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를 통한 치과불안 감소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Reducing Dental Anxiety through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7 no.1, 2017년, pp.46 - 55  

고부일 (목고박치과의원) ,  송연미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  배수명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 치위생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과 의료진에 의해 실시된 치과불안 감소에 대한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치과 진료 과정에서 적용 가능한 효과적인 개입방법 제안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과 방법은 임상치과의원에 내원한 치과불안 증세를 보이는 환자중, 연구에 동의한 1인을 대상으로 DFS, 심층인터뷰, 그리고 SUD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과불안 정도를 측정하고 불안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인지행동치료를 3월 2일부터 5월 20일까지 2주 간격으로 5회기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과에 관련하여 왜곡된 인지의 변화는 이와 연결된 불안들과 함께 짧은 기간 동안 급성호전 현상을 나타내며 감소하였다. 둘째, 환자 개개인의 특성과 심리적 상태에 따라 주요 개입법과 보조적인 개입법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호흡이완법은 신체적 긴장감과 심리적 안정화를, 수신호 사용은 진료과정 중의 소통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공감적 관계맺기는 의료진과의 신뢰성 형성을 통한 원활한 소통과 지속적인 치료에 대한 동기부여 및 치료적 퇴보를 완화시켰다. 불안목록 작성, 점진적인 둔감법, 직접적인 노출법, 진료과정 리허설은 문제에 대한 직접적이고 점진적인 도전을 경험함으로써 적응력강화 및 자기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고 왜곡된 인지 변화를 유도하였다. 셋째, 인지행동치료를 훈련한 치과 의료진이 치료과정 중에 실시한 단시간 심리적 개입이 환자의 치과불안 감소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사례연구라는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단기간의 인지행동치료 개입법이 치과와 연계된 왜곡된 인지를 재구조화함으로써 환자의 치과진료 회피행동과 치과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에 효과적인 접근법이며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people in Korea suffer from a fear of dental treatments;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focused on this population.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and its interventions in reducing dental anxiety, especially when administered by trained dental sta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치과의료진이 보다 다양한환자 사례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이들의 심리적 고통을 이해함으로써, 한국 특유의 사회. 문화에서 치과환자들이 가지게 되는 부정적인 신념을 파악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를 연구해 나가는 것에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이들을 돕기 위한 교육 자료와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표준화된 매뉴얼 개발이 지속적으로 연구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 더불어 치과불안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치료법 개입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일 사례 중심의 질적 연구로, 임상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과불안척도(dental fear scale, DFS), 심층인터뷰, 그리고 주관적 척도를 이용하여 환자의 치과불안 정도를 측정하고 불안의 종류와 수준에 따라 인지행동치료를 실시함으로써 첫째, 환자의 치과불안감소 과정을 회기별로 관찰 및 분석하고 둘째, 첫 번째 과정을 통한 치과불안 감소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적용의 효과를 분석하며 셋째, 효과적인 치과불안 감소 개입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치과불안환자들의 부정적인 감정은 인지행동치료에 있어 가장 기본적으로 고려되는 것이며, 증상의 감소는 환자 개인의 왜곡된 생각을 수정함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키고 부정적인 감정을 줄인다7). 따라서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를 통하여 치과진료 및 과정에 대한 환자의 왜곡된 생각과 이와 연계된 부정적인 감정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인지행동치료를 교육받은 치과 의료진이 진료과정에서 인지행동치료에 기반한 심리적 개입을 실시하였고, 환자의 불안이 감소하는 과정을 하나의 사례 분석으로 정리함으로써 인지행동치료 방법을 통한 개인의 치과불안감소 과정과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 치과기구와 진료에 대한 비극적인 생각인 ‘죽을 수도 있다’, 역기능적인 생각인 ‘내 치아는 기형이다’로 나타나는 인지왜곡은 점진적인 둔감법과 실제 노출법, 리허설, 그리고 행동치료를 환자 심리상태에 따라 적용하였다. 치료과정 중에서 환자 스스로 치과불안 문제의 본질인 인지적 왜곡을 깨닫게 함으로써 치과 진료에 대한 부정적인 인지 재구성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치과불안감을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치료의 목표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불안의 정의는? 치과불안이란 치과를 떠올리면 불편하고 걱정되며 두려운 기분이 들거나, 치과치료에 대해 불안, 근심, 공포 및 긴장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치과불안을 가진 환자는 전 인구의 10∼15%에서 나타나며, 치과불안 환자들은 대체로 과거 치과경험 중 통제할 수 없는 통증을 경험한 경우가 많다.
과거 치과경험 중 통제할 수 없는 통증을 경험한 환자들은 어떠한 행동을 보이는가? 치과불안을 가진 환자는 전 인구의 10∼15%에서 나타나며, 치과불안 환자들은 대체로 과거 치과경험 중 통제할 수 없는 통증을 경험한 경우가 많다. 그 경험이 재해적 사고로 확대 재생산되어, 응급진료가 아니면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회피하게 되고, 치과내원 약속을 반복적으로 어기게 된다1). 처음 내원하는 환자에게 통제할 수 없는 통증을 경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과불안를 가진 환자는 전 인구의 몇퍼센트 정도 되는가? 치과불안이란 치과를 떠올리면 불편하고 걱정되며 두려운 기분이 들거나, 치과치료에 대해 불안, 근심, 공포 및 긴장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치과불안을 가진 환자는 전 인구의 10∼15%에서 나타나며, 치과불안 환자들은 대체로 과거 치과경험 중 통제할 수 없는 통증을 경험한 경우가 많다. 그 경험이 재해적 사고로 확대 재생산되어, 응급진료가 아니면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회피하게 되고, 치과내원 약속을 반복적으로 어기게 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ars-Goran O, Erik 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dental phobia and anxiety. 1st ed. Wiley-Blackwell, Chichester, pp.45-50, 2013. 

