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접경지역(GP, GOP)에 근무하는 병사 및 간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상담활동의 실태를 확인하고 보다 적절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접경지역(GP, GOP)내에서의 특수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달성시키고 개개인 장병들이 맡은바 임무를 충실히 수행함은 물론 자아발견과 자아성장을 촉진하도록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수행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파주, 연천, 강원도 철원 등의 DMZ 안의 접경지역(GP, GOP)내 약 15개 부대를 중심으로 간부 61명, 병사 227명에 대한 설문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
본 연구는 접경지역(GP, GOP)에 근무하는 병사 및 간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상담활동의 실태를 확인하고 보다 적절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접경지역(GP, GOP)내에서의 특수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달성시키고 개개인 장병들이 맡은바 임무를 충실히 수행함은 물론 자아발견과 자아성장을 촉진하도록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수행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파주, 연천, 강원도 철원 등의 DMZ 안의 접경지역(GP, GOP)내 약 15개 부대를 중심으로 간부 61명, 병사 227명에 대한 설문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1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경지역(GP, GOP)에 근무하는 간부 및 병사의 상담 실태를 살펴보면, 병사들은 주로 상담 하는 장소로 행정반(사무실)/간부연구실이 활용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상담실에서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상담회수는 지난 6개월간 부대에 소속된 간부로부터 1~4회가 주를 이루었으며, 전혀 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없었다고 응답한 병사도 있었다. 상담은 주로 부대 내 소대장 및 간부와 이루어지고 있었고, 병사 자신의 필요에 의한 상담이 가장 많았다. 병사가 간부들과 대화할 때 상호간에 적극적인 대화를 나누며 상담 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일방적인 대화 방식도 일부 나타났다. 간부들도 병사들의 견해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간부들이 1주일 동안의 상담횟수는 1~5명 미만이고 1주일동안 한 내담자(병사)와는 1~3회로 나타났고, 평균적 상담 시간은 30분미만이며, 또한 간부들이 생각하는 상담의 경로는 의례적 상담으로 깊이 있는 상담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단순한 면담 수준의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상담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병사들은 부대에서의 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상담내용으로는 학교/진로문제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개인문제, 병영생활문제 순이며, 대인관계에 관한 상담에서는 이병과 일병은 선․후임과의 관계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반면, 상병과 병장은 선․후임과의 관계 뿐 아니라 자신의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병사들이 주로 상담하고 싶은 간부는 병영생활 상담관(주임원사, 함께 생활하는 친근한 간부)과 동료(또래 병사)였고, 또한 다수의 병사가 상담전문가인 병영생활 전문상담관과의 상담을 원하고 있었다. 병사들이 상담을 하면서 바라는 것은 자신의 이야기를 진심으로 들어 주었으면 하고, 절대 다수가 상담에 대한 비밀이 절대적으로 지켜지기를 바라고 있었고, 이병과 일병보다 상병과 병장이 더욱 더 비밀보장을 요구하였다. 