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교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감정노동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f the faulty on their job satisfaction :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원문보기
본 연구는 교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원의 감정노동 요인이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에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진행은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56개교의 교원 685명을 임의표본 추출하여 2018년 10월 1일 부터 11월 30일까지 2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67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61부를 제외하고 유효한 설문지 606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
본 연구는 교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원의 감정노동 요인이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에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진행은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56개교의 교원 685명을 임의표본 추출하여 2018년 10월 1일 부터 11월 30일까지 2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67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61부를 제외하고 유효한 설문지 606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적절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3단계 매개효과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고 유의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실시한 결과 또한 유의하였다. 직무특성의 하위변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기능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드백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교원의 직무특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고, 하위변인 중 기능다양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분석한 결과 유의하지 않았으나, 추가로 직무특성의 하위변인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다. 기능다양성과 직무중요성이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실시한 결과 유의하였고, 추가로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을 투입한 결과 주의정도와 내면행위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의정도는 직무만족을 떨어뜨리는 반면, 내면행위는 직무만족을 높이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매개변수인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을 각각 투입한 결과, 하위변인 중 감정노동의 빈도, 주의정도, 감정부조화, 표면행위는 매개역할을 수행하지 않았다. 반면, 내면행위는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에 매개역할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원의 감정노동은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감정노동의 관계는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원양성과정과 임용, 관리에서 교원들이 직무특성을 바르게 인식하고 만족한 학교생활을 하도록 시스템을 재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긍정적인 교직문화 조성을 강조하였으며, 교원들이 내면화된 감정조절 능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복지 차원의 교원상담지원 체제를 구축하여, 교원들이 자아실현의 만족한 직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교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교원의 감정노동 요인이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에 매개역할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진행은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56개교의 교원 685명을 임의표본 추출하여 2018년 10월 1일 부터 11월 30일까지 2개월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67부가 회수되었으며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설문지 61부를 제외하고 유효한 설문지 606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기술통계 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 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적절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3단계 매개효과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고 유의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실시한 결과 또한 유의하였다. 직무특성의 하위변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기능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 자율성, 피드백은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드백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교원의 직무특성이 감정노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고, 하위변인 중 기능다양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분석한 결과 유의하지 않았으나, 추가로 직무특성의 하위변인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다. 기능다양성과 직무중요성이 감정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회귀식은 유의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통제한 후 실시한 결과 유의하였고, 추가로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을 투입한 결과 주의정도와 내면행위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주의정도는 직무만족을 떨어뜨리는 반면, 내면행위는 직무만족을 높이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매개변수인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을 각각 투입한 결과, 하위변인 중 감정노동의 빈도, 주의정도, 감정부조화, 표면행위는 매개역할을 수행하지 않았다. 반면, 내면행위는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간에 매개역할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원의 감정노동은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부분매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감정노동의 관계는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교원양성과정과 임용, 관리에서 교원들이 직무특성을 바르게 인식하고 만족한 학교생활을 하도록 시스템을 재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긍정적인 교직문화 조성을 강조하였으며, 교원들이 내면화된 감정조절 능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복지 차원의 교원상담지원 체제를 구축하여, 교원들이 자아실현의 만족한 직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