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 기록물 관리에 틀을 마련해 본격적인 기록물 관리의 체계를 갖추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현용, 준현용, 비현용의 각 단계마다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기록물 관리 표준화와 법령화 하였으며 국가 차원에서 이들을 확산 보급하고 교육시키고 있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계속해서 발전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은 전자기록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이기록물에 대한 관심은 적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조선시대의 훌륭한 기록문화와 기록보존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해외 사례나 제도에 대한 연구가 중심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선시대의 기록물 관리의 전통 또한 단절되어 계승·발전하지 못하였다. 이는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존제도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역사기록의 보존이라는 국가기능이 단절되고 보존을 위한 관리가 아니라 기록물 활용과 업무의 효율성을 위한 관리체계가 성립되면서 정통의 단절의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또한 기록물 보존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게 되었다. 보존인식의 부재나 관리 중심의 보존체계 분만 아니라 기술적 측면에서 현대 기록물 보존활동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보존환경 유지를 위한 예산문제, ...
우리나라는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 기록물 관리에 틀을 마련해 본격적인 기록물 관리의 체계를 갖추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현용, 준현용, 비현용의 각 단계마다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기록물 관리 표준화와 법령화 하였으며 국가 차원에서 이들을 확산 보급하고 교육시키고 있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계속해서 발전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은 전자기록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이기록물에 대한 관심은 적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조선시대의 훌륭한 기록문화와 기록보존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해외 사례나 제도에 대한 연구가 중심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선시대의 기록물 관리의 전통 또한 단절되어 계승·발전하지 못하였다. 이는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존제도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역사기록의 보존이라는 국가기능이 단절되고 보존을 위한 관리가 아니라 기록물 활용과 업무의 효율성을 위한 관리체계가 성립되면서 정통의 단절의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또한 기록물 보존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게 되었다. 보존인식의 부재나 관리 중심의 보존체계 분만 아니라 기술적 측면에서 현대 기록물 보존활동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보존환경 유지를 위한 예산문제, 훈증 및 소독제의 환경오염문제 등으로 인해 보존인식이 존재한다고 해도 기록물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잘못된 보존 상식으로 인해 손상을 초래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존의 전반적인 제도 및 활동을 살펴보고 계승·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전반적인 제도 및 활동을 살펴보기 위해 제도적 측면으로는 조선시대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과 《대전회통(大典會通)》을 비교·연구하였고, 조선시대의 보존기관의 설립과정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실제로 운영되었던 보존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경국대전(經國大典)》과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는 봉심(奉審)과 장문서(藏文書) 조항에서 기록물 보존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봉심조(奉審條)에서는 옥책(玉冊), 죽책(竹冊), 고명(誥命), 실록 등의 봉심시기 등을 규정하고 장문서조(藏文書條)에서는 구체적인 공기록 관리와 보관, 서책의 인출과 보관 등을 규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존기관으로 가각고, 승문원, 문서고 사고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가각고는 문서를 보존하고 이용하는 현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을 하였으며 승문원은 외교문서를 보존하였고, 문서고는 각 관아에서 생산되는 현용, 비현용문서를 보관하였으며, 사고는 실록 및 선원보략을 포함한 조선시대 국가 중요 서책 및 기록물을 보존하는 기관이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존을 위한 활동으로는 보존 관리를 위한 기록인 형지안(形止案), 등록(謄錄), 중기(重記) 및 해유문서와 생물적 피해 방지를 위한 포쇄와 방충 활동, 물리적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성책(成冊) 및 장황(粧潢)활동, 화재 및 도난 대비 활동과 보존처리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는 특히 철저한 기록 활동으로 소장 기록물을 직·간접적으로 관리, 보존하였으며 이밖에도 자연원리를 완벽히 이해하여 사고건물의 형태나 궤(櫃) 속에 봉안함으로써 보존환경의 마련에 힘썼다. 이러한 보존활동은 현대의 보존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이다. 하지만 조선시대와 현대는 기록물의 생산량, 기록 매체, 사회제도, 보존환경 등이 차이가 있음으로 조선시대의 보존활동을 그대로 현대에 대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보존활동의 원리를 파악하고 현대에 맞게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1999년 '공공기관의 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 기록물 관리에 틀을 마련해 본격적인 기록물 관리의 체계를 갖추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현용, 준현용, 비현용의 각 단계마다 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기록물 관리 표준화와 법령화 하였으며 국가 차원에서 이들을 확산 보급하고 교육시키고 있는 단계에 이르렀으며 계속해서 발전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은 전자기록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이기록물에 대한 관심은 적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조선시대의 훌륭한 기록문화와 기록보존제도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해외 사례나 제도에 대한 연구가 중심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조선시대의 기록물 관리의 전통 또한 단절되어 계승·발전하지 못하였다. 이는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존제도는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역사기록의 보존이라는 국가기능이 단절되고 보존을 위한 관리가 아니라 기록물 활용과 업무의 효율성을 위한 관리체계가 성립되면서 정통의 단절의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또한 기록물 보존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게 되었다. 보존인식의 부재나 관리 중심의 보존체계 분만 아니라 기술적 측면에서 현대 기록물 보존활동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보존환경 유지를 위한 예산문제, 훈증 및 소독제의 환경오염문제 등으로 인해 보존인식이 존재한다고 해도 기록물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잘못된 보존 상식으로 인해 손상을 초래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존의 전반적인 제도 및 활동을 살펴보고 계승·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조선시대의 전반적인 제도 및 활동을 살펴보기 위해 제도적 측면으로는 조선시대 법전인 《경국대전(經國大典)》과 《대전회통(大典會通)》을 비교·연구하였고, 조선시대의 보존기관의 설립과정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실제로 운영되었던 보존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경국대전(經國大典)》과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는 봉심(奉審)과 장문서(藏文書) 조항에서 기록물 보존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봉심조(奉審條)에서는 옥책(玉冊), 죽책(竹冊), 고명(誥命), 실록 등의 봉심시기 등을 규정하고 장문서조(藏文書條)에서는 구체적인 공기록 관리와 보관, 서책의 인출과 보관 등을 규정하고 있다. 