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위(脾胃)질환의 식치(食治)에 관한 소고(小考) - 『음선정요(飮膳正要)·식료제병(食療諸病)』, 『식료찬요(食療纂要)』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ood Cure for Stomach Diseases - Focusing on Eumsunjungyo·Singnyojaebyeong, Singnyochanyo -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9 no.2, 2016년, pp.1 - 12  

홍진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selected the food ingredients mainly appearing in the stomach-disease-related articles from Eumsunjungyo Singnyojaebyeong and Singnyochanyo, and investigated their effects to turn these data into references for modern people, use the food therapy of ancestors for modern li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飮膳正要·食療諸病』과 『食療纂要』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 중 비위질환관련 처방을 추출하여 재료, 만드는 법, 복용 시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것을 현대인의 식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중국과 한국의 대표적인 식이요법서를 중심으로 비위질환과 관련된 처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飮膳正要·食療諸病』에 나오는 61種의 식이처방 중에 비위와 관련 있는 8種의 처방과 『食療纂要』의 총 45門 중 脾胃질환에 관련된 제5장 27種과 제15장 7種 등 총 34種의 처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飮膳正要·食療諸病』과 『食療纂要』에 기재되어 있는 내용 중 비위질환관련 처방을 추출하여 재료, 만드는 법, 복용 시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것을 현대인의 식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선조들이 사용했던 食治方을 실생활에 활용하여 현대인들의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인한 비위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周禮正義』에 나온 食醫이란 무엇인가? 『周禮正義』 卷九의 ‘天官冢宰·下’에 당시의 의료관리의 제도가 나오는데 거기에 食醫에 대한 기록이 있다. 食醫는 왕에게 올리는 六食와 六飮과 六膳과 그 밖의 모든 반찬과 모든 醬과 八珍의 음식을 배합하고 조리하는 일을 관장하였다2). 음식으로 질병을 치료하려는 시도는 그 이후로도 계속 되었는데, 원나라 때 『飮膳正要』는 그 전통을 이은 서적 중 하나이다.
脾胃의 특징은? 인체의 소화운동은 脾胃의 생리기능에 의지한다. 脾胃는 水穀을 攝入, 消化, 吸收하여 精微之氣를 전신에 輸布함으로서 인체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營養을 공급받으며 또한 氣血津液의 생성에 필요한 精微로운 물질을 제공받는다. 그러므로 脾胃를 “後天之本”, “氣血生化之源”이라 칭하였다1).
脾胃에 이상이 생겨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脾胃에 이상이 생겨서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脾胃虛弱으로 인한 소화불량, 구토, 反胃, 乾嘔, 咳逆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은 인체의 균형이 깨져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러한 균형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음식을 활용하기도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Kim GY, et al.. Food Herbal Medicine. Seoul. Uiseongdang. 2010. 

  2. Na CS, et al.. Hanuihak Chonggang. Seoul. Uiseongdang. 2001. 

  3. Nam SH trans.. Sikgyeong. Seoul. Jayumungo. 2002. 

  4. Son IY. Jooryejeongui. Beijing. Junghwaseoguk Publisher. 1987. 

  5. Chang GB, Lee NG ed.. Ryu Gyeong. Seoul. Beopinmunhwasa. 2006. 

  6. Jeon SU original work. Kim JD trans.. Sikreochanyo. Seoul. Yesmin. 2006. 

  7. Chin JP, et al.. trans.. SikyongYakyong BonchoSajeon. Seoul. Beopinmunhwasa. 2013. 

  8. Hole SY. Eumseonjeongyo. Beijing. China Chinese Medicine Publishers Co. 2009. 

  9. Kang HU. Literature review on stomach(脾胃) and spirit(神志).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1990. 1(1). 

  10. Kim MB. A Study on the Tea-Drinking and Tang-Drinking in East Asia. Journal of The Korean Tea Society. 1999. 5(2). 

  11. Kim MH, Chung HK. Review of Food Therapy and Development of Diet Therapy Program for Diabetes Melltus in Sikryochany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2013. 28(6). 

  12. Kim CH. The Dietary Culture of Secret History of Mongol's. Mongolian Studies. 2003. 15. 

  13. Song JC, et al.. A Review on Thirst Disease Prescription in Sikryochanyo.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2. 25(3). 

  14. Shinoda Osamu, Han BJ. Review of Chinese Food Literature (1).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991. 1(2). 

  15. Shin JH, Song JC, Eom DM. Pork as Food Therapy in Shikryochanyo.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1. 24(3). 

  16. Sim HA, Song JC, Eom DM. A Review on the Food-Therapy with Five-Vegetable in Sikryochanyo.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1. 24(5). 

  17. Yoon SH, et al.. A Review on the Food-Therapy with Five-Grain in Sikryochanyo.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2011. 24(2). 

  18. Sin SU. The Book of Dietary Treatment(食療纂要) from the Early Years of th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Institute of Bibliography. 2008. 40. 

  19. Won TH, Moon G, Moon SJ. A physiological pathological study and clinical cases on the ascending and desceding of Biwi(脾胃). The Journal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1997. 7(2). 

  20. Yeo MK, et al.. Food therapy analysis of the primary ailments from the ShikLyoChanYo.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2014. 27(1). 

  21. Jung JY, Kim YM.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the Deficiency of Yin-yang in Spleen-stomach.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1. 25(1). 

  22. Choi HS. Developing a Healthy Korean Food Menu through Sikryochanyo.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2011. 24(1). 

  23. Choi HY, Im CK, Kim KJ. The Research Study on the The physiology theory of Bi-Wi(脾 胃論)by Li Dong-yuan(李東垣). The Journal of east-west medicines. 2010. 35(4). 

  24. Hong YJ, et al.. A Review on the Food-Therapy with Chicken in Sikryochanyo.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2011. 24(5). 

  25. Lee BW, Kim KW, Hwang SJ. A Statistical Study on Sikryo-chanryo by Applying Databas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15. 2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