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6․25전쟁 발발전후 남한사회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사건의 피해 유족들이 한국사회의 급격한 정치․사회적 변화를 경험하며 학살을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의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도와 경산지역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사건의 피해유족들 대부분은 학살이 단지 과거의 행위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학살 이후 국가의 지속적인 감시와 통제로 인해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그들의 기억 속에 내재되어 현실의 삶에서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는 국가권력의 상징으로 인식하고 있다.
유족들은 학살 이후 한국사회의 정치·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며 시대적 상황에 맞는 대응방식을 선택해왔으며 새로운 담론들을 생산해왔다. 학살 직후 형성된 폭압적인 사회질서와 5․16군사쿠데타는 유족들로 하여금 학살을 망각하도록 작동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실시된 반공교육은 유족들의 잠재적 저항의식까지 통제해 버림으로서 유족들이 국가체제에 종속되도록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유족들 중에서는 연좌제와 같은 또 다른 형태의 국가폭력으로부터 자신과 가족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오히려 국가체제에 더욱 더 복종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에 반해 1960년 4·19혁명과 1980년대에 한국사회에 불어온 민주화의 열기는 그 동안 망각되고 통제되어 왔던 유족들의 학살에 대한 기억을 복원하고 저항의식을 표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유족들은 기존의 방어적인 대응논리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1960년 4·19혁명 직후와 1987년 6월 항쟁 이후 결성된 유족회는 바로 이러한 유족들의 적극적인 대응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유족들은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대적 가치에 따르는 새로운 담론들을 생산해왔다. 4·19혁명 직후의 유족들이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건 관련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요구한 반면, 6월 항쟁 이후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유족들은 금전적 배상과 위령탑의 건립이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처럼 민주화를 통해 변화된 정치·사회적 환경을 토대로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유족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노력은 학살 이후 수십 년의 세월을 침묵하며 불법적인 학살을 은폐하려했던 국가의 태도를 변화시켰으며 마침내 국가차원의 조사를 이끌어내기에 이르렀다. 국가기관의 설립은 그 자체로 유족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하였으며 조사를 통해 밝혀진 진실은 유족들에게 형성된 담론을 해소하기 위한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국가기관의 조사를 통해 과거 불법적인 학살에 대한 진실이 일부 규명되었다고는 하나 현재 유족들에게 있어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담론인 금전적 배상과 관련한 국가 기관의 상반된 시각은 유족들 간의 갈등과 분열을 유발시켰다. 그로 말미암아 오늘날 유족들은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를 구분 지으려는 경향을 보이는가 하면 또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를 상대로 근본적인 ...
이 연구는 6․25전쟁 발발전후 남한사회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사건의 피해 유족들이 한국사회의 급격한 정치․사회적 변화를 경험하며 학살을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의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도와 경산지역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사건의 피해유족들 대부분은 학살이 단지 과거의 행위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학살 이후 국가의 지속적인 감시와 통제로 인해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그들의 기억 속에 내재되어 현실의 삶에서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는 국가권력의 상징으로 인식하고 있다.
