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아동과 부모에게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를 적용하여 부모-아동의 행동을 변화시키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반응 행동의 변화를 알아본다. 둘째,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아동의 행동 문제의 변화를 알아본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는 부모와 아동 양자를 놀이치료 장면에 참여시켜 긍정적 상호작용을 형성하며 부모에게 훈육 기술을 익히도록 구성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취학 전후의 유아기와 학령기 ...
본 연구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아동과 부모에게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를 적용하여 부모-아동의 행동을 변화시키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반응 행동의 변화를 알아본다. 둘째,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아동의 행동 문제의 변화를 알아본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는 부모와 아동 양자를 놀이치료 장면에 참여시켜 긍정적 상호작용을 형성하며 부모에게 훈육 기술을 익히도록 구성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취학 전후의 유아기와 학령기 ADHD 아동과 부모 3쌍이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진행은 사전․사후 평가 2회기와 신뢰감 단계 2회기, 아동 주도적 치료 단계 3회기, 부모 주도적 치료단계 3회기의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반응은 2명의 관찰자가 녹화된 부모와 아동의 놀이를 관찰하면서 K-MBRS와 K-CBRS 검사 항목의 행동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부모 효능감 척도(PSOC)는 인지적 양육 효능감과 정서적 양육 불안감으로 나누었고, 아동의 문제행동은 강점․난점 체크리스트(SDQ-kr)의 하위항목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반응 행동에서 언어적 칭찬, 수용성, 즐거움, 효율성 행동이 향상되었고, 성취지향성, 지시성 행동은 감소하였다. 아동의 반응 행동은 지속성, 협력, 주의집중, 공동 주의 행동이 향상되었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반응 행동은 부모의 반응성과 효율성이 향상되었고, 지시성은 감소하였다. 아동은 활동적 행동과 사회적 행동이 향상되었다. 둘째, 부모가 평가한 인지적 양육 효능감은 향상되었다. 아동의 행동 문제는 과잉 행동과 정서 증상이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는 부모의 부정적인 상호작용 행동을 긍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변화시켜 부모로서의 양육 자신감을 회복시키고, ADHD아동과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아동과 부모에게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를 적용하여 부모-아동의 행동을 변화시키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반응 행동의 변화를 알아본다. 둘째, 부모의 양육 효능감과 아동의 행동 문제의 변화를 알아본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는 부모와 아동 양자를 놀이치료 장면에 참여시켜 긍정적 상호작용을 형성하며 부모에게 훈육 기술을 익히도록 구성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취학 전후의 유아기와 학령기 ADHD 아동과 부모 3쌍이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진행은 사전․사후 평가 2회기와 신뢰감 단계 2회기, 아동 주도적 치료 단계 3회기, 부모 주도적 치료단계 3회기의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반응은 2명의 관찰자가 녹화된 부모와 아동의 놀이를 관찰하면서 K-MBRS와 K-CBRS 검사 항목의 행동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부모 효능감 척도(PSOC)는 인지적 양육 효능감과 정서적 양육 불안감으로 나누었고, 아동의 문제행동은 강점․난점 체크리스트(SDQ-kr)의 하위항목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반응 행동에서 언어적 칭찬, 수용성, 즐거움, 효율성 행동이 향상되었고, 성취지향성, 지시성 행동은 감소하였다. 아동의 반응 행동은 지속성, 협력, 주의집중, 공동 주의 행동이 향상되었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반응 행동은 부모의 반응성과 효율성이 향상되었고, 지시성은 감소하였다. 아동은 활동적 행동과 사회적 행동이 향상되었다. 둘째, 부모가 평가한 인지적 양육 효능감은 향상되었다. 아동의 행동 문제는 과잉 행동과 정서 증상이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는 부모의 부정적인 상호작용 행동을 긍정적이고 효율적으로 변화시켜 부모로서의 양육 자신감을 회복시키고, ADHD아동과의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개선시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therapy programs for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n change the behaviors of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The research problems were first, examining the changes of the inte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therapy programs for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n change the behaviors of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The research problems were first, examining the change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arent and child. Second, examine the changes of th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e efficiency of the parenting. The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therapy program allows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play therapy sessions to create a positive interaction and also allows the parents to learn the parenting techniqu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3 pairs of children with ADHD at or around their school-entering age and their parents.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2 sessions of before and after-tests, 2 sessions of the gradual treatment stages for the children, 3 sessions of child-led treatment and 3 sessions of parent-led treatment with a total of 10 sessions. The parent-child interaction responses were qualitatively analyzes by 2 observers through the video recordings using the items from Korean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K-MBRS) and Korean Child Behavior Rating Scale (K-CBRS).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 was shown in the cognitive senses of the parenting and the emotional parenting discomfort and the behavioral issues of the children were shown Korean version of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The study results can be shown as the following: First, the verbal praise, acceptance, enjoyment, and effectiveness behavior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n the parents’ response than before and the achievement-oriented and the directive behaviors decreased. The children’s response showed that the persistence, cooperative, joint attention and interest behavior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The parent-child interaction response behaviors showed that the parents’ respons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increased while the directivity decreased and the children showed increased active behaviors and social behaviors. Second, the effectiveness as evaluated by the parent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n the cognitive parenting effectiveness. The behavioral problems of the children decreased in the hyperactivity and emotional problems. Therefore, The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therapy changed the negative interaction with the parents to the ADHD of the children into a more positive and effective parenting to recover the confidence of the parent and also positively improved the interaction with ADHD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whether the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therapy programs for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and their parents can change the behaviors of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The research problems were first, examining the change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parent and child. Second, examine the changes of th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the efficiency of the parenting. The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therapy program allows the parents and the children to participate in the play therapy sessions to create a positive interaction and also allows the parents to learn the parenting techniqu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3 pairs of children with ADHD at or around their school-entering age and their parents. The program was carried out with 2 sessions of before and after-tests, 2 sessions of the gradual treatment stages for the children, 3 sessions of child-led treatment and 3 sessions of parent-led treatment with a total of 10 sessions. The parent-child interaction responses were qualitatively analyzes by 2 observers through the video recordings using the items from Korean Maternal Behavior Rating Scale (K-MBRS) and Korean Child Behavior Rating Scale (K-CBRS).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PSOC) was shown in the cognitive senses of the parenting and the emotional parenting discomfort and the behavioral issues of the children were shown Korean version of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SDQ-kr). The study results can be shown as the following: First, the verbal praise, acceptance, enjoyment, and effectiveness behavior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n the parents’ response than before and the achievement-oriented and the directive behaviors decreased. The children’s response showed that the persistence, cooperative, joint attention and interest behaviors increased after the program. The parent-child interaction response behaviors showed that the parents’ respons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increased while the directivity decreased and the children showed increased active behaviors and social behaviors. Second, the effectiveness as evaluated by the parent increased after the program in the cognitive parenting effectiveness. The behavioral problems of the children decreased in the hyperactivity and emotional problems. Therefore, The parent-child interaction play therapy changed the negative interaction with the parents to the ADHD of the children into a more positive and effective parenting to recover the confidence of the parent and also positively improved the interaction with ADHD children.
Keyword
#ADHD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 부모-아동 상호작용 반응 행동 양육 효능감 행동 문제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현희
학위수여기관
대구대학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재활심리학과 놀이치료
지도교수
송영혜
발행연도
2011
총페이지
v, 76
키워드
ADHD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 부모-아동 상호작용 반응 행동 양육 효능감 행동 문제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