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의 학교장에 대한 리더쉽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학교장과 교사간의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에 대한 조사를 하였고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규명을 통하여 바람직한 학교풍토와 학교환경에 대한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교장에 대한 인식은 효율적이기 보다는 비효율적이고 인화중심적인 지도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은 표집 대상이 인사교류가 ...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의 학교장에 대한 리더쉽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학교장과 교사간의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에 대한 조사를 하였고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규명을 통하여 바람직한 학교풍토와 학교환경에 대한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교장에 대한 인식은 효율적이기 보다는 비효율적이고 인화중심적인 지도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은 표집 대상이 인사교류가 많은 공립학교인 특성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사개인별 특성에 따른 리더십에서는 성별, 연령별, 지위정도, 교원단체 가입 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학력별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학교장이 학교경영목표에 교사의 개인별 특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학교장 리더십과 의사소통 및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인화중심과 비효율적 지도성에서 매우 의의 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과 교사간의 의사소통이 공식적 교류보다 비공식적 교류에서 더 많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학교장과 교사간의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부분에서 의사소통은 매우 의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교사들의 학교장 에 대한 리더십 인식이 의사소통 및 직무만족에 매우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부정적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학교 내의 문제로 인식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외적인 처방이 있어야 하며 학교장이 일반적이고 통상적인 학교운영에 관한 교류보다는 교사의 상호 교류를 활성화 하여 각 학교 간 교과별, 교육행정 측면, 학생지도측면에서 장학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의 학교장에 대한 리더쉽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학교장과 교사간의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에 대한 조사를 하였고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규명을 통하여 바람직한 학교풍토와 학교환경에 대한 근무여건을 개선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교장에 대한 인식은 효율적이기 보다는 비효율적이고 인화중심적인 지도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은 표집 대상이 인사교류가 많은 공립학교인 특성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교사개인별 특성에 따른 리더십에서는 성별, 연령별, 지위정도, 교원단체 가입 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나, 학력별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학교장이 학교경영목표에 교사의 개인별 특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학교장 리더십과 의사소통 및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를 검증한 결과 인화중심과 비효율적 지도성에서 매우 의의 있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과 교사간의 의사소통이 공식적 교류보다 비공식적 교류에서 더 많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학교장과 교사간의 의사소통과 직무만족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부분에서 의사소통은 매우 의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의 대상인 초등학교교사들의 학교장 에 대한 리더십 인식이 의사소통 및 직무만족에 매우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부정적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학교 내의 문제로 인식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외적인 처방이 있어야 하며 학교장이 일반적이고 통상적인 학교운영에 관한 교류보다는 교사의 상호 교류를 활성화 하여 각 학교 간 교과별, 교육행정 측면, 학생지도측면에서 장학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is regarding the leadership types of principals in the school. To satisf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s together with the job satisfaction. Ultimately the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ost desirable sch...
This study is regarding the leadership types of principals in the school. To satisf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s together with the job satisfaction. Ultimately the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ost desirable school climate and school environment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by finding out how the leadership types of the principals affect the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follows: Firstly the recognition about the principals by the teachers are that they are rather less efficient and more harmonious around the humanity with their leadership emphasis thereon. This kind of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of principals are believ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public schools. Second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meaningful difference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come out in such areas as gender, age, status and the interest groups they belong with little differences in study career. Thirdly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and the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very meaningful differences came out in the leadership of harmony-orientation and non-efficiency leadership. This could mean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s are more made at grape-vine occasions than the official cases. Lastly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of primary schools regarding the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is very negatively working. To get rid of these negative factors a more external way should be used rather than solving the problem on the basis of internal recognition on the matter. Also an assistance for policy making has to be made to encourage teaching activities by activating the mutual interfacing and administration rather than simple and general exchange of school operation .
This study is regarding the leadership types of principals in the school. To satisf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s together with the job satisfaction. Ultimately the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most desirable school climate and school environment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s by finding out how the leadership types of the principals affect the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follows: Firstly the recognition about the principals by the teachers are that they are rather less efficient and more harmonious around the humanity with their leadership emphasis thereon. This kind of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of principals are believ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public schools. Second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meaningful differences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eachers come out in such areas as gender, age, status and the interest groups they belong with little differences in study career. Thirdly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differences between principal's leadership and the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very meaningful differences came out in the leadership of harmony-orientation and non-efficiency leadership. This could mean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principal and the teachers are more made at grape-vine occasions than the official cases. Lastly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 recognition of teachers on the leadership of the principals of primary schools regarding the communication and job satisfaction is very negatively working. To get rid of these negative factors a more external way should be used rather than solving the problem on the basis of internal recognition on the matter. Also an assistance for policy making has to be made to encourage teaching activities by activating the mutual interfacing and administration rather than simple and general exchange of school operation .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