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 재소자의 대인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학과 염 경 진 지도교수 배 임 호 범죄 및 재범율의 증가에 따라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재소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기존의 국내연구는 대부분 교도소 및 재소자에 관한 실태연구, 재소자의 심리․성격 분석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총체제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교도소 내에서 재소자들이 수형생활에 어떻게 적응하고 부적응 하는지에 대한 역동적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도소 재소자의 수형생활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질적연구 방법인 Strauss와 Corbin(1998)의 ...
교도소 재소자의 대인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학과 염 경 진 지도교수 배 임 호 범죄 및 재범율의 증가에 따라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재소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기존의 국내연구는 대부분 교도소 및 재소자에 관한 실태연구, 재소자의 심리․성격 분석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총체제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교도소 내에서 재소자들이 수형생활에 어떻게 적응하고 부적응 하는지에 대한 역동적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도소 재소자의 수형생활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질적연구 방법인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사용하여 재소자 간의 대인관계 경험이 수형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아래와 같다. 첫째, 재소자의 수형생활 적응 및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 중에서 재소자 간의 대인관계 경험이 어떠한지 살펴본다. 둘째, 교도소 재소자들이 수형기간 가운데 주로 접하는 동료 재소자와의 갈등관계 및 사회적 지지관계 경험이 수형생활 적응 및 부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질적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셋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소자 간의 갈등관계를 해결하고, 재소자 간의 사회적 지지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교정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교도소에 수감 된지 2년에서 6년 된 남성재소자 4명으로, 연령은 40대였다. 면담 전에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고 2008년에 심층면담과 참여관찰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내용은 즉시 기록되었다.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지속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라 개방코딩에서는 개념 및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축코딩에서는 범주분석을 하였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윤곽을 적었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유형을 분류한 후 과정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84개의 개념, 37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교도소 재소자의 대인관계 경험에서 인과적 조건은 ‘교도소 수감 후 다양한 변화’, ‘수형생활의 한계’이었고, 중심현상은 ‘재소자 간 갈등관계’, ‘재소자 간 사회적 지지관계’이었다. 이 현상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 ‘재소자 간의 대인관계 특징에 대한 인식’, ‘자기오픈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 ‘사회적 지지관계의 필요성 인식’이었고,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전략은 ‘자신의 갈등해결 방법터득’, ‘타인의 갈등관계에 대한 태도’, ‘제한된 사회적 지지관계’, ‘사회적 지지관계의 악용’이었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을 촉진하고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중재적 조건은 ‘교도소의 특수한 환경과 갈등해결문화’, ‘재소자 간 밀접한 관계 차단’이었고, 결과는 ‘재소자 간 갈등해결을 위한 대안 모색’, ‘사회적 지지관계를 통해 갈등해결의 매개체로 활용’으로 나타났다. 재소자 간 대인관계 경험의 핵심범주는 ‘재소자 간 갈등관계․사회적 지지관계 주고받으며 수형생활 해 나가기’로 도출되었다.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범주 간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확인한 결과, '재소자 간 갈등관계․사회적 지지관계 주고받으며 수형생활 해 나가기'의 대인관계 유형은 갈등관계 측면에서는 ‘참고살기’, ‘방관하기’로, 사회적 지지관계 측면에서는 ‘제한적으로 도움주고 받기’, ‘상대방 이용하기’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도소도 일반사회와 같이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공동체이기 때문에 대인간에 갈등관계와 사회적 지지관계가 존재하고 재소자들은 상호 간에 갈등관계와 사회적 지지관계를 주고받으면서 수형생활을 해 나간다. 둘째, 재소자 간 갈등관계가 발생할 경우 가석방 혜택 및 행형점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갈등당사자와 갈등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보다 갈등을 회피하거나 소극적으로 속으로 참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교도소 및 교도관은 재소자들의 갈등관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갈등을 중재하거나 해결하기보다 방관자적인 태도를 취하거나 수형생활 질서를 위해 형식적인 방법으로 갈등을 해결하였다. 셋째, 재소자 간 사회적 지지관계는 수형생활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형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지만 교도소 및 교도관은 이에 대해 다양한 규율로 통제하기 때문에 재소자들 간에 제한적 사회적 지지관계가 형성되었다. 때로는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대적 약자를 돕거나 상대방을 이용하는 부정적인 사회적 지지관계도 형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정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도소 재소자들의 원만한 수형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재소자 간 갈등해결 및 갈등중재 교육과 관련된 교정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전문가를 현장에 배치해야 한다. 또한 수형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재소자 간의 사회적 지지관계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교정사회복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교도관의 신분․능력․자질 등과 같은 특성에 비추어 볼 때 교도관은 갈등중재자 로서의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교정시설에 배치된 교도관의 경험과 능력을 바탕으로 전문적 갈등해결 및 갈등중재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셋째, 재소자 간 사회적 지지관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정시설 내의 생활 속에 재소자 간의 인격적인 관계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정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 필요하다. 재소자 간의 사회적 지지관계는 수형생활 적응과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하여 실질적인 출소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도소 질서를 헤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재소자들이 사회적 지지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를 창출하는 교정사회복지 실천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주제어 : 교도소 재소자, 수형생활, 대인관계, 갈등, 사회적지지, 갈등해결 및 갈등중재 프로그램, 질적연구, 근거이론.