간부들도 병사들과 마찬가지로 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상담의 목적을 병사들의 고민해결, 문제 예방 및 교정, 부대 적응유도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상담 만족도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병사들은 군 상담활동을 통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었고, 그 이유는 상담자가 직, 간접적으로 문제의 해결 및 해결방법을 제시해 줌으로서 도움이 되었거나, 문제해결보다 상담자와의 관계형성에 좋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과 상담 자체를 받아보지 못한 병사도 일부 있었는데, 이유로는 상담을 받을 때 자신의 고민거리나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이 없는 형식적인 상담이 이루어지거나, 간부의 상담경험 부족과 일방적․지시적인 대화방법으로 인하여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또한 간부들은 상담활동에 대하여 대다수가 만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그 이유는 병사들을 잘 이해하게 되었고, 병사들의 문제를 해결하고, 병사의 행동을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병사와의 깊이 있는 상담이 저해되는 개인적 요인으로서는 상담자의 전문지식 및 상담기법부족과 업무량과다, 시간부족, 자료부족에 더하여 상담교육의 부족 때문이다. 또한 상담자 주변 환경의 어려움도 있는데 군 지휘체계의 특성 상 비밀보장이 어렵고, 병사들이 개인적인 부족함을 드러내는 것을 회피하여 상담내용의 진실성과 개방성이 부족하며 신세대 병사들의 개인주의 성향 및 간부와의 세대차이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병사들이 생각하는 접경지역(GP, GOP)은 일반부대와 달리 당연히 힘들고 고생하는 곳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지역적 여건상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아 면회가 힘들고 사회와 떨어져 있는 곳이며, 적과 근접(近接) 대치하고 있기 때문에 위험과 불안이 과중되는 곳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에 따른 접경지역(GP, GOP)에서의 상담활성화 방안으로 간부와 병사들 모두 상담의 정기적․지속적 운영을 원하며 병․간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자발적인 참여, 상담내용에 대한 비밀보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상담에 대한 전문성 및 상담을 위한 시간보장과 홍보활동 강화 등의 의견이 있었다. 또한, 간부들은 병사들이 상담을 할 때 적극적이고 진솔한 상담 자세를 강조했다. 특히, 접경지역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상담실 전용공간 및 전문상담관(병영생활 전문상담관 및 간부)의 상주 내지 순회가 더욱 필요하다.
다섯째. 간부와 병사 간에 상담에 대한 인식차이로는 상담안내(홍보)에 대하여 간부와 병사 간의 인식차이가 있으며, 상담 시에 대한 대화방법에 대해 간부 및 대부분의 병사는 일방이건, 상호간이건 상담 시 대화가 오고가는 것으로 응답한 반면, 일부 병사는 기억이 안 난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고민이 있을 때 상담하지 않는 이유로 병사는 고민이 별거 아니라고 생각해서 상담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간부는 병사가 상담하고 싶은 간부가 없다는 비중이 높아, 간부와 병사 상호간에 상담에 대한 필요성 및 마음가짐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주요어 : 군 상담,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접경지역(GP, GOP).
본 연구는 접경지역(GP, GOP)에 근무하는 병사 및 간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상담활동의 실태를 확인하고 보다 적절한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접경지역(GP, GOP)내에서의 특수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달성시키고 개개인 장병들이 맡은바 임무를 충실히 수행함은 물론 자아발견과 자아성장을 촉진하도록 도움을 주려는 목적으로 수행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 파주, 연천, 강원도 철원 등의 DMZ 안의 접경지역(GP, GOP)내 약 15개 부대를 중심으로 간부 61명, 병사 227명에 대한 설문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SPSS 17.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경지역(GP, GOP)에 근무하는 간부 및 병사의 상담 실태를 살펴보면, 병사들은 주로 상담 하는 장소로 행정반(사무실)/간부연구실이 활용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상담실에서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상담회수는 지난 6개월간 부대에 소속된 간부로부터 1~4회가 주를 이루었으며, 전혀 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없었다고 응답한 병사도 있었다. 상담은 주로 부대 내 소대장 및 간부와 이루어지고 있었고, 병사 자신의 필요에 의한 상담이 가장 많았다. 병사가 간부들과 대화할 때 상호간에 적극적인 대화를 나누며 상담 하는 것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일방적인 대화 방식도 일부 나타났다. 