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은 ‘사료학’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역사라는 학문에서 사료가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사가가 사료를 통해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을 교육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은 꾸준히 있어왔고, 역사를 교육하는 현장에서도 교사들이 사료를 역사 수업에 도입하여 실제 역사가가 과거를 재구성해가는 과정을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입시 위주의 교육과 국사과목의 적은 시수 등의 이유로 실제 사료학습을 실시하는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사료학습을 적용하기 어려웠던 또 다른 이유로는 학생의 수준에 적합한가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역사가 『국사』교과서에 담긴 사실을 진리로 받아들이고, 암기 위주의 ‘재미 없는 과목’이라는 인식이 두드러지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따라서 사료를 통해 역사적 사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겪어봄으로써 교과서의 내용을 비판해 보며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시켜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역사적 사고력 뿐만 아니라 자료처리능력도 함께 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의 Ⅱ장에서는 역사가의 연구방법에 대해 재정리해 보았다. 역사가의 연구방법은 ‘사료의 수집 및 분류→사료의 비판→사료의 종합 및 정리→역사 서술’의 크게 4단계로 제시하였다. 또한 역사가의 연구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역사적 사고력의 어떤 부분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역사적 사고력이 각 학교 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기존의 연구를 정리해보았다.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를 역사적 사고력에 적용했던 이론들은 최근 역사교육에서는 그 의미를 잃었고, 새로운 인지 이론인 영역고유 인지방식(domain-specific cognition theory), 내러티브적 역사인식, ...
역사학은 ‘사료학’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역사라는 학문에서 사료가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사가가 사료를 통해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을 교육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은 꾸준히 있어왔고, 역사를 교육하는 현장에서도 교사들이 사료를 역사 수업에 도입하여 실제 역사가가 과거를 재구성해가는 과정을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입시 위주의 교육과 국사과목의 적은 시수 등의 이유로 실제 사료학습을 실시하는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사료학습을 적용하기 어려웠던 또 다른 이유로는 학생의 수준에 적합한가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역사가 『국사』교과서에 담긴 사실을 진리로 받아들이고, 암기 위주의 ‘재미 없는 과목’이라는 인식이 두드러지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따라서 사료를 통해 역사적 사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겪어봄으로써 교과서의 내용을 비판해 보며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시켜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역사적 사고력 뿐만 아니라 자료처리능력도 함께 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의 Ⅱ장에서는 역사가의 연구방법에 대해 재정리해 보았다. 역사가의 연구방법은 ‘사료의 수집 및 분류→사료의 비판→사료의 종합 및 정리→역사 서술’의 크게 4단계로 제시하였다. 또한 역사가의 연구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역사적 사고력의 어떤 부분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역사적 사고력이 각 학교 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기존의 연구를 정리해보았다.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를 역사적 사고력에 적용했던 이론들은 최근 역사교육에서는 그 의미를 잃었고, 새로운 인지 이론인 영역고유 인지방식(domain-specific cognition theory), 내러티브적 역사인식, 구성주의학습이론이 대두되고 있다. 학습자의 연령별ㆍ지능별 발달단계보다는 교수 내용과 방법에 따라 사고를 증진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내러티브의 개념이 구체화되어 학생들이 직접 ‘역사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과정을 중시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앞서 검토해 본 과정에 따라 고구려의 건국신화와 관련된 사료 4개를 학생들에게 제시해보고 어떻게 수업을 전개해 갈 것인지에 대해서 제시해보았다.
‘고구려의 건국신화를 통해 본 신화의 변용과 그 의미’라는 주제로 사료비판ㆍ종합 및 정리의 과정을 모둠별 토론학습으로 진행하였다. 역사 서술의 단계에서는 ‘글쓰기’ 과제를 내어줌으로써 객관적이며 동시에 주관적인 역사 서술을 경험해 보는 기회를 마련해본다.
