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스쿼트 동작시 숙련자와 비숙련자간의 중량증가에 따른 자세변화와 근전도 반응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숙련자와 비숙련자가 중량증가에 따라 자세의 변화를 분석하여 보다 안전하고 근육의 활성도가 높은 중량을 찾아 내어 스쿼트 동작을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 P대학교 체육학과 학생들 중 웨이트 트레이닝 경험 1년이상인학생을 숙련자로 하고 꾸준한 웨이트 트레이닝 경험이 없는 학생을 비숙련자로 하여 각 그룹을 3명씩 총 6명을 선정 하였으며, 각 집단간의 중량변화(70%, 80%, 90%)에 따른 최대 근부하율과 평균 근부하율(start→ full down→ finish)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강시 7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는 숙련군은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내측광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고, 비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을 보였다. 하강시 8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는 숙련군은 내측광근,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고, 비숙련군은 내측광근, 외측광근, 대퇴직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나타 났다. 하강시 9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는 숙련군은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내측광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전도가 나타 났고, 비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2. 하강시 최대 근부하율에서는 70%, 80%, 90%에서 숙련군 비숙련군모두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상승시 7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상승시 80%, 9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부하율이 나타났고 비숙련군은 70%, 80%, 90%모두에서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동일하게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4. 상승시 70%중량의 최대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내측광근,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으며 비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대퇴직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상승시 80%중량의 최대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상승시 90%중량의 최대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으며, 비숙련순은 80%, 90%중량에서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70%, 80%, 90%의 중량증가에 대해 하강구간, 상승구간 모두에서 외측광근과 내측광근의 근육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결과는 숙련자와 비숙련자간에 주동근의 활용이 유사하다고 사료 되어진다. 상승시 최대 근부하율에서 80%의 중량을 사용했을 때 숙련자 비숙련자에서 척추기립근의 근부하율이 현저히 증가하는데 이것은 스쿼트 운동시 상승구간에서 80%중량의 사용이 다른 중량에 비해 척추기립근의 근육활동이 증가한다고 판단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
본 연구의 목적은 스쿼트 동작시 숙련자와 비숙련자간의 중량증가에 따른 자세변화와 근전도 반응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숙련자와 비숙련자가 중량증가에 따라 자세의 변화를 분석하여 보다 안전하고 근육의 활성도가 높은 중량을 찾아 내어 스쿼트 동작을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 P대학교 체육학과 학생들 중 웨이트 트레이닝 경험 1년이상인학생을 숙련자로 하고 꾸준한 웨이트 트레이닝 경험이 없는 학생을 비숙련자로 하여 각 그룹을 3명씩 총 6명을 선정 하였으며, 각 집단간의 중량변화(70%, 80%, 90%)에 따른 최대 근부하율과 평균 근부하율(start→ full down→ finish)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강시 7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는 숙련군은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내측광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고, 비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을 보였다. 하강시 8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는 숙련군은 내측광근,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고, 비숙련군은 내측광근, 외측광근, 대퇴직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나타 났다. 하강시 9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는 숙련군은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내측광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전도가 나타 났고, 비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2. 하강시 최대 근부하율에서는 70%, 80%, 90%에서 숙련군 비숙련군모두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상승시 7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상승시 80%, 9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부하율이 나타났고 비숙련군은 70%, 80%, 90%모두에서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동일하게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4. 상승시 70%중량의 최대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내측광근,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으며 비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대퇴직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상승시 80%중량의 최대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상승시 90%중량의 최대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으며, 비숙련순은 80%, 90%중량에서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70%, 80%, 90%의 중량증가에 대해 하강구간, 상승구간 모두에서 외측광근과 내측광근의 근육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결과는 숙련자와 비숙련자간에 주동근의 활용이 유사하다고 사료 되어진다. 상승시 최대 근부하율에서 80%의 중량을 사용했을 때 숙련자 비숙련자에서 척추기립근의 근부하율이 현저히 증가하는데 이것은 스쿼트 운동시 상승구간에서 80%중량의 사용이 다른 중량에 비해 척추기립근의 근육활동이 증가한다고 판단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모션캡쳐를 이용하여 Hip angles과 Knee angles 를 분석하여 정확한 이벤트 지점 선정에 활용하였고, Thorax Angles은 모든 중량에서 full down지점을 지나 상승구간에서 max값이 나타났는데 이는 상승구간에서 몸통기울기가 커짐에 따라 척추기립근의 사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 되어진다. 차후 스쿼트 운동시 중량증가에 따른 자세변화에 대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보다 다양한 관절의 각을 산출하여 좀더 세밀한 동작분석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쿼트 동작시 숙련자와 비숙련자간의 중량증가에 따른 자세변화와 근전도 반응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었다. 숙련자와 비숙련자가 중량증가에 따라 자세의 변화를 분석하여 보다 안전하고 근육의 활성도가 높은 중량을 찾아 내어 스쿼트 동작을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 P대학교 체육학과 학생들 중 웨이트 트레이닝 경험 1년이상인학생을 숙련자로 하고 꾸준한 웨이트 트레이닝 경험이 없는 학생을 비숙련자로 하여 각 그룹을 3명씩 총 6명을 선정 하였으며, 각 집단간의 중량변화(70%, 80%, 90%)에 따른 최대 근부하율과 평균 근부하율(start→ full down→ finish)의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하강시 7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는 숙련군은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내측광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고, 비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을 보였다. 하강시 8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는 숙련군은 내측광근,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고, 비숙련군은 내측광근, 외측광근, 대퇴직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나타 났다. 하강시 9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는 숙련군은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내측광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전도가 나타 났고, 비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2. 하강시 최대 근부하율에서는 70%, 80%, 90%에서 숙련군 비숙련군모두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상승시 7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상승시 80%, 90%중량의 평균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부하율이 나타났고 비숙련군은 70%, 80%, 90%모두에서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동일하게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4. 상승시 70%중량의 최대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내측광근, 외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으며 비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대퇴직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상승시 80%중량의 최대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다. 