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에 분포하는 미역취속 (Solidago)의 5분류군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했으며, 세포학적 형질로 체세포 염색체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해부학적 형질로 줄기, 뿌리, 잎, 자방의 횡단면과 잎의 기공장치를 관찰하였고, 화분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외부형질 연구로 초장, 잎의 형태, 포엽의 길이, 엽병의 유무, 지하경의 형태, 화서의 형태, ...
본 연구는 국내에 분포하는 미역취속 (Solidago)의 5분류군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했으며, 세포학적 형질로 체세포 염색체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해부학적 형질로 줄기, 뿌리, 잎, 자방의 횡단면과 잎의 기공장치를 관찰하였고, 화분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외부형질 연구로 초장, 잎의 형태, 포엽의 길이, 엽병의 유무, 지하경의 형태, 화서의 형태, 총포의 길이, 외편의 길이, 외편과 내편의 비율, 설상화의 길이, 수과 털의 유무 등 관찰한 결과들을 기존 문헌과 비교하여 절과 종의 기준이 타당한지 검토하였다.
체세포염색체 관찰 결과 양미역취, 미국미역취, 미역취, 울릉미역취, 산미역취는 기존 문헌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양미역취는 2n=18개의 체세포 염색수를 밝혀내었다.
해부학적 형질로 줄기의 능각의 발달정도, 통기조직의 유무, 잎 횡단면의 형태, 수과의 능각의 발달 여부에 의해 분류군들이 구분되었다.
화분의 모양에서 분류군들은 모두 단립이며, 3공구형이며, 자상돌기를 가지는 공통점이 있지만, 각각 분류군간에 큰 차이점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한국산 미역취속은 본 연구에서 취급된 S. altissima (양미역취), S. serotina (미국미역취), S. virgauea subsp. asiatica (미역취), S. virgaurea subsp. gigantea (울릉미역취), S. viraurea var. leiocarpa (산미역취)의 5분류군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 분포하는 미역취속 (Solidago)의 5분류군에 대하여 외부형태학적 형질을 재검토했으며, 세포학적 형질로 체세포 염색체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해부학적 형질로 줄기, 뿌리, 잎, 자방의 횡단면과 잎의 기공장치를 관찰하였고, 화분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외부형질 연구로 초장, 잎의 형태, 포엽의 길이, 엽병의 유무, 지하경의 형태, 화서의 형태, 총포의 길이, 외편의 길이, 외편과 내편의 비율, 설상화의 길이, 수과 털의 유무 등 관찰한 결과들을 기존 문헌과 비교하여 절과 종의 기준이 타당한지 검토하였다.
체세포염색체 관찰 결과 양미역취, 미국미역취, 미역취, 울릉미역취, 산미역취는 기존 문헌과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양미역취는 2n=18개의 체세포 염색수를 밝혀내었다.
해부학적 형질로 줄기의 능각의 발달정도, 통기조직의 유무, 잎 횡단면의 형태, 수과의 능각의 발달 여부에 의해 분류군들이 구분되었다.
화분의 모양에서 분류군들은 모두 단립이며, 3공구형이며, 자상돌기를 가지는 공통점이 있지만, 각각 분류군간에 큰 차이점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근거로 한국산 미역취속은 본 연구에서 취급된 S. altissima (양미역취), S. serotina (미국미역취), S. virgauea subsp. asiatica (미역취), S. virgaurea subsp. gigantea (울릉미역취), S. viraurea var. leiocarpa (산미역취)의 5분류군으로 정리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external morphology was reviewed on the Korean Solidago which consisted of 5 taxa.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were investigated as cytological characters and the stem, root, leaf, ovary and the epidermal features of leaf were investigated as the anatomical characters by LM an...
In this study, the external morphology was reviewed on the Korean Solidago which consisted of 5 taxa.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were investigated as cytological characters and the stem, root, leaf, ovary and the epidermal features of leaf were investigated as the anatomical characters by LM and the shape of the pollen grains was investigated by LM and SEM.
On the study of the external morphology, stem length, leaf shape, shape of bract, petiole, rhizome type, inflorescence type, length of involucres, length of outer involucral bract and Ratio of inner/outer involucral bract, length of ray florets, achene hair presence was observed to evaluateing taxonomic values and was reviewed by comparing this result with existing documents.
On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of somatic chromosome number S. serotina, S. virgaurea subsp. asiatica, S. virgaurea subsp. gigantea S. virgaurea var. leiocarpa was identical to the previous reports, and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S. altissima was first found as 2n = 18.
On study of the anatomy, taxa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standard, about the development of rib of the stem, the presence of aerenchyma of the root, a cross section shape of leaf, the development of rib of the ovary were different among the taxa.
In the shapes of the pollen grains, all the taxa were monad and tricolprate, and had echinate common to all, but each taxa had no great difference.
In this result, the genus Solidago in Korean, such as S. altissima, S. serotina, S. virgaurea subsp. asiatica, S. virgaurea subsp. gigantea, S. virgaurea var. leiocarpa were used in this result, can be arranged as 5 taxa.
In this study, the external morphology was reviewed on the Korean Solidago which consisted of 5 taxa.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were investigated as cytological characters and the stem, root, leaf, ovary and the epidermal features of leaf were investigated as the anatomical characters by LM and the shape of the pollen grains was investigated by LM and SEM.
On the study of the external morphology, stem length, leaf shape, shape of bract, petiole, rhizome type, inflorescence type, length of involucres, length of outer involucral bract and Ratio of inner/outer involucral bract, length of ray florets, achene hair presence was observed to evaluateing taxonomic values and was reviewed by comparing this result with existing documents.
On the result of the observation of somatic chromosome number S. serotina, S. virgaurea subsp. asiatica, S. virgaurea subsp. gigantea S. virgaurea var. leiocarpa was identical to the previous reports, and the somatic chromosome numbers of S. altissima was first found as 2n = 18.
On study of the anatomy, taxa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standard, about the development of rib of the stem, the presence of aerenchyma of the root, a cross section shape of leaf, the development of rib of the ovary were different among the taxa.
In the shapes of the pollen grains, all the taxa were monad and tricolprate, and had echinate common to all, but each taxa had no great difference.
In this result, the genus Solidago in Korean, such as S. altissima, S. serotina, S. virgaurea subsp. asiatica, S. virgaurea subsp. gigantea, S. virgaurea var. leiocarpa were used in this result, can be arranged as 5 taxa.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