유족들은 학살 이후 한국사회의 정치·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며 시대적 상황에 맞는 대응방식을 선택해왔으며 새로운 담론들을 생산해왔다. 학살 직후 형성된 폭압적인 사회질서와 5․16군사쿠데타는 유족들로 하여금 학살을 망각하도록 작동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실시된 반공교육은 유족들의 잠재적 저항의식까지 통제해 버림으로서 유족들이 국가체제에 종속되도록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유족들 중에서는 연좌제와 같은 또 다른 형태의 국가폭력으로부터 자신과 가족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오히려 국가체제에 더욱 더 복종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에 반해 1960년 4·19혁명과 1980년대에 한국사회에 불어온 민주화의 열기는 그 동안 망각되고 통제되어 왔던 유족들의 학살에 대한 기억을 복원하고 저항의식을 표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유족들은 기존의 방어적인 대응논리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1960년 4·19혁명 직후와 1987년 6월 항쟁 이후 결성된 유족회는 바로 이러한 유족들의 적극적인 대응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유족들은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대적 가치에 따르는 새로운 담론들을 생산해왔다. 4·19혁명 직후의 유족들이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건 관련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요구한 반면, 6월 항쟁 이후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유족들은 금전적 배상과 위령탑의 건립이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처럼 민주화를 통해 변화된 정치·사회적 환경을 토대로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유족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노력은 학살 이후 수십 년의 세월을 침묵하며 불법적인 학살을 은폐하려했던 국가의 태도를 변화시켰으며 마침내 국가차원의 조사를 이끌어내기에 이르렀다. 국가기관의 설립은 그 자체로 유족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하였으며 조사를 통해 밝혀진 진실은 유족들에게 형성된 담론을 해소하기 위한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국가기관의 조사를 통해 과거 불법적인 학살에 대한 진실이 일부 규명되었다고는 하나 현재 유족들에게 있어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담론인 금전적 배상과 관련한 국가 기관의 상반된 시각은 유족들 간의 갈등과 분열을 유발시켰다. 그로 말미암아 오늘날 유족들은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를 구분 지으려는 경향을 보이는가 하면 또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를 상대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요구하며 새로운 대응담론을 생산해내고 있다.
결국 민간인 학살 문제에 대한 유족들의 시각과 대응은 한국사회의 정치․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국가의 의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 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볼 때, 학살의 문제는 과거와 현재뿐만 아니라 향후 한국사회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 보여 진다.
이 연구는 6․25전쟁 발발전후 남한사회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사건의 피해 유족들이 한국사회의 급격한 정치․사회적 변화를 경험하며 학살을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사회의 변화하는 사회․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시작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도와 경산지역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사건의 피해유족들 대부분은 학살이 단지 과거의 행위로 단절된 것이 아니라 학살 이후 국가의 지속적인 감시와 통제로 인해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그들의 기억 속에 내재되어 현실의 삶에서 생각과 행동을 통제하는 국가권력의 상징으로 인식하고 있다.
유족들은 학살 이후 한국사회의 정치·사회적 환경의 변화를 경험하며 시대적 상황에 맞는 대응방식을 선택해왔으며 새로운 담론들을 생산해왔다. 학살 직후 형성된 폭압적인 사회질서와 5․16군사쿠데타는 유족들로 하여금 학살을 망각하도록 작동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실시된 반공교육은 유족들의 잠재적 저항의식까지 통제해 버림으로서 유족들이 국가체제에 종속되도록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유족들 중에서는 연좌제와 같은 또 다른 형태의 국가폭력으로부터 자신과 가족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오히려 국가체제에 더욱 더 복종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에 반해 1960년 4·19혁명과 1980년대에 한국사회에 불어온 민주화의 열기는 그 동안 망각되고 통제되어 왔던 유족들의 학살에 대한 기억을 복원하고 저항의식을 표출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유족들은 기존의 방어적인 대응논리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1960년 4·19혁명 직후와 1987년 6월 항쟁 이후 결성된 유족회는 바로 이러한 유족들의 적극적인 대응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유족들은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대적 가치에 따르는 새로운 담론들을 생산해왔다. 4·19혁명 직후의 유족들이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건 관련 가해자에 대한 처벌을 요구한 반면, 6월 항쟁 이후 오늘날을 살아가고 있는 유족들은 금전적 배상과 위령탑의 건립이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처럼 민주화를 통해 변화된 정치·사회적 환경을 토대로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유족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노력은 학살 이후 수십 년의 세월을 침묵하며 불법적인 학살을 은폐하려했던 국가의 태도를 변화시켰으며 마침내 국가차원의 조사를 이끌어내기에 이르렀다. 국가기관의 설립은 그 자체로 유족들의 상처를 치유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하였으며 조사를 통해 밝혀진 진실은 유족들에게 형성된 담론을 해소하기 위한 근거가 되었다. 하지만 국가기관의 조사를 통해 과거 불법적인 학살에 대한 진실이 일부 규명되었다고는 하나 현재 유족들에게 있어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담론인 금전적 배상과 관련한 국가 기관의 상반된 시각은 유족들 간의 갈등과 분열을 유발시켰다. 그로 말미암아 오늘날 유족들은 민간인 학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를 구분 지으려는 경향을 보이는가 하면 또 다른 한편으로는 국가를 상대로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요구하며 새로운 대응담론을 생산해내고 있다.