간부들도 병사들의 견해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간부들이 1주일 동안의 상담횟수는 1~5명 미만이고 1주일동안 한 내담자(병사)와는 1~3회로 나타났고, 평균적 상담 시간은 30분미만이며, 또한 간부들이 생각하는 상담의 경로는 의례적 상담으로 깊이 있는 상담이 이루어지기 보다는 단순한 면담 수준의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상담에 대한 요구사항으로 병사들은 부대에서의 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상담내용으로는 학교/진로문제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개인문제, 병영생활문제 순이며, 대인관계에 관한 상담에서는 이병과 일병은 선․후임과의 관계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반면, 상병과 병장은 선․후임과의 관계 뿐 아니라 자신의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병사들이 주로 상담하고 싶은 간부는 병영생활 상담관(주임원사, 함께 생활하는 친근한 간부)과 동료(또래 병사)였고, 또한 다수의 병사가 상담전문가인 병영생활 전문상담관과의 상담을 원하고 있었다. 병사들이 상담을 하면서 바라는 것은 자신의 이야기를 진심으로 들어 주었으면 하고, 절대 다수가 상담에 대한 비밀이 절대적으로 지켜지기를 바라고 있었고, 이병과 일병보다 상병과 병장이 더욱 더 비밀보장을 요구하였다. 간부들도 병사들과 마찬가지로 상담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상담의 목적을 병사들의 고민해결, 문제 예방 및 교정, 부대 적응유도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상담 만족도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병사들은 군 상담활동을 통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었고, 그 이유는 상담자가 직, 간접적으로 문제의 해결 및 해결방법을 제시해 줌으로서 도움이 되었거나, 문제해결보다 상담자와의 관계형성에 좋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도움이 되지 않았다는 응답과 상담 자체를 받아보지 못한 병사도 일부 있었는데, 이유로는 상담을 받을 때 자신의 고민거리나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이 없는 형식적인 상담이 이루어지거나, 간부의 상담경험 부족과 일방적․지시적인 대화방법으로 인하여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또한 간부들은 상담활동에 대하여 대다수가 만족하다고 느끼고 있으며, 그 이유는 병사들을 잘 이해하게 되었고, 병사들의 문제를 해결하고, 병사의 행동을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병사와의 깊이 있는 상담이 저해되는 개인적 요인으로서는 상담자의 전문지식 및 상담기법부족과 업무량과다, 시간부족, 자료부족에 더하여 상담교육의 부족 때문이다. 또한 상담자 주변 환경의 어려움도 있는데 군 지휘체계의 특성 상 비밀보장이 어렵고, 병사들이 개인적인 부족함을 드러내는 것을 회피하여 상담내용의 진실성과 개방성이 부족하며 신세대 병사들의 개인주의 성향 및 간부와의 세대차이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병사들이 생각하는 접경지역(GP, GOP)은 일반부대와 달리 당연히 힘들고 고생하는 곳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지역적 여건상 접근성이 용이하지 않아 면회가 힘들고 사회와 떨어져 있는 곳이며, 적과 근접(近接) 대치하고 있기 때문에 위험과 불안이 과중되는 곳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이에 따른 접경지역(GP, GOP)에서의 상담활성화 방안으로 간부와 병사들 모두 상담의 정기적․지속적 운영을 원하며 병․간부의 적극적인 관심과 자발적인 참여, 상담내용에 대한 비밀보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상담에 대한 전문성 및 상담을 위한 시간보장과 홍보활동 강화 등의 의견이 있었다. 또한, 간부들은 병사들이 상담을 할 때 적극적이고 진솔한 상담 자세를 강조했다. 특히, 접경지역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는 상담실 전용공간 및 전문상담관(병영생활 전문상담관 및 간부)의 상주 내지 순회가 더욱 필요하다.
다섯째. 간부와 병사 간에 상담에 대한 인식차이로는 상담안내(홍보)에 대하여 간부와 병사 간의 인식차이가 있으며, 상담 시에 대한 대화방법에 대해 간부 및 대부분의 병사는 일방이건, 상호간이건 상담 시 대화가 오고가는 것으로 응답한 반면, 일부 병사는 기억이 안 난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고민이 있을 때 상담하지 않는 이유로 병사는 고민이 별거 아니라고 생각해서 상담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간부는 병사가 상담하고 싶은 간부가 없다는 비중이 높아, 간부와 병사 상호간에 상담에 대한 필요성 및 마음가짐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주요어 : 군 상담,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접경지역(GP, GOP).
