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서울시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대중 교통수단의 하나이다. 지하철이 지정된 장소만을 이동할 수 있다면, 버스는 보다 다양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버스는 공공 교통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경우 불편한 점이 많아 그 사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장애인 또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여러 가지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인 편의시설, 즉 최소한의 이동수단마저 아직은 미흡한 상황이다. 장애인의 이동권을 위해 국내에 도입된 ...
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서울시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대중 교통수단의 하나이다. 지하철이 지정된 장소만을 이동할 수 있다면, 버스는 보다 다양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버스는 공공 교통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경우 불편한 점이 많아 그 사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장애인 또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여러 가지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인 편의시설, 즉 최소한의 이동수단마저 아직은 미흡한 상황이다. 장애인의 이동권을 위해 국내에 도입된 저상버스는 아직 그 비율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영상에 다소 문제가 있어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 교통수단 중의 하나인 버스의 이용에 대해 장애인의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다. 기본적으로 개선점을 파악하기 위해, 선진국의 상황, 법제도와 실제 버스에 대한 내용을 조사 정리하였다. 사용실태 파악을 위해서는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서울에서 가장 장애인 수가 많은 성북구의 장애인 협회, 즉, 한국자동차후유장애인협회,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성북지회 등의 회원들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버스이용시스템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첫째, 장애인들이 버스를 이용하기 전 버스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와 이를 바탕으로 이동하는 단계, 둘째, 버스 정류장에 진입하고 버스를 기다리는 단계, 셋째, 버스를 오르내리고 실제 이용하는 단계로 나누어 설문을 수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초 자료를 위한 장애인들의 인적사항과 버스 전반에 대한 상황, 그리고, 일반 문항에 이르는 내용까지 총 다섯 단계로 나누어 설문하였다. 설문 결과, 장애인들의 기본적인 경제적인 상황이 좋지 못한 상황에서, 버스 이용의 가장 큰 걸림돌은 운임에 대한 문제였으며, 지하철과 같이 장애인의 무료 이용 기회 제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기본적인 정류장 접근을 위한 보도의 정비, 접근성 향상, 휠체어 공간 확보 등이 필요하며, 휠체어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서는 버스와 보도 블록간의 높이차가 최대 10cm를 넘지 않아야 한다. 현재 보도블록의 변화가 커 10cm 이상 되는 곳 또한 40%에 육박하고 있어 수정이 요구된다. 차량 자체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저상버스 도입률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서울시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대표적인 대중 교통수단의 하나이다. 지하철이 지정된 장소만을 이동할 수 있다면, 버스는 보다 다양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파급효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버스는 공공 교통수단임에도 불구하고, 장애인의 경우 불편한 점이 많아 그 사용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장애인 또한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여러 가지 사회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실적인 편의시설, 즉 최소한의 이동수단마저 아직은 미흡한 상황이다. 장애인의 이동권을 위해 국내에 도입된 저상버스는 아직 그 비율이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운영상에 다소 문제가 있어 활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공 교통수단 중의 하나인 버스의 이용에 대해 장애인의 사용실태를 파악하고, 개선점을 찾고자 하였다. 기본적으로 개선점을 파악하기 위해, 선진국의 상황, 법제도와 실제 버스에 대한 내용을 조사 정리하였다. 사용실태 파악을 위해서는 설문조사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서울에서 가장 장애인 수가 많은 성북구의 장애인 협회, 즉, 한국자동차후유장애인협회,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성북지회 등의 회원들을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버스이용시스템을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첫째, 장애인들이 버스를 이용하기 전 버스의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와 이를 바탕으로 이동하는 단계, 둘째, 버스 정류장에 진입하고 버스를 기다리는 단계, 셋째, 버스를 오르내리고 실제 이용하는 단계로 나누어 설문을 수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초 자료를 위한 장애인들의 인적사항과 버스 전반에 대한 상황, 그리고, 일반 문항에 이르는 내용까지 총 다섯 단계로 나누어 설문하였다. 설문 결과, 장애인들의 기본적인 경제적인 상황이 좋지 못한 상황에서, 버스 이용의 가장 큰 걸림돌은 운임에 대한 문제였으며, 지하철과 같이 장애인의 무료 이용 기회 제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기본적인 정류장 접근을 위한 보도의 정비, 접근성 향상, 휠체어 공간 확보 등이 필요하며, 휠체어의 원활한 이용을 위해서는 버스와 보도 블록간의 높이차가 최대 10cm를 넘지 않아야 한다. 현재 보도블록의 변화가 커 10cm 이상 되는 곳 또한 40%에 육박하고 있어 수정이 요구된다. 차량 자체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저상버스 도입률 증가가 요구되고 있다.
The bus is the most popularly used transportation method of Seoul citizens except the subway. The bus can go to more various locations than the subway, and it can be thought more powerful transportation method. However, the disabled persons have some limitations for use of public bus due to the lack...
The bus is the most popularly used transportation method of Seoul citizens except the subway. The bus can go to more various locations than the subway, and it can be thought more powerful transportation method. However, the disabled persons have some limitations for use of public bus due to the lack of accessibility. Although the disabled persons are also member of our society and should participate in the social activities, facilities for the comfort of those persons are greatly lacking. The low floor bus for the disabled has also management problems, and has not much market sha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state of bus use of the disabled, and try to find out th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For the improvement finding, the bus systems of developed countries are examined. And, the survey is used for the state of bus use, which are performed for the disabled of Seongbuk-gu. Seongbuk-gu has the largest number of the disabled persons in Seoul. The survey has three parts. First part is about the preparation of bus use and movement to the bus station. Second part is about the movement into the bus station and waiting of the bus. And, final third part is about getting in and out of the bus and use of bus. And, personal data of the people of surveyed and the information about overall bus transportation system are also included. The result shows that bus fares are main barriers for bus use of the disabled. Considering the disabled persons has low-income, the free use should be offered like the subway. And, the accessibility improvement through the maintenance of sidewalk and the establishment of space for wheelchair are requi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floor of bus should be less than 10cm for the disabled person to roll wheelchair up to the bus by himself. But, sidewalks has various height, and 40% has over 10cm difference.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about sidewalk should be performed. And, the portion of low floor bus should be higher than that of present.
The bus is the most popularly used transportation method of Seoul citizens except the subway. The bus can go to more various locations than the subway, and it can be thought more powerful transportation method. However, the disabled persons have some limitations for use of public bus due to the lack of accessibility. Although the disabled persons are also member of our society and should participate in the social activities, facilities for the comfort of those persons are greatly lacking. The low floor bus for the disabled has also management problems, and has not much market shar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state of bus use of the disabled, and try to find out th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For the improvement finding, the bus systems of developed countries are examined. And, the survey is used for the state of bus use, which are performed for the disabled of Seongbuk-gu. Seongbuk-gu has the largest number of the disabled persons in Seoul. The survey has three parts. First part is about the preparation of bus use and movement to the bus station. Second part is about the movement into the bus station and waiting of the bus. And, final third part is about getting in and out of the bus and use of bus. And, personal data of the people of surveyed and the information about overall bus transportation system are also included. The result shows that bus fares are main barriers for bus use of the disabled. Considering the disabled persons has low-income, the free use should be offered like the subway. And, the accessibility improvement through the maintenance of sidewalk and the establishment of space for wheelchair are requi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floor of bus should be less than 10cm for the disabled person to roll wheelchair up to the bus by himself. But, sidewalks has various height, and 40% has over 10cm difference.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about sidewalk should be performed. And, the portion of low floor bus should be higher than that of pres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