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란 우리의 생활을 만들어내는 공간이며, 가정의 가치기본인 가족이 모여 사는 곳이다. 우리가 주거를 설계한다는 것은 이러한 삶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가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고 문화 간의 교류가 범지구적으로 이루어지고 경제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우리의 가치가 변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장소 주거환경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주거는 고층화, 고밀도화로 되는 경향이 강하다. 기능과 효율성이 강화되어지고 인간의 본질적인 삶을 담는 주거로의 기능이 약화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고층화, 고밀화 주택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소규모집합주택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획일적인 주거문화를 탈피하여 다양하고 개별화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하여 제공된 일본의 소규모 집합주택을 대상으로 디자인 개념과 그에 따른 디자인 방법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우리나라 소규모 집합주택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을 통해 드러난 현대 일본 도심형 소규모집합주택의 설계개념과 공간계획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적 측면은 커뮤니티강화, 라이프스타일에 대응, 프라이버시 확보라는 설계의도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공간의 ...
주거란 우리의 생활을 만들어내는 공간이며, 가정의 가치기본인 가족이 모여 사는 곳이다. 우리가 주거를 설계한다는 것은 이러한 삶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가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고 문화 간의 교류가 범지구적으로 이루어지고 경제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우리의 가치가 변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장소 주거환경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주거는 고층화, 고밀도화로 되는 경향이 강하다. 기능과 효율성이 강화되어지고 인간의 본질적인 삶을 담는 주거로의 기능이 약화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고층화, 고밀화 주택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소규모집합주택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획일적인 주거문화를 탈피하여 다양하고 개별화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하여 제공된 일본의 소규모 집합주택을 대상으로 디자인 개념과 그에 따른 디자인 방법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우리나라 소규모 집합주택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을 통해 드러난 현대 일본 도심형 소규모집합주택의 설계개념과 공간계획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적 측면은 커뮤니티강화, 라이프스타일에 대응, 프라이버시 확보라는 설계의도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공간의 영역성을 확보하고 공간을 가변적으로 계획하는 등의 공간계획방법으로 구체화되었다. 둘째, 환경적 측면의 디자인 개념은 대부분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둔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공간계획방법으로는 리모델링, 옥상녹화나 빗물 재이용 등과 같은 친환경적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지역맥락적 측면의 설계의도는 지역적 특성고려라는 측면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대부분 사이트의 경사와 높낮이를 고려하거나, 기존 사이트의 축, 동선, 색채 등을 고려한 디자인이 많았다. 넷째, 공간적 측면에서는 주로 공간의 효율성을 추구하는데 이는 가변적 공간으로 계획하거나 설비를 집중시켜 스튜디오 타입의 평면을 디자인 하고 빌트인가구를 활용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추구하였다. 다섯째, 사회적 의도는 주거를 도시의 인프라로 형성하고, 임대가치를 고려하여 향후 리모델링 가능성을 고려한 코어중심 디자인, 자본주의와 환경문제의 교점으로 친환경, 저비용 디자인 등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본 논문은 주거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획일적이고 고정적인 주거환경을 탈피하여 다양하고 개별화된 거주자의 삶의 방식에 대응하여 제공된 일본의 도심형 소규모 집합주택을 대상으로 설계의도와 공간계획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우리나라 도심형 소규모 집합주택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유효한 방법론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거란 우리의 생활을 만들어내는 공간이며, 가정의 가치기본인 가족이 모여 사는 곳이다. 우리가 주거를 설계한다는 것은 이러한 삶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가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기술이 발전하고 문화 간의 교류가 범지구적으로 이루어지고 경제의 발전과 변화에 따라 우리의 가치가 변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우리가 사는 장소 주거환경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주거는 고층화, 고밀도화로 되는 경향이 강하다. 기능과 효율성이 강화되어지고 인간의 본질적인 삶을 담는 주거로의 기능이 약화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고층화, 고밀화 주택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소규모집합주택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획일적인 주거문화를 탈피하여 다양하고 개별화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에 대응하여 제공된 일본의 소규모 집합주택을 대상으로 디자인 개념과 그에 따른 디자인 방법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우리나라 소규모 집합주택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였다. 분석을 통해 드러난 현대 일본 도심형 소규모집합주택의 설계개념과 공간계획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적 측면은 커뮤니티강화, 라이프스타일에 대응, 프라이버시 확보라는 설계의도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공간의 영역성을 확보하고 공간을 가변적으로 계획하는 등의 공간계획방법으로 구체화되었다. 둘째, 환경적 측면의 디자인 개념은 대부분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둔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공간계획방법으로는 리모델링, 옥상녹화나 빗물 재이용 등과 같은 친환경적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셋째, 지역맥락적 측면의 설계의도는 지역적 특성고려라는 측면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대부분 사이트의 경사와 높낮이를 고려하거나, 기존 사이트의 축, 동선, 색채 등을 고려한 디자인이 많았다. 넷째, 공간적 측면에서는 주로 공간의 효율성을 추구하는데 이는 가변적 공간으로 계획하거나 설비를 집중시켜 스튜디오 타입의 평면을 디자인 하고 빌트인가구를 활용하여 공간의 효율성을 추구하였다. 다섯째, 사회적 의도는 주거를 도시의 인프라로 형성하고, 임대가치를 고려하여 향후 리모델링 가능성을 고려한 코어중심 디자인, 자본주의와 환경문제의 교점으로 친환경, 저비용 디자인 등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본 논문은 주거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획일적이고 고정적인 주거환경을 탈피하여 다양하고 개별화된 거주자의 삶의 방식에 대응하여 제공된 일본의 도심형 소규모 집합주택을 대상으로 설계의도와 공간계획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우리나라 도심형 소규모 집합주택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유효한 방법론으로 활용되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idence is a place which makes our lives, and where family, the basic value of home, gather and live together. It can be said that designing residence is a work of making a space which can contain life. Recently, the change of life style is occurring worldwide. As technology develops, exchange amo...
