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醫寶鑑』에 의하면, '食藥療病' 즉, "음식과 약으로 병을 치료한다"라 하여, "몸을 편안하게 하는 근본은 반드시 음식에 있고, 음식물은 능히 邪氣를 물리치고 오장육부를 편안하게 할 수 있다고 하고, '食療治病' 즉, 먼저 병의 근원을 알아낸 다음에 그 병이 침범한 곳을 알아내어 음식으로 치료해야 하며, 음식으로 치료하여 낫지 않으면 그 때 약을 써야 한다고 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데 食治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 藥膳은 食治에 속하는 개념으로 食養生의 범주에 포함되고, 조리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것으로, 약재와 음식을 병용한다는 측면에서 藥膳과 食治方이 비슷하다. 이런 食治方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藥粥은 조리방법이 간단하면서 食療의 한 방법이며, 藥膳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藥膳을 연구, 개발하기 위해 『醫方類聚』食治篇에 수록된 食治方 중 粥을 살펴보는 것이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醫方類聚』食治方 중 粥만 분리하여, 粥에 사용된 재료를 본초학적으로 살펴보고, 각 病門별로 사용된 재료를 효능에 따라 분류하여 施治原則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또 藥膳 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粥에 사용된 재료를 식용 가능 여부로 분류하여 전체 食治方에서 50가지의 粥을 선별하고, 藥膳食療學 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醫方類聚』食治篇에는 총 697개의 食治方이 수록되어 있고, 이 중 죽(粥)의 형태가 총 251회로 가장 많으며, 婦人門에 33회로 가장 많이 수록되고, 諸風門, 諸虛門, 小兒門 등의 순으로 수록되어 있었다. 반면, 전체 粥의 종류는 119가지이므로 病門별로 문헌을 인용하면서 중복된 내용을 그대로 수록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전체 粥에 사용된 재료는,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균핵류나 수지 등 기타 재료 순으로 사용되었다. 재료의 효능별 분류를 보면, 곡류를 제외하고 ...
『東醫寶鑑』에 의하면, '食藥療病' 즉, "음식과 약으로 병을 치료한다"라 하여, "몸을 편안하게 하는 근본은 반드시 음식에 있고, 음식물은 능히 邪氣를 물리치고 오장육부를 편안하게 할 수 있다고 하고, '食療治病' 즉, 먼저 병의 근원을 알아낸 다음에 그 병이 침범한 곳을 알아내어 음식으로 치료해야 하며, 음식으로 치료하여 낫지 않으면 그 때 약을 써야 한다고 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데 食治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 藥膳은 食治에 속하는 개념으로 食養生의 범주에 포함되고, 조리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것으로, 약재와 음식을 병용한다는 측면에서 藥膳과 食治方이 비슷하다. 이런 食治方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藥粥은 조리방법이 간단하면서 食療의 한 방법이며, 藥膳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藥膳을 연구, 개발하기 위해 『醫方類聚』食治篇에 수록된 食治方 중 粥을 살펴보는 것이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醫方類聚』食治方 중 粥만 분리하여, 粥에 사용된 재료를 본초학적으로 살펴보고, 각 病門별로 사용된 재료를 효능에 따라 분류하여 施治原則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또 藥膳 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粥에 사용된 재료를 식용 가능 여부로 분류하여 전체 食治方에서 50가지의 粥을 선별하고, 藥膳食療學 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醫方類聚』食治篇에는 총 697개의 食治方이 수록되어 있고, 이 중 죽(粥)의 형태가 총 251회로 가장 많으며, 婦人門에 33회로 가장 많이 수록되고, 諸風門, 諸虛門, 小兒門 등의 순으로 수록되어 있었다. 반면, 전체 粥의 종류는 119가지이므로 病門별로 문헌을 인용하면서 중복된 내용을 그대로 수록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전체 粥에 사용된 재료는,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균핵류나 수지 등 기타 재료 순으로 사용되었다. 재료의 효능별 분류를 보면, 곡류를 제외하고 補益藥, 解表藥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化痰藥, 淸熱藥, 利水藥, 溫裏藥 순으로 사용되었고 각 재료들은 각각의 食治篇의 施治原則과의 연관성이 아주 높으며, 다른 문헌에서도 해당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食治篇에 수록된 粥의 효능은 대부분 주재료의 효능에 따라 병증에 활용되었고, 다른 재료를 배합함에 따라 다양한 효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곡류는 脾胃를 補하여 주재료의 효능을 돕기 위한 보조재료의 역할과 더불어 병증에 따라 곡류 자체의 효능을 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食治篇별로 粥은 주재료에 다른 재료를 배합하여 다양하게 적용하였는데, 배합된 재료의 본초학적 특성(性味歸經)으로 비교해보면, 각 病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각 식치의 施治原則 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고찰되어, 재료의 본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施治原則에 맞게 재료를 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醫方類聚』에 수록된 粥이 다른 고문헌에도 수록되어 있어 食治方에서 粥이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醫方類聚』食治篇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粥은, 약재를 가미한 죽이나 특정 효능이 있는 곡물을 이용한 죽으로, 병증에 따라 元氣를 補하면서 치료도 할 수 있어 藥膳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본 자료를 통해 재료의 효능을 구분하고 재료의 배합 원리를 참고하여 사용 가능한 藥膳을 제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東醫寶鑑』에 의하면, '食藥療病' 즉, "음식과 약으로 병을 치료한다"라 하여, "몸을 편안하게 하는 근본은 반드시 음식에 있고, 음식물은 능히 邪氣를 물리치고 오장육부를 편안하게 할 수 있다고 하고, '食療治病' 즉, 먼저 병의 근원을 알아낸 다음에 그 병이 침범한 곳을 알아내어 음식으로 치료해야 하며, 음식으로 치료하여 낫지 않으면 그 때 약을 써야 한다고 하여,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데 食治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또 藥膳은 食治에 속하는 개념으로 食養生의 범주에 포함되고, 조리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것으로, 약재와 음식을 병용한다는 측면에서 藥膳과 食治方이 비슷하다. 