 바뀔 수 없다. 앞뒤 구성 요소는 수식 관계로 이루기 때문에 순서가 바뀌면 뜻도 달라진다. 양국 대등 합성명사의 구성 요소의 배열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앞뒤 구성 요소는 대등 관계를 이루기 때문에 순서를 바꿔도 의미가 다르지 않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선후행 요소는 의미적으로 밀착되어 있어서 선후행 요소 사이에 다른 단어를 삽입할 수 없다. 양국 합성명사의 한 구성요소만이 수식받을 수는 없다. 한국어는 교착어로서 합성명사의 직접 구성 요소는 단어, 어간, 어근, 어미이지만 베트남어는 고립어로서 합성명사의 직접 구성 요소는 단어이다. 양국 합성명사의 구성 요소는 공통적으로 문장의 구성 요소 간에 존재하는 관계와 비슷한 관계를 가진다. 가장 중요한 관계는 핵심어 - 수식어, 술어 - 논항, 그리고 동격관계이다. 5장에는 한국과 베트남의 합성명사의 의미론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한국어와 베트남어 합성명사는 선후행 요소가 결합될 때 두 의미의 단순한 합이 아니라,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의미의 변화를 일으킨 공통적인 의미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 합성 명사의 의미변화 유형은 [A+B = AB], [A+B = AB 또는 C],[ A+B = C], [A+B = A’B], [A+B = AB’]의 다섯 가지로 분류된다. 베트남어 합성명사의 의미변화 유형은 [A+B=AB], [A+B = AB 또는 C], [A+B=C], [A+B=A B’]의 네 가지로 분류된다. 베트남 학습자들이 좀 더 쉽게 한국어 합성명사의 의미를 파악하여 자연스럽게 한국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합성명사의 유형과 음운적․형태적․통사적․의미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