학생들이 자료를 탐색하고 그에 기초하여 자신의 내러티브를 만드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자주 노출시켜줌으로써 역사적 능력을 배양하고 역사 이해에 도달할 수 있게 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 학기 1회 가량 실시하는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경험 차원의 수준 정도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역사에 대한 사고의 전환의 기회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사료학습은 기존에 경험해 보지 못했던 역사탐구수업으로 사료를 읽으며 ‘작은 역사가’가 되어 보며 역사적 사고의 전환의 기회를 마련해주는 수업이 될 것이다. 교사는 이러한 작업에 노력을 기울인다면 학생들에게 보다 내실 있는 역사수업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역사학은 ‘사료학’이라고 불리울 정도로 역사라는 학문에서 사료가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사가가 사료를 통해 역사를 연구하는 방법을 교육에 접목시키려는 노력은 꾸준히 있어왔고, 역사를 교육하는 현장에서도 교사들이 사료를 역사 수업에 도입하여 실제 역사가가 과거를 재구성해가는 과정을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입시 위주의 교육과 국사과목의 적은 시수 등의 이유로 실제 사료학습을 실시하는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사료학습을 적용하기 어려웠던 또 다른 이유로는 학생의 수준에 적합한가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역사가 『국사』교과서에 담긴 사실을 진리로 받아들이고, 암기 위주의 ‘재미 없는 과목’이라는 인식이 두드러지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었다. 따라서 사료를 통해 역사적 사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겪어봄으로써 교과서의 내용을 비판해 보며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시켜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역사적 사고력 뿐만 아니라 자료처리능력도 함께 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의 Ⅱ장에서는 역사가의 연구방법에 대해 재정리해 보았다. 역사가의 연구방법은 ‘사료의 수집 및 분류→사료의 비판→사료의 종합 및 정리→역사 서술’의 크게 4단계로 제시하였다. 또한 역사가의 연구방법을 도입함으로써 역사적 사고력의 어떤 부분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앞서 제시한 역사적 사고력이 각 학교 급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기존의 연구를 정리해보았다.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를 역사적 사고력에 적용했던 이론들은 최근 역사교육에서는 그 의미를 잃었고, 새로운 인지 이론인 영역고유 인지방식(domain-specific cognition theory), 내러티브적 역사인식,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대두되고 있다. 학습자의 연령별ㆍ지능별 발달단계보다는 교수 내용과 방법에 따라 사고를 증진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내러티브의 개념이 구체화되어 학생들이 직접 ‘역사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과정을 중시하고 있다.
Ⅳ장에서는 앞서 검토해 본 과정에 따라 고구려의 건국신화와 관련된 사료 4개를 학생들에게 제시해보고 어떻게 수업을 전개해 갈 것인지에 대해서 제시해보았다.
‘고구려의 건국신화를 통해 본 신화의 변용과 그 의미’라는 주제로 사료비판ㆍ종합 및 정리의 과정을 모둠별 토론학습으로 진행하였다. 역사 서술의 단계에서는 ‘글쓰기’ 과제를 내어줌으로써 객관적이며 동시에 주관적인 역사 서술을 경험해 보는 기회를 마련해본다.
학생들이 자료를 탐색하고 그에 기초하여 자신의 내러티브를 만드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을 자주 노출시켜줌으로써 역사적 능력을 배양하고 역사 이해에 도달할 수 있게 해주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 학기 1회 가량 실시하는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경험 차원의 수준 정도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역사에 대한 사고의 전환의 기회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사료학습은 기존에 경험해 보지 못했던 역사탐구수업으로 사료를 읽으며 ‘작은 역사가’가 되어 보며 역사적 사고의 전환의 기회를 마련해주는 수업이 될 것이다. 교사는 이러한 작업에 노력을 기울인다면 학생들에게 보다 내실 있는 역사수업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historical material in teaching method
of the Korean History
Im Bo-yun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s a result, most students accept the material in a textbook as truth and just memorize it; therefore, we bro...
