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고등학생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 부모교육참여가 자녀의 생활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Middle·High School Parent's Parenting Stress, Parent Efficacy, Depression and Participation of Parent Education on Child's Life Competency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28 no.4, 2016년, pp.123 - 137  

임소진 (공주교육대학교 실과교육학과) ,  전세경 (공주교육대학교 실과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 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이 인지하는 자녀생활역량을 파악하고,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 부모 교육참여가 자녀생활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알아보고자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가진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2013년 4월 기준, 대전광역시 소재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협조공문을 보내, 설문지를 이메일로 전달하였고, 2013년 12월 10일부터 20일 사이 회수된 설문지 중, 결측치가 있는 자료를 분석에서 제외하여 총 800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해 SPSS 23.0 및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및 백분율을 실시하였다. 변인들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사용하였고, 변인들의 경로를 파악하기 위한 경로모형분석과 경로의 직 간접효과를 분석하고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생활역량 및 관련 변인들의 높은 상관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경로모형분석 결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 부모교육참여가 자녀생활역량에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학부모효능감과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나, 부모교육참여에 따라 자녀생활역량에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생활 역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가정교육학계에서의 정책적 대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s aim is to examine child's life competency that middle high school parents perceive and study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parent efficacy, depression, parent education participation on child's life competency. The study was conducted towards parents who have children attending m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국, 이러한 문제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해소와 부모의 개인 역량 유지 및 강화를 위한 방법들을 어떻게 강구할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한다. 즉,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은 경우 부모 자신뿐만 아니라 자녀의 역량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이를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접근도 고려하게 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의 변인들 각각이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들로 진행되었던 것을 한 연구모델 안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더불어, 양육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스트레스가 부모효능감과 우울감과 같은 부모 개인 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모 개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부모가 지니고 있는 개인변인들이 자녀역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앞서, 부모교육의 참여 정도가 어떠한 관계를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논의에 근거하여 궁극적으로 본 연구결과의 활용을 통해 청소년의 생활역량을 강화시키고, 이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지향점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의 정도가 높은 경우 양육자의 부모효능감 저하와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 정서로 인해 본인뿐만 아니라 자녀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부모효능감은 부모교육참여에, 부모교육참여는 자녀 생활역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여 자녀생활역량과 관련된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학부모들이 인지하고 있는 자녀생활 역량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다차원적 개념의 자녀생활역량을 이용하여 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더불어, 관련변인들인 부모 양육스트레스인 일상스트레스, 부모자녀관계스트레스, 자녀기질스트레스가 부모의 양육효능감과 우울감, 부모교육참여, 자녀생활역량에 어떠한 인과관계를 가지는지 밝혀, 관련 변인들이 학부모가 인지하는 자녀생활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효능감이 높은 부모의 경우, 자녀의 생활역량 일부 요인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침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부모효능감과 자녀의 생활역량이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측하는 바다.
  •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중·고등학생 청소년들의 생활역량에 초점을 두고, 중·고등학생 학부모들이 인지하는 그들 자녀의 생활역량을 살펴보고자 한다.
  • 즉,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양육자가 지각하는 부모효능감은 낮아지고, 부모의 우울감은 높아지며 또한, 우울한 부모의 경우 부모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우울감의 변인들 각각이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단편적인 연구들로 진행되었던 것을 한 연구모델 안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더불어, 양육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스트레스가 부모효능감과 우울감과 같은 부모 개인 변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교육참여를 부모가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자원으로 제시하여 부모효능감과 자녀생활역량의 관계에서 부모교육 참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생활역량을 설명하기 위해 부모의 양육관련 변인들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제안하며, 부모가 갖는 부모 양육스트레스로서 스트레스 하위 변인인 부모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부모자녀관계 스트레스, 자녀 기질 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 및 우울감과 부모 자신이 학교 교육과 공조적 협력을 의도한다는 의미에서의 학부모의 부모교육 참여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변인들이 자녀역량과 어떠한 관련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모 개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부모가 지니고 있는 개인변인들이 자녀역량에 영향을 미치는데 앞서, 부모교육의 참여 정도가 어떠한 관계를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논의에 근거하여 궁극적으로 본 연구결과의 활용을 통해 청소년의 생활역량을 강화시키고, 이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지향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이란 무엇인가? 역량(competency)이란 어떤 분야에서 성공적인 성취를 위한 우수한 수행자의 특성이자, 특정한 상황이나 직무와 같은 실제적 상황에서 효과적이거나 우수한 성과를 내는 개인의 내적 특성 등을 의미하는 것(Spencer & Spencer, 1993; as cited in Yoon, Seo, Kim & Jo, 2015)이다. 이는 직업교육이나 기업교육 분야에서 직무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 (Chung & Kyun, 2014)으로 제시되었다.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는 이전과는 다른 부모로서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함을 호소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편, 자녀의 발달과 성장을 도모하는데 부모의 양육태도나 방법, 가치관은 절대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청소년의 역량 개발을 위한 노력은 정부 및 학교의 몫만이 아니라 학부모의 노력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시대의 급격한 변화, 자녀수의 감소 등의 다양한 이유로 부모가 자녀를 보호하거나 개입할 수 있는 능력들이 이전에 비해 감소하고 있고(Jeon, Park, Auh & Jung, 2014), 학교 폭력이나 과도한 학업경쟁, 무분별한 정보 등, 청소년들에게 해가 되는 환경은 아직까지 그 영향력이 강한 실정이다. 즉,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는 이전과는 다른 부모로서의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함을 호소하고 있는 것이다.
생활역량과 관련한 개념으로 무엇이 제안 및 활용되고 있는가? , 2015). 생활역량과 관련한 개념으로, 생애능력(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4), 청소년기 핵심역량(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08)등으로 제안 및 활용되고 있으며, RLee와 Kwak(2013)의 연구에서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될 수 있는 것으로, 지적 능력, 인성(태도), 기술 등을 포괄 하는 다차원적 개념이며, 향후 직업세계를 포함한 미래의 사람에 성공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능력’으로 정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uh, S (2005).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of life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among rural famil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owa State University, Ames. 

