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ADHD 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과정과 양육경험 사례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about Psychological Coping Process and Rearing Experiences of Mothers Children with ADHD원문보기
본 연구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이하 ADHD) 아동의 어머니가 아동의 장애를 수용하기까지의 심리적 적응과정과 아동을 양육하면서 겪고 있는 어려움들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ADHD의 중재는 아동만을 중재하는 것만으로는 장기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어머니와 가족을 위한 중재가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아동과 가장 친숙한 관계 속에서 아동의 증상이나 향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어머니의 어려움을 다루어주는 중재가 필요하며, 이러한 중재 없이 아동에 대한 행동 중재만으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
본 연구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이하 ADHD) 아동의 어머니가 아동의 장애를 수용하기까지의 심리적 적응과정과 아동을 양육하면서 겪고 있는 어려움들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ADHD의 중재는 아동만을 중재하는 것만으로는 장기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어머니와 가족을 위한 중재가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아동과 가장 친숙한 관계 속에서 아동의 증상이나 향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어머니의 어려움을 다루어주는 중재가 필요하며, 이러한 중재 없이 아동에 대한 행동 중재만으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ADHD 아동 어머니의 개별적인 평가를 통해 어머니의 현재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고 심리적 요구를 고려한 개별적인 환경과 능력에 따른 지원을 하는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열 명의 ADHD 아동의 어머니들을 중심으로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의 내용은 녹음 후 전사되었다. 전사된 내용은 코딩의 과정을 거쳐 해석되고 기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ADHD 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과정은 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의 과정을 거치고 한 번으로 이 모든 과정을 마치는 것이 아니라 부정의 단계를 제외하고 다시 분노, 타협, 우울, 수용의 단계를 거치는 순환형을 이룬다. 둘째, ADHD 아동을 양육하면서 겪는 어머니의 어려움은 구체적으로 학업, 시간관리, 또래관계, 가족관계, 의사소통 등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ADHD 아동의 어머니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모든 연령의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시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ADHD 아동의 특성은 미시적으로는 부모, 형제, 가족문화, 또래들, 거시적으로는 학교, 지역사회에서의 환경으로 인한 차이가 개인마다 다르다. 그러므로 아동 개별적인 환경과 능력에 따른 지원프로그램 개발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이하 ADHD) 아동의 어머니가 아동의 장애를 수용하기까지의 심리적 적응과정과 아동을 양육하면서 겪고 있는 어려움들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ADHD의 중재는 아동만을 중재하는 것만으로는 장기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어머니와 가족을 위한 중재가 포함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아동과 가장 친숙한 관계 속에서 아동의 증상이나 향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어머니의 어려움을 다루어주는 중재가 필요하며, 이러한 중재 없이 아동에 대한 행동 중재만으로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ADHD 아동 어머니의 개별적인 평가를 통해 어머니의 현재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고 심리적 요구를 고려한 개별적인 환경과 능력에 따른 지원을 하는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열 명의 ADHD 아동의 어머니들을 중심으로 비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의 내용은 녹음 후 전사되었다. 전사된 내용은 코딩의 과정을 거쳐 해석되고 기술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ADHD 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과정은 부정, 분노, 타협, 우울, 수용의 과정을 거치고 한 번으로 이 모든 과정을 마치는 것이 아니라 부정의 단계를 제외하고 다시 분노, 타협, 우울, 수용의 단계를 거치는 순환형을 이룬다. 둘째, ADHD 아동을 양육하면서 겪는 어머니의 어려움은 구체적으로 학업, 시간관리, 또래관계, 가족관계, 의사소통 등의 다섯 가지 영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ADHD 아동의 어머니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모든 연령의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시행될 필요가 있다. 둘째, ADHD 아동의 특성은 미시적으로는 부모, 형제, 가족문화, 또래들, 거시적으로는 학교, 지역사회에서의 환경으로 인한 차이가 개인마다 다르다. 그러므로 아동 개별적인 환경과 능력에 따른 지원프로그램 개발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to identify mothers' stress coping stage and difficulties of bringing up th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10 mothers with ADHD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asked to respon...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to identify mothers' stress coping stage and difficulties of bringing up th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10 mothers with ADHD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asked to respond to each question of an open-ended questionnaire using in narrative and descriptive way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dentified as followings: First, the mothers' stress coping stage was changed through five stages, denial, anger, compromising, depression and reception. The ADHD child rearing process is not unidirectional, but showed the pattern of spiral among anger, compromising, depression, and reception excepting the first stage, denial. Second, the mothers' difficulties of bringing up were showed five domains, schoolwork, time management, relation with peers, family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s. The limitation and suggestions based on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mothers with ADHD childre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urther studies for mothers with all aged ADHD children will be needed. Second, systemic and continued research supporting for the maternal difficulties rearing ADHD children in actual practical life will be executed.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to identify mothers' stress coping stage and difficulties of bringing up th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10 mothers with ADHD childr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asked to respond to each question of an open-ended questionnaire using in narrative and descriptive way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dentified as followings: First, the mothers' stress coping stage was changed through five stages, denial, anger, compromising, depression and reception. The ADHD child rearing process is not unidirectional, but showed the pattern of spiral among anger, compromising, depression, and reception excepting the first stage, denial. Second, the mothers' difficulties of bringing up were showed five domains, schoolwork, time management, relation with peers, family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s. The limitation and suggestions based on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mothers with ADHD childre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Further studies for mothers with all aged ADHD children will be needed. Second, systemic and continued research supporting for the maternal difficulties rearing ADHD children in actual practical life will be execu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