A study on historical material in teaching method
of the Korean History
Im Bo-yun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s a result, most students accept the material in a textbook as truth and just memorize it; therefore, we brought about the result that they recognize history as 'boring subject'. Hence, experiencing the process of drawing out historical facts from historical materials and criticizing the content in a textbook, students are able to recognize that there are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and views on them. Through this process, they can improve their data processing skills as well as the ability to conduct a study of history.
So, in chapter Ⅱ, I reorganize the way historians’ conduct research, which can be summarized in the two steps that follow: collection of historical materials, criticism on historical materials and description of history. Also, after introducing their research methods, I tried to find which part of the ability to conduct a study of history can be improved.
In Chapter Ⅲ, I organized the results from existing research to discern whether the ability to conduct a study of history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lass-grade. Many theories applying Piaget's s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 have lost their value in history education and new recognition theories such as domain-specific cognition theory, history recognition using narrative, and learning theory based on Contructivism have shown up. Those theories are recognized as the way to increase ability through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learner's age or intellectual development stages. More specifically, concrete concepts of 'narrative way' emphasize the process of students making their own 'historical story'
In Chapter Ⅳ, according to the mentioned process, four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the birth myth of Goguryeo are introduced and method for teaching them is suggested. For the title of 'modification of mythology and its meaning using the birth myth of Goguryeo', the process of criticism, synthesis and organ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was treated in the form of group discussion. In the historical description making stage, the opportunity to create objective and subjective historical narration is given to students by 'essay' assignment.
Making students search the data and create their own narratives based on research is not easy work. However, teachers’ efforts are needed to help them raise the ability to look at the history and understand it through being exposed to this work frequently. Although it is given to the students once or twice in a semester, it has the potential to convert their existing thoughts about history.
The class using historical materials could be an unprecedented lesson offering each student the opportunity to read the data, become a 'little historian' and potentially change existing ideas about history. If teachers try to use this method, they would offer more substantial history lessons to students.
A study on historical material in teaching method
of the Korean History
Im Bo-yun
Department of History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s a result, most students accept the material in a textbook as truth and just memorize it; therefore, we brought about the result that they recognize history as 'boring subject'. Hence, experiencing the process of drawing out historical facts from historical materials and criticizing the content in a textbook, students are able to recognize that there are a variety of interpretations and views on them. Through this process, they can improve their data processing skills as well as the ability to conduct a study of history.
So, in chapter Ⅱ, I reorganize the way historians’ conduct research, which can be summarized in the two steps that follow: collection of historical materials, criticism on historical materials and description of history. Also, after introducing their research methods, I tried to find which part of the ability to conduct a study of history can be improved.
In Chapter Ⅲ, I organized the results from existing research to discern whether the ability to conduct a study of history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class-grade. Many theories applying Piaget's stages of cognitive development have lost their value in history education and new recognition theories such as domain-specific cognition theory, history recognition using narrative, and learning theory based on Contructivism have shown up. Those theories are recognized as the way to increase ability through content and teaching methods, rather than learner's age or intellectual development stages. More specifically, concrete concepts of 'narrative way' emphasize the process of students making their own 'historical story'
In Chapter Ⅳ, according to the mentioned process, four historical materials related to the birth myth of Goguryeo are introduced and method for teaching them is suggested. For the title of 'modification of mythology and its meaning using the birth myth of Goguryeo', the process of criticism, synthesis and organiz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was treated in the form of group discussion. In the historical description making stage, the opportunity to create objective and subjective historical narration is given to students by 'essay' assignment.
Making students search the data and create their own narratives based on research is not easy work. However, teachers’ efforts are needed to help them raise the ability to look at the history and understand it through being exposed to this work frequently. Although it is given to the students once or twice in a semester, it has the potential to convert their existing thoughts about history.
The class using historical materials could be an unprecedented lesson offering each student the opportunity to read the data, become a 'little historian' and potentially change existing ideas about history. If teachers try to use this method, they would offer more substantial history lessons to stud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