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돈 관련 속담이 개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라 실생활 속에서 어느 정도 공감성을 갖고 일상생활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을 갖고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직장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도구로 돈 관련 속담의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와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송재선(1998)의 돈 속담 사전에 수록된 속담 자료를 사용하였고, 직장인의 성격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Guilford-Zimmerman이 분류, 정리해 놓은 기질 조사표와 중앙직업 적응 연구소에서 제작한 표본화 성격진단 검사에서 측정하는 개인적 특성을 참고하여 금용규와 박용란(1970)이 제작한 성격측정 분류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
본 연구는 돈 관련 속담이 개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라 실생활 속에서 어느 정도 공감성을 갖고 일상생활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을 갖고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직장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도구로 돈 관련 속담의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와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송재선(1998)의 돈 속담 사전에 수록된 속담 자료를 사용하였고, 직장인의 성격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Guilford-Zimmerman이 분류, 정리해 놓은 기질 조사표와 중앙직업 적응 연구소에서 제작한 표본화 성격진단 검사에서 측정하는 개인적 특성을 참고하여 금용규와 박용란(1970)이 제작한 성격측정 분류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속담이 개인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속담이 개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매우 높다’ 65명(16.3%), ‘다소 높다’ 226명(56.5%), ‘다소 낮다’ 93명(23.3%), ‘매우 낮다’ 16명(4.0%)으로 나타나 전체 72.8%가 속담이 개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적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돈 관련 속담에 대한 실생활 활용도 및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현대 생활에서의 타당성에 있어서는 ‘돈 거래’(M=3.75), ‘빚’(M=3.64), ‘돈 효용성'(M=3.59), ‘돈 소유’(M=3.58), ‘돈 벌기’(M=3.46)순으로 나타났고, ‘돈벌기’, ‘돈거래’, ‘빚’, ‘돈 소유’, ‘돈의 효용성’의 돈 관련 속담에 대한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는 평균 3.61점으로 나타났으며, 실생활에서의 활용도에 있어서 ‘돈거래’(M=3.63), ‘빚’(M=3.58), ‘돈 소유’(M=3.58), ‘돈 효용성'(M=3.51), ‘돈 벌기’(M=3.35)순으로 나타났고, ‘돈벌기’, ‘돈거래’, ‘빚’, ‘돈소유’, ‘돈의 효용성’의 돈 관련 속담에 대한 실생활 활용도는 평균 3.53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격유형별 돈 관련 속담에 대한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돈 관련 속담에 대한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는 우월적(M=4.43)인 성격을 지닌 직장인들에게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남향적(M=3.78)인 성격이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안정감(M=3.39)을 지닌 성격에게서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하위영역별 돈 벌기, 돈 거래, 빚, 돈 소유, 돈 효용성에 있어서도 자신감이나 자기 과시적 성격이 강한 우월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돈 벌기, 돈 거래, 빚, 돈 소유, 돈 효용성에 관련된 속담의 타당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려성이나 사고성, 사회성, 정서적 안정감 등의 성격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성격유형별 돈 관련 속담에 대한 실생활에서의 활용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돈 관련 속담에 대한 실생활 활용도는 우월성(M=4.22)인 성격을 지닌 사람들에게서 가장 활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일반적 활동성(M=3.72)인 성격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려성(M=3.47)을 지닌 성격에게서는 상대적으로 가장 활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영역별 돈 거래, 돈 소유, 돈 효용성에 있어서도 자신감이나 자기 과시적 성격이 강한 우월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돈 거래, 돈 소유, 돈 효용성에 관련된 속담의 실생활 활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려성이나 우호성, 사고성, 사회성 등의 성격에게서는 상대적으로 실생활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공유된 사고와 정서를 파악하고 성격유형별로 속담을 인식하는데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돈 관련 속담이 개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라 실생활 속에서 어느 정도 공감성을 갖고 일상생활에서 활용되고 있는지 밝히는데 그 목적을 갖고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서울 소재 직장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도구로 돈 관련 속담의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와 실생활에서의 활용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송재선(1998)의 돈 속담 사전에 수록된 속담 자료를 사용하였고, 직장인의 성격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Guilford-Zimmerman이 