이런 食治方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藥粥은 조리방법이 간단하면서 食療의 한 방법이며, 藥膳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藥膳을 연구, 개발하기 위해 『醫方類聚』食治篇에 수록된 食治方 중 粥을 살펴보는 것이 상당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醫方類聚』食治方 중 粥만 분리하여, 粥에 사용된 재료를 본초학적으로 살펴보고, 각 病門별로 사용된 재료를 효능에 따라 분류하여 施治原則과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또 藥膳 으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粥에 사용된 재료를 식용 가능 여부로 분류하여 전체 食治方에서 50가지의 粥을 선별하고, 藥膳食療學 적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醫方類聚』食治篇에는 총 697개의 食治方이 수록되어 있고, 이 중 죽(粥)의 형태가 총 251회로 가장 많으며, 婦人門에 33회로 가장 많이 수록되고, 諸風門, 諸虛門, 小兒門 등의 순으로 수록되어 있었다. 반면, 전체 粥의 종류는 119가지이므로 病門별로 문헌을 인용하면서 중복된 내용을 그대로 수록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전체 粥에 사용된 재료는,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균핵류나 수지 등 기타 재료 순으로 사용되었다. 재료의 효능별 분류를 보면, 곡류를 제외하고 補益藥, 解表藥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化痰藥, 淸熱藥, 利水藥, 溫裏藥 순으로 사용되었고 각 재료들은 각각의 食治篇의 施治原則과의 연관성이 아주 높으며, 다른 문헌에서도 해당 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食治篇에 수록된 粥의 효능은 대부분 주재료의 효능에 따라 병증에 활용되었고, 다른 재료를 배합함에 따라 다양한 효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곡류는 脾胃를 補하여 주재료의 효능을 돕기 위한 보조재료의 역할과 더불어 병증에 따라 곡류 자체의 효능을 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食治篇별로 粥은 주재료에 다른 재료를 배합하여 다양하게 적용하였는데, 배합된 재료의 본초학적 특성(性味歸經)으로 비교해보면, 각 病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각 식치의 施治原則 과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고찰되어, 재료의 본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施治原則에 맞게 재료를 배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醫方類聚』에 수록된 粥이 다른 고문헌에도 수록되어 있어 食治方에서 粥이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醫方類聚』食治篇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粥은, 약재를 가미한 죽이나 특정 효능이 있는 곡물을 이용한 죽으로, 병증에 따라 元氣를 補하면서 치료도 할 수 있어 藥膳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본 자료를 통해 재료의 효능을 구분하고 재료의 배합 원리를 참고하여 사용 가능한 藥膳을 제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cording to 『Dongeuibogam(東醫寶鑑)』, diet and medicine treat diseases(食藥療病). The source of relaxing the body lies on diet and the diet can eliminate pathogens(邪氣) and soothe five viscera and six bowls(五臟六腑), so when the cause of a disease is discovered and then where it affects is found, it can be tre...
According to 『Dongeuibogam(東醫寶鑑)』, diet and medicine treat diseases(食藥療病). The source of relaxing the body lies on diet and the diet can eliminate pathogens(邪氣) and soothe five viscera and six bowls(五臟六腑), so when the cause of a disease is discovered and then where it affects is found, it can be treated with diet(食療治病). If diet does not work, medicine will be administered. This stresses the importance of Alimentotherapy(食治) in treating diseases.
Medicated diet(藥膳) is a part of Alimentotherapy and included in the scope of life-nurturing Alimentotherapy(食養生). It emphasizes aspects of cooking and is similar to Alimentotherapy in that diet is combined with medication.
Medicinal gruels(藥粥), which take the most part of Alimentotherapy, are easily cooked and a way of Alimentotherapy. They can be utilized as medicated diet.
So it will be meaningful to study gruels that were written in the Alimentotherapy(食治篇) of 『Euibangyoochui(醫方類聚)』 in order to study and develop medicated diet.