교도소 재소자의 대인관계 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학과 염 경 진 지도교수 배 임 호 범죄 및 재범율의 증가에 따라 교도소에 수감되어 있는 재소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관련된 기존의 국내연구는 대부분 교도소 및 재소자에 관한 실태연구, 재소자의 심리․성격 분석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연구들은 총체제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교도소 내에서 재소자들이 수형생활에 어떻게 적응하고 부적응 하는지에 대한 역동적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도소 재소자의 수형생활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질적연구 방법인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을 사용하여 재소자 간의 대인관계 경험이 수형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아래와 같다. 첫째, 재소자의 수형생활 적응 및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 중에서 재소자 간의 대인관계 경험이 어떠한지 살펴본다. 둘째, 교도소 재소자들이 수형기간 가운데 주로 접하는 동료 재소자와의 갈등관계 및 사회적 지지관계 경험이 수형생활 적응 및 부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질적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셋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소자 간의 갈등관계를 해결하고, 재소자 간의 사회적 지지관계를 강화할 수 있는 교정사회복지실천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교도소에 수감 된지 2년에서 6년 된 남성재소자 4명으로, 연령은 40대였다. 면담 전에 연구 참여 동의서를 받고 2008년에 심층면담과 참여관찰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그 내용은 즉시 기록되었다. 자료분석은 자료수집과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지속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따라 개방코딩에서는 개념 및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축코딩에서는 범주분석을 하였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발견하고, 이야기 윤곽을 적었으며,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범주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유형을 분류한 후 과정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방코딩에서는 84개의 개념, 37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교도소 재소자의 대인관계 경험에서 인과적 조건은 ‘교도소 수감 후 다양한 변화’, ‘수형생활의 한계’이었고, 중심현상은 ‘재소자 간 갈등관계’, ‘재소자 간 사회적 지지관계’이었다. 이 현상에 대응하는 맥락적 조건은 ‘재소자 간의 대인관계 특징에 대한 인식’, ‘자기오픈에 대한 부정적 피드백’, ‘사회적 지지관계의 필요성 인식’이었고, 현상을 조절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전략은 ‘자신의 갈등해결 방법터득’, ‘타인의 갈등관계에 대한 태도’, ‘제한된 사회적 지지관계’, ‘사회적 지지관계의 악용’이었다. 작용/상호작용전략을 촉진하고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중재적 조건은 ‘교도소의 특수한 환경과 갈등해결문화’, ‘재소자 간 밀접한 관계 차단’이었고, 결과는 ‘재소자 간 갈등해결을 위한 대안 모색’, ‘사회적 지지관계를 통해 갈등해결의 매개체로 활용’으로 나타났다. 재소자 간 대인관계 경험의 핵심범주는 ‘재소자 간 갈등관계․사회적 지지관계 주고받으며 수형생활 해 나가기’로 도출되었다. 핵심 범주를 중심으로 범주 간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확인한 결과, '재소자 간 갈등관계․사회적 지지관계 주고받으며 수형생활 해 나가기'의 대인관계 유형은 갈등관계 측면에서는 ‘참고살기’, ‘방관하기’로, 사회적 지지관계 측면에서는 ‘제한적으로 도움주고 받기’, ‘상대방 이용하기’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도소도 일반사회와 같이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공동체이기 때문에 대인간에 갈등관계와 사회적 지지관계가 존재하고 재소자들은 상호 간에 갈등관계와 사회적 지지관계를 주고받으면서 수형생활을 해 나간다. 둘째, 재소자 간 갈등관계가 발생할 경우 가석방 혜택 및 행형점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갈등당사자와 갈등을 적극적으로 해결하기보다 갈등을 회피하거나 소극적으로 속으로 참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교도소 및 교도관은 재소자들의 갈등관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갈등을 중재하거나 해결하기보다 방관자적인 태도를 취하거나 수형생활 질서를 위해 형식적인 방법으로 갈등을 해결하였다. 셋째, 재소자 간 사회적 지지관계는 수형생활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형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지만 교도소 및 교도관은 이에 대해 다양한 규율로 통제하기 때문에 재소자들 간에 제한적 사회적 지지관계가 형성되었다. 때로는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대적 약자를 돕거나 상대방을 이용하는 부정적인 사회적 지지관계도 형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정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도소 재소자들의 원만한 수형생활 적응을 위해서는 재소자 간 갈등해결 및 갈등중재 교육과 관련된 교정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구축하고, 전문가를 현장에 배치해야 한다. 또한 수형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재소자 간의 사회적 지지관계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교정사회복지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교도관의 신분․능력․자질 등과 같은 특성에 비추어 볼 때 교도관은 갈등중재자 로서의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교정시설에 배치된 교도관의 경험과 능력을 바탕으로 전문적 갈등해결 및 갈등중재에 대한 교육과 훈련을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셋째, 재소자 간 사회적 지지관계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현재의 교정시설 내의 생활 속에 재소자 간의 인격적인 관계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정사회복지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것 필요하다. 재소자 간의 사회적 지지관계는 수형생활 적응과 심리적인 안정을 도모하여 실질적인 출소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돕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도소 질서를 헤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재소자들이 사회적 지지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를 창출하는 교정사회복지 실천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주제어 : 교도소 재소자, 수형생활, 대인관계, 갈등, 사회적지지, 갈등해결 및 갈등중재 프로그램, 질적연구, 근거이론.
Abstract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rison Inmat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Kyeongjin Yeo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increase in crime and the rate of repetition of crime have led to mounting concern for prison inmates. However, most existing domestic...
Abstract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rison Inmat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Kyeongjin Yeo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increase in crime and the rate of repetition of crime have led to mounting concern for prison inmates. However, most existing domestic studies were studie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rison and the prison inmates, or an analysis of the inmates’ personaliti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se studies give a limited understanding about the dynamic process of how the inmates adapt and their maladjustment to prison life. This study, therefore, tried to understand in great depth about the experience of inmat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how they affect prison life through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volv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The important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The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as a crucial one among several factors that affect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to prison life.