분류, 정리해 놓은 기질 조사표와 중앙직업 적응 연구소에서 제작한 표본화 성격진단 검사에서 측정하는 개인적 특성을 참고하여 금용규와 박용란(1970)이 제작한 성격측정 분류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정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속담이 개인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속담이 개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매우 높다’ 65명(16.3%), ‘다소 높다’ 226명(56.5%), ‘다소 낮다’ 93명(23.3%), ‘매우 낮다’ 16명(4.0%)으로 나타나 전체 72.8%가 속담이 개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적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돈 관련 속담에 대한 실생활 활용도 및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를 분석한 결과 현대 생활에서의 타당성에 있어서는 ‘돈 거래’(M=3.75), ‘빚’(M=3.64), ‘돈 효용성'(M=3.59), ‘돈 소유’(M=3.58), ‘돈 벌기’(M=3.46)순으로 나타났고, ‘돈벌기’, ‘돈거래’, ‘빚’, ‘돈 소유’, ‘돈의 효용성’의 돈 관련 속담에 대한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는 평균 3.61점으로 나타났으며, 실생활에서의 활용도에 있어서 ‘돈거래’(M=3.63), ‘빚’(M=3.58), ‘돈 소유’(M=3.58), ‘돈 효용성'(M=3.51), ‘돈 벌기’(M=3.35)순으로 나타났고, ‘돈벌기’, ‘돈거래’, ‘빚’, ‘돈소유’, ‘돈의 효용성’의 돈 관련 속담에 대한 실생활 활용도는 평균 3.53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격유형별 돈 관련 속담에 대한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돈 관련 속담에 대한 현대생활에서의 타당도는 우월적(M=4.43)인 성격을 지닌 직장인들에게서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남향적(M=3.78)인 성격이 높게 나타났으며, 정서적 안정감(M=3.39)을 지닌 성격에게서는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또한 하위영역별 돈 벌기, 돈 거래, 빚, 돈 소유, 돈 효용성에 있어서도 자신감이나 자기 과시적 성격이 강한 우월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돈 벌기, 돈 거래, 빚, 돈 소유, 돈 효용성에 관련된 속담의 타당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사려성이나 사고성, 사회성, 정서적 안정감 등의 성격에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넷째, 성격유형별 돈 관련 속담에 대한 실생활에서의 활용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돈 관련 속담에 대한 실생활 활용도는 우월성(M=4.22)인 성격을 지닌 사람들에게서 가장 활용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일반적 활동성(M=3.72)인 성격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려성(M=3.47)을 지닌 성격에게서는 상대적으로 가장 활용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영역별 돈 거래, 돈 소유, 돈 효용성에 있어서도 자신감이나 자기 과시적 성격이 강한 우월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돈 거래, 돈 소유, 돈 효용성에 관련된 속담의 실생활 활용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려성이나 우호성, 사고성, 사회성 등의 성격에게서는 상대적으로 실생활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공유된 사고와 정서를 파악하고 성격유형별로 속담을 인식하는데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whether the money-related proverbs have been applied to daily life with some sympathy in real life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y types. For this, a survey was carried on 400 office workers in Seoul. The proverb data in the Song Jae-sun(1998)'s mone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whether the money-related proverbs have been applied to daily life with some sympathy in real life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y types. For this, a survey was carried on 400 office workers in Seoul. The proverb data in the Song Jae-sun(1998)'s money proverb dictionary were used as survey tools to understand the validity in modern life and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The measurement of office workers' personality types referred to the disposition survey tables classified and arranged by Guilford-Zimmerman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measure on the sampling personality diagnosis test manufactured from National Center of Jon Adaptation Research, to use the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measurement made by Keum Yong-kyu and Park Yong-ran(1970). A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of the collected data were made.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roverb on individual psychology showed that ‘very high’, ‘a little high’, ‘a little’ and ‘very low’ are 65 persons(16.3%), 226 persons(56.5%), 93 persons(23.3%) and 16 persons(4.0%), respectively, which the whole 72.8% evaluates the effect of proverb on individual psychology is relatively high.