Residence is a place which makes our lives, and where family, the basic value of home, gather and live together. It can be said that designing residence is a work of making a space which can contain life. Recently, the change of life style is occurring worldwide. As technology develops, exchange among culture is held all around the world, and the economy develops and changes, the change of our value is ultimately bringing change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al of the place we live. However, current residence shows strong tendency of becoming high-rise and high-density. It is a reality that function and efficiency is becoming strengthened, and its function as residence which contains essential life of humans is weakening. As new alternative for such high-rise and high-density,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 is emerging. Therefore, the study intends to get out of one-sided culture of residence and correspond to various and individualized life style, and review the concept of design and its following designing method regarding provided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 in Japan,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Korea's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s should take. The design concept and space planning method of modern Japanese downtown style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aspect of daily life, the intention for designing can be divided into strengthening of community, correspondence to life style, confirmation of privacy. And such has been actualized through space planning method such as confirming territoriality, planning space as modifiable figure, and so on. Second, regarding the concept of design in the aspect of environment, most of them showed the form of considering the possibility for consistency. Regarding space planning method, environment friendly methods such as re-modelling, roof planting, or reuse of rain water, and etc. were mainly used. Third, regarding the intention of design in the aspect of local context, it dealt much with the aspect of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any designs considering the slope and height of the site, and also axis, line movement, color, and etc. Fourth, regarding the aspect of space, it mainly pursued efficiency of space, which it was planned with modifiable space or concentrating facility to design a studio type flat surface and pursue efficiency of space by utilizing built-in furniture. Fifth, regarding social intention. it was actualized through core centered design by forming residence as infrastructure of city and by considering the value of lease to consider the value of re-modelling in the future, and also, through environment friendly and low cost design as intersection to capitalism and environmental problem. Aside to one-sided and fixed residential environment, the paper reviewed designing intention and space planning method regarding downtown style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 in Japan provided by corresponding to the way of life of various and individualized resid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aradigm of residenc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can be utilized through valid methodology for searching the direction of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s.
Residence is a place which makes our lives, and where family, the basic value of home, gather and live together. It can be said that designing residence is a work of making a space which can contain life. Recently, the change of life style is occurring worldwide. As technology develops, exchange among culture is held all around the world, and the economy develops and changes, the change of our value is ultimately bringing change to the residential environmental of the place we live. However, current residence shows strong tendency of becoming high-rise and high-density. It is a reality that function and efficiency is becoming strengthened, and its function as residence which contains essential life of humans is weakening. As new alternative for such high-rise and high-density,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 is emerging. Therefore, the study intends to get out of one-sided culture of residence and correspond to various and individualized life style, and review the concept of design and its following designing method regarding provided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 in Japan,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Korea's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s should take. The design concept and space planning method of modern Japanese downtown style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aspect of daily life, the intention for designing can be divided into strengthening of community, correspondence to life style, confirmation of privacy. And such has been actualized through space planning method such as confirming territoriality, planning space as modifiable figure, and so on. Second, regarding the concept of design in the aspect of environment, most of them showed the form of considering the possibility for consistency. Regarding space planning method, environment friendly methods such as re-modelling, roof planting, or reuse of rain water, and etc. were mainly used. Third, regarding the intention of design in the aspect of local context, it dealt much with the aspect of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any designs considering the slope and height of the site, and also axis, line movement, color, and etc. Fourth, regarding the aspect of space, it mainly pursued efficiency of space, which it was planned with modifiable space or concentrating facility to design a studio type flat surface and pursue efficiency of space by utilizing built-in furniture. Fifth, regarding social intention. it was actualized through core centered design by forming residence as infrastructure of city and by considering the value of lease to consider the value of re-modelling in the future, and also, through environment friendly and low cost design as intersection to capitalism and environmental problem. Aside to one-sided and fixed residential environment, the paper reviewed designing intention and space planning method regarding downtown style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 in Japan provided by corresponding to the way of life of various and individualized reside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paradigm of residenc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can be utilized through valid methodology for searching the direction of small sized multi-family hous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