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다수의 현대인들이 스트레스에 의해 고통을 받고 또한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스트레스 검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점차적으로 임상현장에서 스트레스 검사가 시행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스트레스 검사는 HRV분석에 의한 자율신경계 활성도 검사이다.그러나 HRV분석에 의해 얻어진 자율신경계의 각종 지표들을 이용해 스트레스 검사를 시행하는 데 있어 기존에 쓰여지고 있는 진단 방법이 환자의 상태와 부합되지 않는 면이 있으며 그 바탕에는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를 HRV 분석 결과에서 직접적으로 보여주지못한다는 점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약 10개월간 1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
대다수의 현대인들이 스트레스에 의해 고통을 받고 또한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스트레스 검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점차적으로 임상현장에서 스트레스 검사가 시행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스트레스 검사는 HRV분석에 의한 자율신경계 활성도 검사이다.그러나 HRV분석에 의해 얻어진 자율신경계의 각종 지표들을 이용해 스트레스 검사를 시행하는 데 있어 기존에 쓰여지고 있는 진단 방법이 환자의 상태와 부합되지 않는 면이 있으며 그 바탕에는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를 HRV 분석 결과에서 직접적으로 보여주지못한다는 점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약 10개월간 1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HRV검사를 스트레스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차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주관적인 스트레스 값을 파악하고 이 값에 의해서 스트레스성향군과 비스트레스성향군을 분류하여 스트레스성향군에서 임상적으로 유효한 HRV parameter들을 screening해 보았고, 2차적으로 전 모집단에 걸쳐 주관적인 스트레스 정도를 반영하는 HRV paratmer를 찾기 위한 통계작업을 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성향군에서는 meanRR, SDNN, LF값이 유의하게 비스트레스성향군과 구별되는 parameter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심박수가 증가하고, 심박변이도 및 교감신경 활성도가 떨어진다는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원론적인 의미는 확인할 수 있으나 임상에서 스트레스 검사의 정밀성을 올릴 수 있는 수준의 명확한 지표는 아니었다. 그러나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와 HRV parameter를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얻어진 2차 통계분석 결과 심전도상의 연속적인 RR값에서 얻어진 값들의 표준편차인 SDSD값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유의하게 반영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SDSD값은 기존의 HRV분석에 의한 스트레스 평가에는 주되게 쓰여 지지 않은 parameter이다. HRV분석을 이용한 현행 스트레스 검사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선 환자의 주관적인 스트레스 정도가 분석의 기본요소가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단순한 해결책은 스트레스 설문조사를 병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검사를 위해서는 주관적 스트레스의 정도 또한 HRV분석에서 얻어질 수 있어야 하므로, 향후 스트레스 검사에 있어 SDSD값을 주요 parameter로 활용함으로서 그 대안을 가져볼 수 있을 것이다.
대다수의 현대인들이 스트레스에 의해 고통을 받고 또한 스트레스가 만병의 근원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이 널리 퍼지면서 스트레스 검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점차적으로 임상현장에서 스트레스 검사가 시행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스트레스 검사는 HRV분석에 의한 자율신경계 활성도 검사이다.그러나 HRV분석에 의해 얻어진 자율신경계의 각종 지표들을 이용해 스트레스 검사를 시행하는 데 있어 기존에 쓰여지고 있는 진단 방법이 환자의 상태와 부합되지 않는 면이 있으며 그 바탕에는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를 HRV 분석 결과에서 직접적으로 보여주지못한다는 점이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약 10개월간 1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과 HRV검사를 스트레스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차적으로 설문조사에 의해 주관적인 스트레스 값을 파악하고 이 값에 의해서 스트레스성향군과 비스트레스성향군을 분류하여 스트레스성향군에서 임상적으로 유효한 HRV parameter들을 screening해 보았고, 2차적으로 전 모집단에 걸쳐 주관적인 스트레스 정도를 반영하는 HRV paratmer를 찾기 위한 통계작업을 하였다. 그 결과 스트레스성향군에서는 meanRR, SDNN, LF값이 유의하게 비스트레스성향군과 구별되는 parameter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기존의 연구에서와 같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심박수가 증가하고, 심박변이도 및 교감신경 활성도가 떨어진다는 경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원론적인 의미는 확인할 수 있으나 임상에서 스트레스 검사의 정밀성을 올릴 수 있는 수준의 명확한 지표는 아니었다. 그러나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와 HRV parameter를 직접적으로 연계하여 얻어진 2차 통계분석 결과 심전도상의 연속적인 RR값에서 얻어진 값들의 표준편차인 SDSD값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스트레스의 정도를 유의하게 반영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 SDSD값은 기존의 HRV분석에 의한 스트레스 평가에는 주되게 쓰여 지지 않은 parameter이다. HRV분석을 이용한 현행 스트레스 검사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위해선 환자의 주관적인 스트레스 정도가 분석의 기본요소가 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단순한 해결책은 스트레스 설문조사를 병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효율적이고 객관적인 검사를 위해서는 주관적 스트레스의 정도 또한 HRV분석에서 얻어질 수 있어야 하므로, 향후 스트레스 검사에 있어 SDSD값을 주요 parameter로 활용함으로서 그 대안을 가져볼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a functional test of autonomic nervous system has been adopted as a tool to support clinical evaluation of stress level. This study observed any correlation between HRV test results and clinically evaluated stress level. Method: Health examinati...
Backgrou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a functional test of autonomic nervous system has been adopted as a tool to support clinical evaluation of stress level. This study observed any correlation between HRV test results and clinically evaluated stress level. Method: Health examination subjects were introduced to HRV test. Stress level was evaluated with a stress questionnair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high or low stress level. HRV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ee if any of them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ress levels. Result: Subjects with high stress level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of mean RR interval, the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 and the power of low frequency. The standard deviation of successive differences correlated with subject's subjective stress level. Conclusion: HRV analysis may serve as an objective evaluation tool to support clinical evaluation of stress level.
Backgrou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a functional test of autonomic nervous system has been adopted as a tool to support clinical evaluation of stress level. This study observed any correlation between HRV test results and clinically evaluated stress level. Method: Health examination subjects were introduced to HRV test. Stress level was evaluated with a stress questionnair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high or low stress level. HRV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ee if any of them show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ress levels. Result: Subjects with high stress level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of mean RR interval, the standard deviation of NN interval, and the power of low frequency. The standard deviation of successive differences correlated with subject's subjective stress level. Conclusion: HRV analysis may serve as an objective evaluation tool to support clinical evaluation of stress level.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