Second,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and the validity in modern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showed that the validity in modern life is order of ‘money trade’(M=3.75), ‘debt’(M=3.64), ‘money usefulness'(M=3.59), ‘money possession’(M=3.58) and ‘money-making’(M=3.46), and the validity in modern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such as ‘money-making’, ‘money trade’, ‘debt’, ‘money possession’ and ‘money usefulness’ is 3.61 points on the average.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was order of ‘money trade’(M=3.63), ‘debt’(M=3.58), ‘money possession’(M=3.58), ‘money usefulness'(M=3.51) and ‘money-making’(M=3.35), and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such as ‘money-making’, ‘money trade’, ‘debt’, ‘money possession’ and ‘money usefulness’ was 3.53 points on the average.
Thir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for validity in modern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showed that for the validity in modern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the superior(M=4.43) personality is the highest, subsequently masculine(M=3.78) personality, and the personality with emotional stability(M=3.39) is the relatively lowest. For the superior personality with strong confidence or self-conspicuousness, the recognition for the validity of proverb related to ‘money-making’, ‘money trade’, ‘debt’, ‘money possession’ and ‘money usefulness’ by sub-domain was high. For the personalities such as consideration, thinking, soci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it was relatively low.
Fourth,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for application in real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by personality type showed that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the superior personality(M=4.22) is the highest, subsequently general active personality(M=3.72) and considerable personality(M=3.47). For the superior personality with strong confidence or self-conspicuousness, the recognition for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of proverb related to ‘money trade’, ‘money possession’ and ‘money usefulness’ by sub-domain was the highest. For the personalities such as consideration, friendship, thinking and sociality, it was relatively low.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community members' shared thinking and emotion and recognizing proverbs by personality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whether the money-related proverbs have been applied to daily life with some sympathy in real life according to individual personality types. For this, a survey was carried on 400 office workers in Seoul. The proverb data in the Song Jae-sun(1998)'s money proverb dictionary were used as survey tools to understand the validity in modern life and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The measurement of office workers' personality types referred to the disposition survey tables classified and arranged by Guilford-Zimmerman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ich measure on the sampling personality diagnosis test manufactured from National Center of Jon Adaptation Research, to use the classification of personality measurement made by Keum Yong-kyu and Park Yong-ran(1970). A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of the collected data were made. The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proverb on individual psychology showed that ‘very high’, ‘a little high’, ‘a little’ and ‘very low’ are 65 persons(16.3%), 226 persons(56.5%), 93 persons(23.3%) and 16 persons(4.0%), respectively, which the whole 72.8% evaluates the effect of proverb on individual psychology is relatively high.
Second,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and the validity in modern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showed that the validity in modern life is order of ‘money trade’(M=3.75), ‘debt’(M=3.64), ‘money usefulness'(M=3.59), ‘money possession’(M=3.58) and ‘money-making’(M=3.46), and the validity in modern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such as ‘money-making’, ‘money trade’, ‘debt’, ‘money possession’ and ‘money usefulness’ is 3.61 points on the average.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was order of ‘money trade’(M=3.63), ‘debt’(M=3.58), ‘money possession’(M=3.58), ‘money usefulness'(M=3.51) and ‘money-making’(M=3.35), and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such as ‘money-making’, ‘money trade’, ‘debt’, ‘money possession’ and ‘money usefulness’ was 3.53 points on the average.
Thir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for validity in modern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showed that for the validity in modern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the superior(M=4.43) personality is the highest, subsequently masculine(M=3.78) personality, and the personality with emotional stability(M=3.39) is the relatively lowest. For the superior personality with strong confidence or self-conspicuousness, the recognition for the validity of proverb related to ‘money-making’, ‘money trade’, ‘debt’, ‘money possession’ and ‘money usefulness’ by sub-domain was high. For the personalities such as consideration, thinking, sociality and emotional stability, it was relatively low.
Fourth,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for application in real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by personality type showed that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of money-related proverbs, the superior personality(M=4.22) is the highest, subsequently general active personality(M=3.72) and considerable personality(M=3.47). For the superior personality with strong confidence or self-conspicuousness, the recognition for the application in real life of proverb related to ‘money trade’, ‘money possession’ and ‘money usefulness’ by sub-domain was the highest. For the personalities such as consideration, friendship, thinking and sociality, it was relatively low.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understanding community members' shared thinking and emotion and recognizing proverbs by personality typ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