This paper examined the ingredients of gruels from the herbological perspective and grouped the ingredients by efficacy used in the『Euibangyoochui』Alimentotherapy, and defined relationships with therapeutic principles(施治原則). Also,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gruels as medicated diet, the ingredients of gruels were divided based on edibility and fifty gruels were selected throughout the Alimentotherapy. Then, they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ted diet therapy study(藥膳食療學).
As a result, there are a total of 697 diet therapies(食治方) in the Alimentotherapy of 『Euibangyoochui』 of which forms of gruels a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t 251 times. They appear 33 times in Gynecology(婦人門), which is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Wind(諸風門), Deficiency(諸虛門), and Pediatrics(小兒門). It can be found that the contents are redundantly used while citing literature of Alimentotherapy as the types of gruels number a total of 119.
The most commonly used ingredients are vegetable followed by animal ingredients, mineral ingredients, fungal or resin ingredients, and others.
Based on efficacy, except grains, tonifying and replenishing medicine(補益藥) and exterior-releasing medicine(解表藥)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stasis-resolving medicine(化痰藥), heat-clearing medicine(淸熱藥) , dampness - draining diuretic medicine(利水藥), and interior-warming medicine(溫裏藥). Each of the ingredients has high relationship with therapeutic principles stated in Alimentotherapy. Their efficacies are also confirmed in other literature.
The gruels recorded in the Alimentotherapy are utilized based on the efficacy of their main ingredients and the combination of other ingredients with the gruels is proved to produce various efficacies. It is found that grains are complementary to improve the efficacy of main ingredients by tonifying spleen and stomach(補脾胃), not to mention adding their own efficacies.
It is also found that gruels are commonly used in Alimentotherapy as the gruels recorded in 『Euibangyoochui』 also appear in other ancient literature.
In conclusion, the gruels, which account for the large part of the Alimentotherapy of 『Euibangyoochui』 are combined with medicine or cereal grains with special efficacies and can be utilized as medicated diet because they tonify qi(補氣) while curing disea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building a system that suggests applicable medicated diet in consideration of efficacies and mixing principles of ingredients.
According to 『Dongeuibogam(東醫寶鑑)』, diet and medicine treat diseases(食藥療病). The source of relaxing the body lies on diet and the diet can eliminate pathogens(邪氣) and soothe five viscera and six bowls(五臟六腑), so when the cause of a disease is discovered and then where it affects is found, it can be treated with diet(食療治病). If diet does not work, medicine will be administered. This stresses the importance of Alimentotherapy(食治) in treating diseases.
Medicated diet(藥膳) is a part of Alimentotherapy and included in the scope of life-nurturing Alimentotherapy(食養生). It emphasizes aspects of cooking and is similar to Alimentotherapy in that diet is combined with medication.
Medicinal gruels(藥粥), which take the most part of Alimentotherapy, are easily cooked and a way of Alimentotherapy. They can be utilized as medicated diet.
So it will be meaningful to study gruels that were written in the Alimentotherapy(食治篇) of 『Euibangyoochui(醫方類聚)』 in order to study and develop medicated diet.
This paper examined the ingredients of gruels from the herbological perspective and grouped the ingredients by efficacy used in the『Euibangyoochui』Alimentotherapy, and defined relationships with therapeutic principles(施治原則). Also,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gruels as medicated diet, the ingredients of gruels were divided based on edibility and fifty gruels were selected throughout the Alimentotherapy. Then, they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ted diet therapy study(藥膳食療學).
As a result, there are a total of 697 diet therapies(食治方) in the Alimentotherapy of 『Euibangyoochui』 of which forms of gruels ar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at 251 times. They appear 33 times in Gynecology(婦人門), which is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Wind(諸風門), Deficiency(諸虛門), and Pediatrics(小兒門). It can be found that the contents are redundantly used while citing literature of Alimentotherapy as the types of gruels number a total of 119.
The most commonly used ingredients are vegetable followed by animal ingredients, mineral ingredients, fungal or resin ingredients, and others.
Based on efficacy, except grains, tonifying and replenishing medicine(補益藥) and exterior-releasing medicine(解表藥)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followed by stasis-resolving medicine(化痰藥), heat-clearing medicine(淸熱藥) , dampness - draining diuretic medicine(利水藥), and interior-warming medicine(溫裏藥). Each of the ingredients has high relationship with therapeutic principles stated in Alimentotherapy. Their efficacies are also confirmed in other literature.
The gruels recorded in the Alimentotherapy are utilized based on the efficacy of their main ingredients and the combination of other ingredients with the gruels is proved to produce various efficacies. It is found that grains are complementary to improve the efficacy of main ingredients by tonifying spleen and stomach(補脾胃), not to mention adding their own efficacies.
It is also found that gruels are commonly used in Alimentotherapy as the gruels recorded in 『Euibangyoochui』 also appear in other ancient literature.
In conclusion, the gruels, which account for the large part of the Alimentotherapy of 『Euibangyoochui』 are combined with medicine or cereal grains with special efficacies and can be utilized as medicated diet because they tonify qi(補氣) while curing diseas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building a system that suggests applicable medicated diet in consideration of efficacies and mixing principles of ingredient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