다음으로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존기관으로 가각고, 승문원, 문서고 사고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가각고는 문서를 보존하고 이용하는 현대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기능을 하였으며 승문원은 외교문서를 보존하였고, 문서고는 각 관아에서 생산되는 현용, 비현용문서를 보관하였으며, 사고는 실록 및 선원보략을 포함한 조선시대 국가 중요 서책 및 기록물을 보존하는 기관이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의 기록물 보존을 위한 활동으로는 보존 관리를 위한 기록인 형지안(形止案), 등록(謄錄), 중기(重記) 및 해유문서와 생물적 피해 방지를 위한 포쇄와 방충 활동, 물리적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성책(成冊) 및 장황(粧潢)활동, 화재 및 도난 대비 활동과 보존처리 활동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는 특히 철저한 기록 활동으로 소장 기록물을 직·간접적으로 관리, 보존하였으며 이밖에도 자연원리를 완벽히 이해하여 사고건물의 형태나 궤(櫃) 속에 봉안함으로써 보존환경의 마련에 힘썼다. 이러한 보존활동은 현대의 보존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이다. 하지만 조선시대와 현대는 기록물의 생산량, 기록 매체, 사회제도, 보존환경 등이 차이가 있음으로 조선시대의 보존활동을 그대로 현대에 대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보존활동의 원리를 파악하고 현대에 맞게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orean government has been making effort to meet an authentic archives management system making a framework of the archives management since been established the rule in regard to the archives management of a public institutions in 1999. As the result of it, it was developed a management system ...
Korean government has been making effort to meet an authentic archives management system making a framework of the archives management since been established the rule in regard to the archives management of a public institutions in 1999. As the result of it, it was developed a management system for every level of a current, semi-current and non-current, and it was standardized and was provided for in the law for a the archives management. Also it has been extended and spreaded, as well reached to the step for being educated at the national level, so that it has been strived to develop continually. However, such development has been conducted focused on the electronic records; on the other hand, it is true that the concern for the paper archives is decreasing. Also, even if there were very good documentary culture and a system of record-preservation in the Joseon Dynasty, rather, the study on the overseas case or system has been conducted, so that the tradition of an archives management of the Joseon Dynasty couldn't be inherited and developed. The archival preservation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was not to manage for preservation but to form a management system for using archives and work efficiency over the 36-year colonial period from Japan. Then it was resulted in cutting related with tradition and also it has been poor to understand of the archival preservation system.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present archival preservation activities not only on absent of the preservation awareness or the preservation system focused on the management but also on the technical aspects. It is having difficulties to preserve archives even if it is existed the preservation recognition against the budget issues,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ffairs related with fumigation and disinfectant, also the wrongful common sense of conservation is leading to damag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verall system and activities for the archival preservation in the Joseon Dynasty for solving such problems and to make a foundation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This article was studied and compared Gyongguk Daejon with Daejeon Hoetong which was a code of laws in the Joseon Dynasty on the institutional aspects for finding the overall system and activities, and examined the established process and function of the conservation institute in the Joseon Dynasty, finally, investigated the preservation activities in fact.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Gyongguk Daejon and Daejeon Hoetong provided for the archival preservation on article of Bongsim (the work for managing a royal mausoleum or tomb) and Jangmunseo (preserved documentation). Article of Bongsim was provided the bongsim period such as the jade book, the bamboo book, the announcement of a king and an authentic record, on the other hand, article of Jangmunseo was provided the concrete official & public records management and keeping and drawing out of a book and keeping. Next, this paper was examined the archival preservation organ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which it is Gigakago Suongmunwon , Munseogo and Sago. Gigakago had a function to preserve a document and to us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archives, Suongmunwon was preserved a diplomatic document, Munseogo was preserved the current and non-current documents which every government office produced and Sago was preserved nation importance books and archives in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an authentic record and Seonwon Boryak. Finally, this article was studied on the activities for the archival preservation in the Joseon Dynasty in which it was Hyeongjjan (the additional book in which it was written the status and the course of events for investigating any matter), registration, medium-records and Haeyoomunseo as the record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lso it was examined Poswae for protecting the biological damages, moth activity, Korean Dictionary and Chang Hwang activities, activities against fire and theft and conservation and treatment activities. In the Joseon Dynasty was maintained and preserved directly and indirectly own archives through record activities particularly, in addition, tried to make a good environment for preserving for enshrining in a type of building or a box because they understood the principles of nature completely. These conservation activities will provide the clue to solve the problems for the present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But it is some problems to directly substitute the conservation activities in Joseon Dynasty for the present. Thus it needs to make efforts to catch hold the principle of the conservation activities in Joseon Dynasty and to succeed and develop for fitting contemporary.