결국 민간인 학살 문제에 대한 유족들의 시각과 대응은 한국사회의 정치․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국가의 의지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해 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볼 때, 학살의 문제는 과거와 현재뿐만 아니라 향후 한국사회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 보여 진다.
This study's aims are to find answers following questions ;
Firstly, what's the victims' descendants' perception and reaction toward civilian massacre in South Korea?
Secondly, what's the change of their social and cultural identity in solving the problem of massacre?
To answer these questions, I ...
This study's aims are to find answers following questions ;
Firstly, what's the victims' descendants' perception and reaction toward civilian massacre in South Korea?
Secondly, what's the change of their social and cultural identity in solving the problem of massacre?
To answer these questions, I tried to analyze the changes of discourse the victims' descendants have. But it is difficult to analyse because of absense of official documents, I had to depend on descendans' memories by means of oral interview.
Most of victim's descendants regard the massacre of Korean War not only past actions but present ones influence till now, and they have made several choices and produced new discourses in solving the problem of massacre from time to time an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ince the Korean War and military Coup d'Etat of 1961, the first generation of victims, they was forced to forget the massacre by the means of policy of repression, i. e., the principle of guilt by association, and constant and coercive anti-communism education. They had to be quiet and even obey to the state violence against civilian, massacre.
During the 4․19 Revolution, the first generation claimed the punishment of assailants directly.
But during the late 1980, so called after '1987 June Uprising,' for the second generation of victims, monetary compensation and the building of memorial tower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punishment.
Second generation of victims, while they didn't have direct experiences of massacre, they maintain that they had economic and social disadvantages, as sons or daughters of victims, who was branded as 'reds' by the state.
The efforts of the descendants of the victims resulted in the advent of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Truth Commission's activities, while it is possible to find the massacre illegal, monetary compensation problem remains unsolved, and it makes the victim's descendant groups apart. They try to make a new discourse for solving the massacre problem against the government.
In conclusion, because the view and reaction of descendants of victims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political and social change and the will of state, from time to time an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problem of massacre is still very important factor which is for formation of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This study's aims are to find answers following questions ;
Firstly, what's the victims' descendants' perception and reaction toward civilian massacre in South Korea?
Secondly, what's the change of their social and cultural identity in solving the problem of massacre?
To answer these questions, I tried to analyze the changes of discourse the victims' descendants have. But it is difficult to analyse because of absense of official documents, I had to depend on descendans' memories by means of oral interview.
Most of victim's descendants regard the massacre of Korean War not only past actions but present ones influence till now, and they have made several choices and produced new discourses in solving the problem of massacre from time to time an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ince the Korean War and military Coup d'Etat of 1961, the first generation of victims, they was forced to forget the massacre by the means of policy of repression, i. e., the principle of guilt by association, and constant and coercive anti-communism education. They had to be quiet and even obey to the state violence against civilian, massacre.
During the 4․19 Revolution, the first generation claimed the punishment of assailants directly.
But during the late 1980, so called after '1987 June Uprising,' for the second generation of victims, monetary compensation and the building of memorial tower were more important than the punishment.
Second generation of victims, while they didn't have direct experiences of massacre, they maintain that they had economic and social disadvantages, as sons or daughters of victims, who was branded as 'reds' by the state.
The efforts of the descendants of the victims resulted in the advent of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Republic of Korea.'
Through the Truth Commission's activities, while it is possible to find the massacre illegal, monetary compensation problem remains unsolved, and it makes the victim's descendant groups apart. They try to make a new discourse for solving the massacre problem against the government.
In conclusion, because the view and reaction of descendants of victims have been changed according to political and social change and the will of state, from time to time an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 problem of massacre is still very important factor which is for formation of the Korean cultural identit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