상승시 90%중량의 최대 근부하율에서 숙련군은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이두근, 대퇴직근의 순으로 근육활동이 나타났으며, 비숙련순은 80%, 90%중량에서 외측광근, 내측광근, 척추기립근, 대퇴직근, 대퇴이두근의 순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70%, 80%, 90%의 중량증가에 대해 하강구간, 상승구간 모두에서 외측광근과 내측광근의 근육활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결과는 숙련자와 비숙련자간에 주동근의 활용이 유사하다고 사료 되어진다. 상승시 최대 근부하율에서 80%의 중량을 사용했을 때 숙련자 비숙련자에서 척추기립근의 근부하율이 현저히 증가하는데 이것은 스쿼트 운동시 상승구간에서 80%중량의 사용이 다른 중량에 비해 척추기립근의 근육활동이 증가한다고 판단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모션캡쳐를 이용하여 Hip angles과 Knee angles 를 분석하여 정확한 이벤트 지점 선정에 활용하였고, Thorax Angles은 모든 중량에서 full down지점을 지나 상승구간에서 max값이 나타났는데 이는 상승구간에서 몸통기울기가 커짐에 따라 척추기립근의 사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 되어진다. 차후 스쿼트 운동시 중량증가에 따른 자세변화에 대한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보다 다양한 관절의 각을 산출하여 좀더 세밀한 동작분석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a percentage of maximum muscle load and average muscle load, and deduce the conclusion. In the first stage, a total of six subjects, three subjects of each group (skilled group with more than one year weight training experience and unskilled...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a percentage of maximum muscle load and average muscle load, and deduce the conclusion. In the first stage, a total of six subjects, three subjects of each group (skilled group with more than one year weight training experience and unskilled group with less than one year weight training experience) were selected, currently undergraduate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t P University. 1. In descending order, with an average muscle load of 7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eir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erector spinae, vastus medialis,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whereas, the unskilled group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biceps femoris. In descending order, with an average muscle load of 8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eir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whereas, the unskilled group showed their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rectus femoris, erector spinae, and biceps femoris. In descending order, with an average muscle load of 9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eir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erector spinae, vastus medialis,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whereas, the unskilledgroup showed their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2. With a maximum muscle load in descending order of 70%, 80%, and 90% weight, both groups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3. With a maximum muslce load in ascending order of 7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ments moved in order from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erector spinae, biceps femoris, and rectus femoris; whereas, the unskilled group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ment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rectus femoris, erector spinae, and biceps femoris. 4. With a maximum muscle load in ascending order of 7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ment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whereas, the unskilled group of 80% and 90% weight showed their same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With a maximum muscle load in ascending order of 7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ment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biceps femoris, and biceps femoris. With a maximum muscle load in ascending order of 80% and 90% weight, the skilledgroup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ment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whereas, all unskilled group’s muscle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of a percentage of maximum muscle load and average muscle load, and deduce the conclusion. In the first stage, a total of six subjects, three subjects of each group (skilled group with more than one year weight training experience and unskilled group with less than one year weight training experience) were selected, currently undergraduate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t P University. 1. In descending order, with an average muscle load of 7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eir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erector spinae, vastus medialis,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whereas, the unskilled group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biceps femoris. In descending order, with an average muscle load of 8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eir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whereas, the unskilled group showed their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rectus femoris, erector spinae, and biceps femoris. In descending order, with an average muscle load of 9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eir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erector spinae, vastus medialis,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whereas, the unskilledgroup showed their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2. With a maximum muscle load in descending order of 70%, 80%, and 90% weight, both groups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3. With a maximum muslce load in ascending order of 7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ments moved in order from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erector spinae, biceps femoris, and rectus femoris; whereas, the unskilled group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ment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rectus femoris, erector spinae, and biceps femoris. 4. With a maximum muscle load in ascending order of 7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ment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whereas, the unskilled group of 80% and 90% weight showed their same muscle movements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With a maximum muscle load in ascending order of 70% weight, the skilled group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ment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biceps femoris, and biceps femoris. With a maximum muscle load in ascending order of 80% and 90% weight, the skilledgroup showed that their muscles movement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whereas, all unskilled group’s muscles moved in order from vastus lateralis, vastus medialis, erector spinae, rectus femoris, and biceps femor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