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사들이 현재 자신의 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알아보는 것은 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교직관, 교직선택이유, 교직의 중심 가치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들의 교직생활에서의 성취감, 절망감, 행복감, 불행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교사들의 교직생활에서의 문제, 문제요인, 개선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
초등교사들이 현재 자신의 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알아보는 것은 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교직관, 교직선택이유, 교직의 중심 가치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들의 교직생활에서의 성취감, 절망감, 행복감, 불행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교사들의 교직생활에서의 문제, 문제요인, 개선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전문직관, 성직관, 노동직관의 순으로 교직관을 인식하고 있다. 학생을 가르치면서 생활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교직을 선택하였고 학생을 가르치는 성취감과 보람을 교직생활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중심 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로서 성취감을 느끼는 경우는 ‘생활지도 및 상담 후 변화하는 학생을 볼 때’로 인식하였으며, 성취감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는 ‘학생들과의 관계’로 나타났다. 초등교사로서 절망감을 느끼는 경우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계속적인 생활지도 및 상담 후에도 교육적 효과가 없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절망감을 갖도록 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교사로서의 무력감 및 회의’로 인식하였다.
셋째, 초등교사로서 행복감을 느끼는 경우에 대한 인식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일에 보람과 자부심이 생길 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초등교사로서 불행감을 느끼는 경우에서는 ‘학생지도에 관한 일보다 각종 잡무에 시달릴 때’로 인식하였다. 행복감과 불행감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학생들과의 관계’로 인식하였다.
넷째, 교직생활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교직에 대한 사회적 불신과 압박’으 로 인식하였으며, 교직생활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시장논리가 적용된 교원정책’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교직생활을 위한 개선점으로는 ‘교육공동체(교사, 학생, 학부모)간의 신뢰성 회복’으로 인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다면 모두 학생지도 및 효과적으로 학생지도를 하기 위한 것과 관련된 사항들에서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연구문제에 따른 배경변인별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만큼 초등교사들은 교직에 대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부분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초등교사들이 현재 자신의 일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알아보는 것은 교육의 개선과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직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게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의 교직관, 교직선택이유, 교직의 중심 가치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교사들의 교직생활에서의 성취감, 절망감, 행복감, 불행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교사들의 교직생활에서의 문제, 문제요인, 개선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전문직관, 성직관, 노동직관의 순으로 교직관을 인식하고 있다. 학생을 가르치면서 생활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교직을 선택하였고 학생을 가르치는 성취감과 보람을 교직생활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중심 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로서 성취감을 느끼는 경우는 ‘생활지도 및 상담 후 변화하는 학생을 볼 때’로 인식하였으며, 성취감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는 ‘학생들과의 관계’로 나타났다. 초등교사로서 절망감을 느끼는 경우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계속적인 생활지도 및 상담 후에도 교육적 효과가 없을 때’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절망감을 갖도록 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교사로서의 무력감 및 회의’로 인식하였다.
셋째, 초등교사로서 행복감을 느끼는 경우에 대한 인식에서 ‘학생을 가르치는 일에 보람과 자부심이 생길 때’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초등교사로서 불행감을 느끼는 경우에서는 ‘학생지도에 관한 일보다 각종 잡무에 시달릴 때’로 인식하였다. 행복감과 불행감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학생들과의 관계’로 인식하였다.
넷째, 교직생활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교직에 대한 사회적 불신과 압박’으 로 인식하였으며, 교직생활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시장논리가 적용된 교원정책’으로 나타났다. 바람직한 교직생활을 위한 개선점으로는 ‘교육공동체(교사, 학생, 학부모)간의 신뢰성 회복’으로 인식하였다.
결과적으로 본다면 모두 학생지도 및 효과적으로 학생지도를 하기 위한 것과 관련된 사항들에서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다. 또한 연구문제에 따른 배경변인별 인식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만큼 초등교사들은 교직에 대해 공통적으로 인식하는 부분이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learn about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 their work is crucial to improv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The following is specific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how ...
To learn about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 their work is crucial to improv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The following is specific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how do the teachers see their values on teaching, reasons for choosing to teach, and the core values on teaching?
Second, how do they perceive a sense of accomplishment, despair, happiness, and unhappiness?
Third, how do they view problems in teaching, reasons for the problems, and things to improve?
The following is the study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ed teaching in the order of their profession, calling, and job. They pursued teaching as their career because they liked leading their lives while teaching students and perceiv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rewarding as their core values that can be gained from teaching.
Second, the teachers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when they saw students improve after their guidance and counseling,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boosted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the most. According to a survey on when the teachers felt a sense of despair, they responded that they felt desperate when students did not show any improvements even after continuous guidance and counseling. They felt desperate mainly due to helplessness and skepticism as a teacher.
Third, the survey revealed that when the teachers felt that teaching was worthwhile and they were proud of themselves in teaching were the happiest time. Meanwhile, when they were occupied with various official works than guidance for students was the least happiest time. They saw the relations with students as the main reason for increasing their happiness and unhappiness.
Fourth, the teachers saw mistrust and oppression from a society on teaching the biggest problem in teaching. The biggest reason was teaching policies based on market logic. They thought that trust between education communities composed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should improve for a desirable teaching life.
To conclude, the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in the survey questions regarding guidance for students and effective ways of guidance. Also, they did not show big differences in background variables, indicating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are common perception of teaching.
To learn about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 their work is crucial to improv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The following is specific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First, how do the teachers see their values on teaching, reasons for choosing to teach, and the core values on teaching?
Second, how do they perceive a sense of accomplishment, despair, happiness, and unhappiness?
Third, how do they view problems in teaching, reasons for the problems, and things to improve?
The following is the study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ed teaching in the order of their profession, calling, and job. They pursued teaching as their career because they liked leading their lives while teaching students and perceived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rewarding as their core values that can be gained from teaching.
Second, the teachers felt a sense of accomplishment when they saw students improve after their guidance and counseling,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boosted their sense of accomplishment the most. According to a survey on when the teachers felt a sense of despair, they responded that they felt desperate when students did not show any improvements even after continuous guidance and counseling. They felt desperate mainly due to helplessness and skepticism as a teacher.
Third, the survey revealed that when the teachers felt that teaching was worthwhile and they were proud of themselves in teaching were the happiest time. Meanwhile, when they were occupied with various official works than guidance for students was the least happiest time. They saw the relations with students as the main reason for increasing their happiness and unhappiness.
Fourth, the teachers saw mistrust and oppression from a society on teaching the biggest problem in teaching. The biggest reason was teaching policies based on market logic. They thought that trust between education communities composed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should improve for a desirable teaching life.
To conclude, the teachers were highly aware of in the survey questions regarding guidance for students and effective ways of guidance. Also, they did not show big differences in background variables, indicating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are common perception of teaching.
Keyword
#교직 인식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