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e impact of experiences of conflict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and how they affect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to prison life. Third, this study looks for strategies within correctional welfare practice to resolve conflict relationships and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four inmates in their forties who have been constrained for 2 to 6 years in the prison. Signed consent forms were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wit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in 2008, and the contents were transcribed as soon as collect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grounded theory,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were executed during open coding. In axial coding, category analysis was done. During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developed and a story line was described; then, type categorization was mad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 between the core category, an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coding for proces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84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tegorical analysis by the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in the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were 'various changes after imprisonment' and 'the limits of prison life'. The central phenomena were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inmates' and 'social support relationship between inmates',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were 'the percep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between inmates', 'negative feedback about things from an open mind’ and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ocial support relationship'.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controlling the phenomenon were 'to learn how to resolve their own conflicts', 'attitudes about other people's conflict relationships', 'restrictive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and 'abuse of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The intervening conditions acting to facilitate or retar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special environment of the prison and the culture of conflict resolution' and 'block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mates', and the consequences were 'looking for alternatives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inmates' an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as the medium of conflict resolution'. The core category of the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inmates is indicated as 'managing a giving and taking relationship in their social support between inmates while they feel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result of confirming relationships between categories that were continually shown as centering on the core categor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s of 'managing a giving and taking relationship in their social support between inmates while they feel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divided into 'living with patience' and 'living like a bystander' in the area of conflict relationships, and 'helping each other restrictively' and 'using other people' in the area of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and a conflict relationships, because prison is a community just like a general community, and the inmates exchange conflict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in prison life. Second, conflic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affect parole and prison-service records negatively. Therefore most of inmates have a tendency to avoid conflicts passively, rather than to resolve them with the conflicting parties. A prison authority and a correctional officer resolved conflic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formally or they assumed a bystander attitude to maintain the order of the prison, rather than mediate or resolve the conflict relationship actively. Thir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the inmates help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mprisonment and help inmates to adapt to being under sentence, but prison and correctional officers controlled relationships through various regulations, thus only limite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were formed. Sometimes negative social support was provided to achieve someone's purpose through helping a relatively weak person or using other people for his on purposes. The proposals that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ppoint a specialist in a correctional facility to devise a correctional welfare program relating to conflict resolution / mediation to help inmates to have an amicable prison life. The correctional system needs also to create a correctional welfare environment that promotes and activates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Second, a correctional officer is likely to become a conflict mediator when we consider their status, and natural aptitude etc. Therefore,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nflict resolution between inmates based on the experience and ability of correctional officers should be provided to correctional officer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rrectional welfare program to promote 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activate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in the current correctional system. Such a program is very meaningful because a social support relationship between inmates help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during prison life, so that the inmates will be able to prepare practically for coming out of prison while they are in confin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realistic strategies to create a culture of correctional welfare which builds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which don't disturb the order of the prison. Keyword : prison inmate, prison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flict, social support, conflict resolution and mediation program,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Abstract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rison Inmat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Kyeongjin Yeom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he increase in crime and the rate of repetition of crime have led to mounting concern for prison inmates. However, most existing domestic studies were studie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rison and the prison inmates, or an analysis of the inmates’ personaliti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se studies give a limited understanding about the dynamic process of how the inmates adapt and their maladjustment to prison life. This study, therefore, tried to understand in great depth about the experience of inmat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how they affect prison life through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volv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The important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The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as a crucial one among several factors that affect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to prison life.