The principl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and to promote successful mission in the near-boarder uni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each individual's self-awareness by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unseling in the area specified.
The survey and the analysis was done on subjec...
The principl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and to promote successful mission in the near-boarder uni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each individual's self-awareness by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unseling in the area specified.
The survey and the analysis was done on subjects of 61 officers and NCOs and 227 enlistees in 15 near-boarder units located inside the Demilitarized Zone, such as Paju, Yeoncheon of Gyunggi Province and Cheolwon of Ganwon Province. The result of the study was obtained through a frequency-analysis and a cross-analysis using SPSS 17.0.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s for the location of the counseling, an unit headquarters office or and officer's lab were the most prevalent, which was followed by a counsulation room. The frequency of counseling was at 1 to 4 times in the past 6 months period and also there were some enlistees stating that no counseling was performed in the given period. Counseling were mostly requested by the enlistees and they were led by the platoon leaders and other officers in the unit. It was discovered that during the counseling, the majority of the conversations were carried out in an active manner, however, there were one-way or non-interactive conversations in some cases. The most officers conduct a counseling on 1 to 5 enlistees and each enlistee would have 1 to 3 sessions at averaging duration of 30 min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officers perceive the enlistee counseling as a formality interview instead of an in-depth consultation to resolve personal issues.
Second.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enlistees believe that the counseling is necessary while living in the army. The subjects of the counseling were education / career development, personal issuer and life in the army in the descending order of the frequency. As far as personal relations are concerned, PVTs and PFCs were mainly concerned with their senior-junior relationship, but CPLs and SGTs were also interested in their personal issues. The most preferred Person as a counselor was in-unit counselor (NCOs or officers who are non-professional of the enlistees are close with) or fellow soldier. The next preferred was a professional counselor outside their unit. The main concerns of the enlistees on the counseling were sincerity of the counselors attitude or concerns towards the issue. With an absolute majority the privacy of the counseling were demanded and this answer was most frequent in the CPLs and SGTs. Both officers, NCOs and enlistees agreed on the necessity of counseling in the army and the purpose of the counseling as overcoming personal issues, problem prevention and correction, and guidance to adaptation in the army life.
Third,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ounseling, majority of the enlistees answered positively because they were able to either resolve their problems due to the direct or indirect help from the counselor or develop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counselor. Negative responses were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counseling they were receiving or lack thereof. The enlistees indicated that the lack of the counselor's experience, misdirected conversations that are focused on fulfilling just the formality of counseling contributed to the dissatisfaction of the counseling quality. on the other hand, the officers and NCOs indicate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 outcome of their counseling sessions and believe the sessions helped the enlistees in resolving their issues and correcting their conducts.
The study also revealed many hindrances in conducting a counseling, such a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or training therein. excess amount of work, lack of time and data needed. Also, the structure and the system of the military prevent keeping of the privacy of the enlistees, lacking of sincerity and openness in counseling, and generation gap did amount to the counselor's circumstantial hindrances.
Fourth. The general perception of GPs or GOPs among the soldiers, accepting the natural stress and danger in the near-boarder area as well as the inaccessibility to the outside world, have brought up the opinions in improving the counseling syste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emphasized in unison that spontaneous interest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counseling, guarantee of the privacy, activation of exclusive counseling location and also the tour or permanent stationing of the professional counseling counselor were vital for invigoration of counseling in the near-boarder units.
Fifth. The officers, NCOs and enlistees showed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nd the initial approach of counseling. As for the method of communication during counseling, majority answered 'The interactive or one-way conversation' and some answered 'do-not recollect'. The most enlistees answered the reason for not requesting a counseling as 'I thank my issue is insignificant', while the officers and NCOs answered 'The enlistees do not have a particular officer or NCOs whom they want to talk to'. These two answers proved that the change in awareness and proper mine-set on counseling is needed from the both parties.
