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현재까지 probiotics로 사용되고 있는 Bacillus spp.의 probiotic 활성에 관한 선행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들 균주들은 항균활성, 내산 및 내담즙성, siderophore 생산능을 보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Bacillus spp.의 잠재적 probiotics로서 , 내산 및 내담즙성, siderophore 생산능을 보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Bacillus spp.의 잠재적 probiotics로서 사용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Bacillus probiotics들과 관련하여 불충분한 임상연구, 독소생산과 관련된 안전성의 논란, 그리고 잘못된 균주 사용으로 인한 오표기등과 같은 문제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Bacillus spp.와 관련하여 국내·외 생균제 관련 사용 인정 및 규제 현황을 살펴본 결과,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과학적 안전성 평가 및 올바른 사용 규제와 관련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국내 대한약전외의약품등기준에 등재된 Bacillus spp. 균주 중, B. mesentericus Toa, B. natto S, B. polyfermenticus n.sp.는 국제 세균 명명규약에 분류되어 있지 않은 균주임이 확인되었으며, L. sporogenes로 잘못 등재되어 있는 B. coagulans의 경우에는 분류명의 재확인을 거친 개정이 시급히 수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또한 안전성의 판단이 모호한 법적 고시에 등재되지 않은 균주 및 사용 인정이 되지 않은 균주들의 사용과 균주명의 잘못된 표시 등은 의약품, 식품, 동물용 의약품 및 사료 제조업체들로부터 시정이 요구되는 사항이라 할 수 있겠다.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activities of Bacillus spp. used as probiotics as of now, it had been confirmed that these strains were capable of antibacterial activity, acid-resistance and bile-resistance, and siderophore produ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value in use of Bac...
저자 | 엄태규 |
---|---|
학위수여기관 | 중앙대학교 의약식품대학원 |
학위구분 | 국내석사 |
학과 | 식품안전성관리전공 |
지도교수 | 김근성 |
발행년도 | 2010 |
총페이지 | iv, 55 p. |
언어 | kor |
원문 URL | http://www.riss.kr/link?id=T12153078&outLink=K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