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제 식민지시기 여성교육과 사회진출
(The)education and social activity for wom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원문보기


김수연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역사교육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은 16세기 이후 주자학적 성리학이 지배이념으로 자리하면서 모든 사회질서를 규정하였다. 이에 따라 종교적․철학적 성격의 유교는 사회기제로서 여성의 삶을 통제하며 ‘家’와 여성을 일치시켜 나갔던 것이다. 여성에게 유교적 사회체제를 성립하고 유지․발전시키는데 합당한 자세와 도리를 의미하는 유교적 여성관을 강요하여 남성과는 다른 차별적인 여성생활과 문화를 지키게 하였다. 이러한 가부장적 봉건사회에서의 여성은 적극적인 사회참여의 주체가 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교육에 있어서도 남성과 동등한 대우를 받지 못하였다. 여성은 다만 아내, 며느리,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부덕(婦德)’중심의 가정교육만을 받았을 뿐 여성 자신의 계몽과 발전을 위한 교육과는 거리가 있었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그것을 규제해오던 유교적 가치체계가 흔들리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이후 조선 사회가 안팎으로 커다한 변혁을 맞이하면서였다. 1876년 일본에게 문호를 개방하고 1882년에 미국과 ‘조미수호조약(朝美修好條約)’을 시작으로 서구 각국과의 수교가 이루어졌다. 조선으로서는 중국 중심의 아시아적 질서체계가 붕괴되고 자본주의적 세계질서로의 편입에 직면해야했다. 급변하는 정세에 대응할 방안으로 근대화와 부국강병에 대한 논의가 전개되었고 봉건질서의 와해와 함께 근대사회로 이행하게 되는 사회변화들이 수반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새롭게 여성의 존재와 역할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근대 여성교육기관의 등장은 1886년 스크랜턴(M. F. Scranton)부인이 세운 이화학당(梨花學堂)으로 시작되었으나 17세기 이후 실학자들의 개혁사상, 천주교(西學)의 남녀평등론과 이에 대응하여 자생적으로 발생한 동학(東學)의 평등사상 등 이미 진행되고 있던 사상적 변화가 사회 내부에서 일어남에 따라 근대 여성교육의 단초를 제공하고 있었다. 개항 이후 종교적 이유에서 조선을 찾은 선교사들은 적극적인 선교활동의 어려움으로 교육과 의료 사업 등에 주력하며 조심성 있는 선교를 해나갔다. 그리하여 이화학당을 비롯한 미션계 여학교들이 설립되어 여성으로 하여금 신문화와 신교육을 경험케 했다. 한편 개화 지식인들은 근대화와 국권회복의 역량을 위해 여성의 역할에 주목하여 여성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여학교 설립을 종용하고 있었다. 이 같은 여성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여성계 내부의 반응을 불러와 여성에 의한 여학교 설립과 더불어 여성단체가 조직되었다. 이는 개화사상이 여성들에게 내적 성숙을 거쳐 행동화된 최초의 실증이었다. 정부 역시 1908년 고등여학교령에 따라 최초의 관립 여학교인 한성고등여학교를 설립하게 된다. 정부에 의한 여학교 설립은 일제의 일정한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이후 본격화된 식민지 교육정책의 일환이라는 한계가 있으나 우리 역사상 공교육체제 안에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하게 교육받을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고 여성을 위한 정책적인 배려가 시행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것이었다. 1910년 한일합방 이후 일제는 조선교육령을 통해 교육일반과는 구분되는 특정한 가치관과 의도를 가지고 식민지 교육정책을 시행해 나갔다. 일제는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감정적 융합에 쉬운 존재로 인식하고 여성에게 일제의 국가정신, 신민화를 위한 규율들을 주입시키고자 했으며 나아가 자녀들까지도 일제에 순응하고 동화되는 조선인으로 만들 수 있다고 보았다. 다시 말해 조선에 대한 동화(同化)와 우민화(愚民化)라는 일제의 식민정책을 좁게는 가정이라는 공간을 통해 관철시키고자 했으며 이를 이루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여성에 주목한 것이었다. 일제 식민지 시기의 여성교육정책은 현모양처(賢母良妻) 교육으로 전통적인 여성상을 ‘근대’의 모습으로 재연하는데 있었다. 따라서 ‘부덕’을 함양하는데 교육의 목적이 있었으며 여기에 여성교육의 왜곡은 불가피한 것이었다. 교육과정 또한 가사, 재봉 등 실업교육을 강조하고 있었다. 개화기 이래 여성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여성교육기관의 설립은 여성에게 근대적 교육을 경험케하여 여성들의 ...

주제어

#여성교육 일제 식민지시기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수연
학위수여기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교육학과 역사교육전공
지도교수 박만규
발행연도 2010
총페이지 ⅴ, 37 p.
키워드 여성교육 일제 식민지시기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11930667&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