Keyword : Counseling among Military, Guidance Counselor of Army Life, The Near-boarder Units(GP, GOP)
The principl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acilitate and to promote successful mission in the near-boarder uni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each individual's self-awareness by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unseling in the area specified.
The survey and the analysis was done on subjects of 61 officers and NCOs and 227 enlistees in 15 near-boarder units located inside the Demilitarized Zone, such as Paju, Yeoncheon of Gyunggi Province and Cheolwon of Ganwon Province. The result of the study was obtained through a frequency-analysis and a cross-analysis using SPSS 17.0.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s for the location of the counseling, an unit headquarters office or and officer's lab were the most prevalent, which was followed by a counsulation room. The frequency of counseling was at 1 to 4 times in the past 6 months period and also there were some enlistees stating that no counseling was performed in the given period. Counseling were mostly requested by the enlistees and they were led by the platoon leaders and other officers in the unit. It was discovered that during the counseling, the majority of the conversations were carried out in an active manner, however, there were one-way or non-interactive conversations in some cases. The most officers conduct a counseling on 1 to 5 enlistees and each enlistee would have 1 to 3 sessions at averaging duration of 30 min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officers perceive the enlistee counseling as a formality interview instead of an in-depth consultation to resolve personal issues.
Second. The survey indicated that the enlistees believe that the counseling is necessary while living in the army. The subjects of the counseling were education / career development, personal issuer and life in the army in the descending order of the frequency. As far as personal relations are concerned, PVTs and PFCs were mainly concerned with their senior-junior relationship, but CPLs and SGTs were also interested in their personal issues. The most preferred Person as a counselor was in-unit counselor (NCOs or officers who are non-professional of the enlistees are close with) or fellow soldier. The next preferred was a professional counselor outside their unit. The main concerns of the enlistees on the counseling were sincerity of the counselors attitude or concerns towards the issue. With an absolute majority the privacy of the counseling were demanded and this answer was most frequent in the CPLs and SGTs. Both officers, NCOs and enlistees agreed on the necessity of counseling in the army and the purpose of the counseling as overcoming personal issues, problem prevention and correction, and guidance to adaptation in the army life.
Third, 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ounseling, majority of the enlistees answered positively because they were able to either resolve their problems due to the direct or indirect help from the counselor or develop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counselor. Negative responses were related to the quality of the counseling they were receiving or lack thereof. The enlistees indicated that the lack of the counselor's experience, misdirected conversations that are focused on fulfilling just the formality of counseling contributed to the dissatisfaction of the counseling quality. on the other hand, the officers and NCOs indicate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 outcome of their counseling sessions and believe the sessions helped the enlistees in resolving their issues and correcting their conducts.
The study also revealed many hindrances in conducting a counseling, such a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or training therein. excess amount of work, lack of time and data needed. Also, the structure and the system of the military prevent keeping of the privacy of the enlistees, lacking of sincerity and openness in counseling, and generation gap did amount to the counselor's circumstantial hindrances.
Fourth. The general perception of GPs or GOPs among the soldiers, accepting the natural stress and danger in the near-boarder area as well as the inaccessibility to the outside world, have brought up the opinions in improving the counseling syste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emphasized in unison that spontaneous interest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counseling, guarantee of the privacy, activation of exclusive counseling location and also the tour or permanent stationing of the professional counseling counselor were vital for invigoration of counseling in the near-boarder units.
Fifth. The officers, NCOs and enlistees showed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and the initial approach of counseling. As for the method of communication during counseling, majority answered 'The interactive or one-way conversation' and some answered 'do-not recollect'. The most enlistees answered the reason for not requesting a counseling as 'I thank my issue is insignificant', while the officers and NCOs answered 'The enlistees do not have a particular officer or NCOs whom they want to talk to'. These two answers proved that the change in awareness and proper mine-set on counseling is needed from the both parties.
Keyword : Counseling among Military, Guidance Counselor of Army Life, The Near-boarder Units(GP, GOP)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