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he impact of experiences of conflict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and how they affect adjustment and maladjustment to prison life. Third, this study looks for strategies within correctional welfare practice to resolve conflict relationships and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based on research result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four inmates in their forties who have been constrained for 2 to 6 years in the prison. Signed consent forms were obtained from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s. Data were collected with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in 2008, and the contents were transcribed as soon as collected.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simultaneously,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continuously.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grounded theory, conceptualization and categorization were executed during open coding. In axial coding, category analysis was done. During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developed and a story line was described; then, type categorization was mad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relations between the core category, and data was analyzed through the coding for proces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84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5 categori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ategorical analysis by the paradigm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s in the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were 'various changes after imprisonment' and 'the limits of prison life'. The central phenomena were 'conflict relationship between inmates' and 'social support relationship between inmates', and the contextual condition were 'the percep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between inmates', 'negative feedback about things from an open mind’ and 'recognition of the need for social support relationship'.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controlling the phenomenon were 'to learn how to resolve their own conflicts', 'attitudes about other people's conflict relationships', 'restrictive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and 'abuse of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The intervening conditions acting to facilitate or retard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special environment of the prison and the culture of conflict resolution' and 'blocking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inmates', and the consequences were 'looking for alternatives to resolve conflicts between inmates' an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as the medium of conflict resolution'. The core category of the experienc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inmates is indicated as 'managing a giving and taking relationship in their social support between inmates while they feel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the result of confirming relationships between categories that were continually shown as centering on the core category,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ypes of 'managing a giving and taking relationship in their social support between inmates while they feel conflict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divided into 'living with patience' and 'living like a bystander' in the area of conflict relationships, and 'helping each other restrictively' and 'using other people' in the area of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and a conflict relationships, because prison is a community just like a general community, and the inmates exchange conflict relationships an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in prison life. Second, conflic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affect parole and prison-service records negatively. Therefore most of inmates have a tendency to avoid conflicts passively, rather than to resolve them with the conflicting parties. A prison authority and a correctional officer resolved conflic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formally or they assumed a bystander attitude to maintain the order of the prison, rather than mediate or resolve the conflict relationship actively. Thir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the inmates help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imprisonment and help inmates to adapt to being under sentence, but prison and correctional officers controlled relationships through various regulations, thus only limited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were formed. Sometimes negative social support was provided to achieve someone's purpose through helping a relatively weak person or using other people for his on purposes. The proposals that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appoint a specialist in a correctional facility to devise a correctional welfare program relating to conflict resolution / mediation to help inmates to have an amicable prison life. The correctional system needs also to create a correctional welfare environment that promotes and activates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Second, a correctional officer is likely to become a conflict mediator when we consider their status, and natural aptitude etc. Therefore, education and training for conflict resolution between inmates based on the experience and ability of correctional officers should be provided to correctional officer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rrectional welfare program to promote 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activate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in the current correctional system. Such a program is very meaningful because a social support relationship between inmates help adapt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during prison life, so that the inmates will be able to prepare practically for coming out of prison while they are in confin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ek realistic strategies to create a culture of correctional welfare which builds social support relationships between inmates which don't disturb the order of the prison. Keyword : prison inmate, prison life,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flict, social support, conflict resolution and mediation program,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