Korean government has been making effort to meet an authentic archives management system making a framework of the archives management since been established the rule in regard to the archives management of a public institutions in 1999. As the result of it, it was developed a management system for every level of a current, semi-current and non-current, and it was standardized and was provided for in the law for a the archives management. Also it has been extended and spreaded, as well reached to the step for being educated at the national level, so that it has been strived to develop continually. However, such development has been conducted focused on the electronic records; on the other hand, it is true that the concern for the paper archives is decreasing. Also, even if there were very good documentary culture and a system of record-preservation in the Joseon Dynasty, rather, the study on the overseas case or system has been conducted, so that the tradition of an archives management of the Joseon Dynasty couldn't be inherited and developed. The archival preservation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was not to manage for preservation but to form a management system for using archives and work efficiency over the 36-year colonial period from Japan. Then it was resulted in cutting related with tradition and also it has been poor to understand of the archival preservation system.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present archival preservation activities not only on absent of the preservation awareness or the preservation system focused on the management but also on the technical aspects. It is having difficulties to preserve archives even if it is existed the preservation recognition against the budget issues,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ffairs related with fumigation and disinfectant, also the wrongful common sense of conservation is leading to damag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verall system and activities for the archival preservation in the Joseon Dynasty for solving such problems and to make a foundation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This article was studied and compared Gyongguk Daejon with Daejeon Hoetong which was a code of laws in the Joseon Dynasty on the institutional aspects for finding the overall system and activities, and examined the established process and function of the conservation institute in the Joseon Dynasty, finally, investigated the preservation activities in fact.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Gyongguk Daejon and Daejeon Hoetong provided for the archival preservation on article of Bongsim (the work for managing a royal mausoleum or tomb) and Jangmunseo (preserved documentation). Article of Bongsim was provided the bongsim period such as the jade book, the bamboo book, the announcement of a king and an authentic record, on the other hand, article of Jangmunseo was provided the concrete official & public records management and keeping and drawing out of a book and keeping. Next, this paper was examined the archival preservation organ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which it is Gigakago Suongmunwon , Munseogo and Sago. Gigakago had a function to preserve a document and to use corresponding to the present archives, Suongmunwon was preserved a diplomatic document, Munseogo was preserved the current and non-current documents which every government office produced and Sago was preserved nation importance books and archives in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an authentic record and Seonwon Boryak. Finally, this article was studied on the activities for the archival preservation in the Joseon Dynasty in which it was Hyeongjjan (the additional book in which it was written the status and the course of events for investigating any matter), registration, medium-records and Haeyoomunseo as the records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lso it was examined Poswae for protecting the biological damages, moth activity, Korean Dictionary and Chang Hwang activities, activities against fire and theft and conservation and treatment activities. In the Joseon Dynasty was maintained and preserved directly and indirectly own archives through record activities particularly, in addition, tried to make a good environment for preserving for enshrining in a type of building or a box because they understood the principles of nature completely. These conservation activities will provide the clue to solve the problems for the present the environmental preservation. But it is some problems to directly substitute the conservation activities in Joseon Dynasty for the present. Thus it needs to make efforts to catch hold the principle of the conservation activities in Joseon Dynasty and to succeed and develop for fitting contemporar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