  2. Ahn S-Y (2015). The of effects that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of developmental disability children's mothers have on child abuse.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58(1), 219-238. 

  3. Choi H-S & Jung O-B (2001). The development of an inventory for measuring the parenting self - efficacy of Korean mothers. Korea Associate of Child Studies, 22(3), 1-15. 

  4. Choi H-S, Yoon H-O & Yeon E-M (2015). The longitudinal medication effect of mothers' positice parenting attitude and depression in th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stress to infants' emotional temperament. Journal Korea Society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19(3), 119-142. 

  5. Chung K-S & Kyun J-Y (2014). The relationship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and parental efficacy in mothers of young children: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Research Institute for Humanities, 35, 113-143. 

  6. Cole, B (2007). Mother, gender and inclusion in the context of home-school relations. Support for Learning, 22(4), 165-173. 

  7. Dorsey, S., Klein, K., & Forehand, R. (1999). Parenting self-efficacy of HIV- infected mothers: The role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2), 295-305. 

  8.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04). 국가수준의 생애능력 표준설정 및 학습체제 질 관리 방안 연구(III). Seoul: 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9. Jeon S-K, Park S-O, Auh S & Jung I-K (2014).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healthy family: Parent education's program. Dae-Joe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10. Jung J-Y & Kim S-J (2008). A study on the 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of mathmatical underachievers i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1(2), 315-335. 

  11. Jung S-Y & Park J-Y (2016). Effects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on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on parenting efficiency, family empowerment, and family quality of life in parent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16(1), 89-108. 

  12. Jung Y-J & Kim Y-J (2014). The effects of NLP counseling program on parenting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renting attitude among mothers: The case of those with preschooler or school-ag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9(2), 485-511. 

  13. Kim E-Y (2005). The pa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maternal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dysfuctional Discipline practice to child's adjustment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Psychology, Seoul, Korea. 

  14. Kim E & Lee K (2016). Study on actual condition and activation of the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and parents by par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ll student: Focusing on parent involvement model schools. Journal fo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7), 27-49. 

  15. Kim H-M & Do H-S (2004).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And Education, 25(6), 279-298. 

  16. Kim K-E (2011). Maternal depression, parental efficacy, and involvement in play and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8(4), 1-17. 

  17. Lee C-O, (2014). The relations of mother's parenting efficacy, teacher 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3(1), 235-246. 

  18. Lee I-H, Park J-E & Choi S-Y (2010).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infants. 

  19. Lee J & Jang M (2008).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s: The mediation effect of irrational belief in parenting.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9(2), 1-16. 

  20. Lee J-O (2008). Maternal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A comparative study between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3(5), 403-428. 

  21. Lee Y-J (201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temperament of child,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self-efficacy in employed mother.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Care and Education, 85, 117-136 

  22. Moon T-H (2002). Relationships among mother's thinking style,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 Associate of Studies, 23(6), 49-63. 

  23.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008). 청소년 생애핵심역량 개발 및 추진방안 연구 I: 총괄보고서. Seoul: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24. Park H-J, Moon H-J (2013). Maternal attachment to infant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for mothers with infants and their effects on parentn 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0(3), 81-98. 

  25. RLee K-J, Kwak S-R (2013). A study to schooling satisfaction of the secondary school parents: A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Korean. Journal of Social of Education, 23(4), 155-175. 

  26. Seo H-S & Choi I-S (2012). Parental engagement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parents' socioeconomic s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parent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3), 243-263. 

  27. Seo M-J, Jang E-J, Jung C-H & Chei S-Y (2003). The study of the parenting stress, depression and parenting efficacy on the mother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8(1), 69-81. 

  28. Shin Y & Kim H (2003). Parent efficacy as an applicable concept of andragogy: implications for disabled children's parent education programs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6(1), 59-84. 

  29. Song M-H, Song Y-S & Kim Y-J (2007).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elf-efficacy in early childhood mothers.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2(5), 165-183. 

  30. Steeger, C. M., Gondoli, D. M., & Morrissey, R. A. (2013). Maternal avoidant coping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depressive symptoms during adolescenc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2(7), 952-961. 

  31. Sung E, Choi C, Kim H, Oh S-Y & Jin S-H (2015).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youth competency index(KYCI) and defini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2), 117-144. 

  32. Won J-Y (2009). Associations among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ocial capital within the family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6(9), 125-150. 

  33. Yoon M-H & Jang A-R (2007). A study of life competency for adolescent at risk in Busan area. 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20(1), 55-79. 

  34. Youm Y-S, Kim K-M & Lee S-W(2016). Korean child well-being index: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other OECD countries. The Bangjeonghwan Foundation. 

  35. Youn E-H (2013).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the needs for parent education - With a focus on parents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ju, Korea. 

  36. Yu, J. P. (2012). Concept and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equation model(1th de). Seoul: Hannarae. 

  37. Yun M, Seo H, Kim K & Jo J (2015).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a life competency scale for adolescence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8(2), 401-4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