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풍(風)질환과 관련 있는 식치방(食治方)에 관한 연구 - 『식의심감(食醫心鑑)』, 『음선정요(飮膳正要)』, 『식료찬요(食療纂要)』를 중심으로 -
A Study on Food Cure for Wind diseases - focusing on Sikuisimgam, Eumsunjungyo·Singnyojaebyeong, Singnyochanyo -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9 no.3, 2016년, pp.41 - 56  

홍진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원전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aper analyzes food cure recipes related to wind diseases as written in Sikuisimgam, Eumsunjungyo Shikyojaebyeong, and Singnyochanyo. The paper shall then use results of the analysis to consider food cure recipes utilized by patients who are suffering from wind diseases or who are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風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나 그런 징후를 보이는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는 食治方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선조들이 사용했던 食治方을 살펴보고, 風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며, 예방할 수 있는 식습관을 찾아 개선을 꾀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風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나 그런 징후를 보이는 사람들이 활용할 수 있는 食治方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선조들이 사용했던 食治方을 살펴보고, 風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되며, 예방할 수 있는 식습관을 찾아 개선을 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의학에서 風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의학에서 風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는데, 첫째 六氣의 하나로 바람을 말한다. 두 번째는 六淫의 하나로 風邪를 말한다. 세 번째는 병증의 하나로 風邪에 의해 생긴 風證을 말한다. 傷風, 中風, 外風, 內風 등이 여기에 해당 한다1). 최근 風證에 대한 정의는 外風과 內風에 의해서 생긴 병증을 통틀어서 말하는데 風邪를 받거나 陰血이 몹시 허손되거나 열이 몹시 성하여 발생한다.
風證이란 무엇인가? 傷風, 中風, 外風, 內風 등이 여기에 해당 한다1). 최근 風證에 대한 정의는 外風과 內風에 의해서 생긴 병증을 통틀어서 말하는데 風邪를 받거나 陰血이 몹시 허손되거나 열이 몹시 성하여 발생한다. 外風에 의하여 생겼을 때는 몸에 열이 나고 바람을 꺼리며 몸이나 팔다리가 저리고 아프고 아픈 부위가 고정되지 않고 이동하며, 간혹 피부에 발진이 생기고 가렵고 혀가 굳어진다.
風질환으로 나타나는 증상과 관련해서 醫經溯洄集에서는 어떻게 언급하였는가? 風질환으로 나타나는 증상과 관련해서 王履는 『醫經溯洄集』 ‘中風辨’에서 中風大法有四에 대해 언급하였다. “一曰偏枯니 半身不遂요 二曰風痱니 身無痛하며 四肢不擧요 三曰風懿니 奄忽不知人이요 四曰風痹니 諸痹類風狀이라”8)하였다. 偏枯는 반신불수를 말하고, 風痱는 몸에 통증이 없고, 사지를 움직일 수 없는 것을 말하며, 風懿는 갑자기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말하고 언어장애가 발생하는 것을 말하고, 風痹는 몸과 팔다리가 마비되는 것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im GY et al. Food Herbal Medicine. Seoul. Uiseongdang. 2010. 김규열 외 3인. 식료본초학. 서울. 의성당. 2010. 

  2. Kim CM et al.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Granddictionary, Seoul. Jeongdam publisher. 1997. 김창민 외 3인. 중약대사전. 서울. 도서출판정담. 1997. 

  3. Nam SH trans.. Sikgyeong. Seoul. Jayumungo. 2002. 南相海 編著. 食經. 서울. 자유문고. 2002. p.67. 

  4. Wang R. Uigyeongsohoejip. Jiangsu Province. Jiangsusciencetechnology publisher. 1985. 王履. 醫經溯?集. 江?省. 江?科學技出版社. 1985. 

  5. Jam E. Ahn SG, Oh JH trans.. Sikuisimgam. Daejeon.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2010. 잠은. 안상우, 오준호 역. 食醫心鑑. 대전. 한국한의학연구원. 2010. 

  6. Chang GB. Lee NG trans.. Ryu Gyeong. Seoul. Beopinmunhwasa. 2006. 장개빈. 이남구 현토주석. 類經. 서울. 법인문화사. 2006. 

  7. Jeon SU original work. Kim JD trans.. Sikreochanyo. Seoul. Yesmin. 2006. 全循義. 김종덕 편역. 食療纂要. 서울. 예스민. 2006. 

  8. Chin JP, Jang JS trans.. SikyongYakyong BonchoSajeon. Seoul. Beopinmunhwasa. 2013. 진주표, 장재석 편역. 식용약용 본초사전. 서울. 법인문화사. 2013. 