  2. Berggren U, Linde A: Dental fear and avoidance: a comparison of two modes of treatment. J Dent Res 63: 1223-1227, 1984. 

  3. Berggren U, Meynert G: Dental fear and avoidance: causes, symptoms, and consequences. J Am Dent Assoc 109: 247-251, 1984. 

  4. Carlsson SG, Jern S: Paradigms in psychosomatic research: a dialectic perspective. Scand J Psychol Suppl 1: 151-157, 1982. 

  5. O'Shea RM, Corah NL, Ayer WA: Why patients change dentists: practitioners' views. J Am Dent Assoc 112: 851-854, 1986. 

  6. Hoem AF, Tvermyr K, Elde KM: Clinical management of the adult patient with dental anxiety. University of Tromso, Norwegia, pp.3-9, 2012. 

  7. Beck JS: Cognitive therapy: basics and beyond. 1st ed. Guilford Press, New York, pp.5-9, 1995. 

  8. Judith SB: Cognitive therapy. 1st ed. Hana Medical Publishing Company, Seoul, pp.13-20, 1997. 

  9. Prangnell SJ, Green K: A cognitive behavioural intervention for dental anxiety for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case study. Br J Learn Disabil 36: 242-248, 2008. 

  10. Hofmann SG, Smits JA: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adult anxiety disorders: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s. J Clin Psychiatry 69: 621-632, 2008. 

  11. Skaret E, Soevdsnes EK: Behavioural science in dentistry. The role of the dental hygienist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fearful dental patient. Int J Dent Hyg 3: 2-6, 2005. 

  12. Kvale G, Berggren U, Milgrom P: Dental fear in adults: a meta-analysis of behavioral interventions.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2: 250-264, 2004. 

  13. Milgrom P, Weinstein P, Getz T: Treating fearful dental patients: a patient management handbook. 2nd ed. University of Washington, Continuing Dental Education, Seattle/Washington, pp.135-154, 1995. 

  14. Lee HY, Na MH, Lee YH: Analysis of related factors for dental fear. J Korean Soc Dent Hyg 12: 57-65, 2012. 

  15. Lee HJ, Jeon ES, Lee BH: A study on the fear in private dental clinics. J Dent Hyg Sci 7: 193-196, 2007. 

  16. Shin SJ, Shin BM, Koh BI, Bae SM: Intervention for reducing dental fear and anxiety of dental patients. J Dent Hyg Sci 15: 369-376, 2015. 

  17. Kleinknecht RA, Thorndike RM, McGlynn FD, Harkavy J: Factor analysis of the dental fear survey with cross-validation. J Am Dent Assoc 108: 59-61, 1984. 

  18. Robert KY: Applications of case study research. 3rd ed. SAGE Publications, London, pp.39-40, 2012. 

  1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5th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C, pp.197-202, 2013. 

  20. Kim SJ, Lee HN, Yoon HY, Kwon JH: Sudden gains in cognitive behavioral group therapy for individuals with social anxiety disorder. Korean J Clin Psychol 33: 755-782,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