  9. Choi HG. Nongjeonghoeyo I. Suw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7. 崔漢綺. 農政會要 I. 수원. 농촌진흥청. 2007. 

  10. Korean Medicine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New Korean Medicine Dictionary. Seoul. Jeongdam publisher. 2010.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편. 新韓醫學大辭典. 서울. 정담. 2010. 

  11. Heo J original work. Lee NG trans.. Donguibogam. Seoul. Beopinmunhwasa. 2011. 허준. 이남구 현토주석. 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2011. 

  12. Hole SY. Eumseonjeongyo. Beijing. China Chinese Medicine publisher. 2009. 忽思慧. 飮膳正要. 北京. 中醫經典文庫. 2009. 

  13. Kang MS. Effect of Stroke Prevention Program for The Elderly in The Rural Area.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2015. 16(4). 강말순. 농촌지역 노인을 위한 중풍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5. 16(4). 

  14. Kang BK et al.. Study II of Diagnosis Criteria for Qi deficiency in Stroke.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4. 28(1). 강병갑 외 7인. 중풍 기허증 진단 기준에 관한 연구 II.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4. 28(1). 

  15. Kim MK et al.. Efficacy of Electroacupuncture with Dysphagia Caused by Stroke -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The Journal of Korean Medicine Objectives. 2014. 35(1). 김민경 외 8인. 중풍으로 유발된 연하장애 환자에 대한 전침 치료의 임상 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14. 35(1). 

  16. Park HJ et al.. A clinical Report about improved patient, who has suffered from insomnia after Stroke.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Medicine. 2014. 22(2). 박혜진 외 6인. 중풍과 함께 발병한 불면증 환자의 치험 1례.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14. 22(2). 

  17. Byun SB et al.. Literature Review of Clinical Research Electro-Acupuncture Treatment on Post-stroke Dysphagia.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4. 28(3). 변성범 외 6인. 뇌졸중 후 연하장애 전침 치료의 임상연구에 대한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4. 28(3). 

  18. Han HJ et al.. A Case Study of Stroke Patients with Hemiparesis Treated by Catgut-Embedding Therapy on Scalp Acupoint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13. 34(3). 한현진 외 3인. 두침경혈 매선요법을 이용한 중풍 편마비 환자 치험 3례. 大韓韓方內科學會誌. 2013. 34(3). 

  19. Lee SJ et al.. A Study on the Sasang Constitutional Classification of Stroke Patients by QSCC II.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15. 27(3). 이성진 외 4인. QSCC II를 이용한 중풍(中風)환자의 사상체질(四象體質) 분류에 대한 고찰. 사상체질의학회지. 2015. 27(3). 

  20. Jung SY et al.. Clinical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Pattern Identifications for Stroke and the Second Derivative of Photoplethysmogram Waveform from Stroke Preventive Examination.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5. 22(2). 정소연 외 4인. 중풍 예방 검진에서 중풍 표준화 변증과 가속도맥파의 상관성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5. 22(2). 

  21. Jin H, Kim SK. Informational Analysis of Stroke-related Pattern Identifications for Symptom Differentiation in Korean Oriental Medicine using Western Medicine Literature.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 2013. 40(2). 진훈, 김성국. 서양 문헌정보를 이용한 중풍 관련 한의학 변증에 대한 정보학적 분석. 정보과학회논문지. 2013. 40(2). 

  22. Lee KR. The social history of the stroke during the Goryeo(高麗) and the early days of the Joseon(朝鮮). The Taedong Center For Eastern Classics. 2013. 30. 이경록. 고려와 조선전기 중풍의 사회사. 泰東古典硏究. 2013. 30. 

  23. Jeon BY, Kwon SM, Kim HS. The Long-term Care Utiliz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troke, and Multimorbidity in Korea. Health Policy and Mangemnet. 2013. 23(1). 전보영, 권순만, 김홍수. 치매, 중풍 노인의 장기요양서비스 이용현황과 이용수준 관련 요인. 보건행정학회지. 2013. 23(1). 

  24. Hong SH, Park SE. Case Report of Post-CVA Voiding Dysfunction Treated with Gamidaejihwang-tangaggam. Herbal formula science. 2015. 23(2). 홍상훈, 박상은. 중풍 환자의 배뇨장애에 대한 가미대지황탕가감 치료 증례보고. 大韓韓醫學方劑學 會誌. 2015. 2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