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인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3학년 7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62.7%가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하였다. 이들은 학교 수업을 따라잡기 힘들며, 또래 관계에서의 차별경험이나 놀림으로 인한 어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가지고 있다. 1. 사회 인구학적 변인(학년, 성별)에 따라 다문화 가정 아동의 개인 적 인지, 가족관계,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2. 다문화가정 아동의 개인적인지, 가족관계,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3. 개인적 인지,가족관계,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 활적응 및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아동 200명(1학년~6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설문지는 10명의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 시행 후, 수정․보완하였다. 2011년 8월에 해당 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다문화 가정 아동의 취학현황을 사전조사 한 후, 대상 초등 학교의 다문화 아동 담당 교사께 전화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직접 방문을 하거나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1년 9월 7일부터 22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30개 학교에 250부를 배부하여 회수 된 220부 중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00부의 설문지가 연구를 위한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쳤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인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3학년 7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62.7%가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하였다. 이들은 학교 수업을 따라잡기 힘들며, 또래 관계에서의 차별경험이나 놀림으로 인한 어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가지고 있다. 1. 사회 인구학적 변인(학년, 성별)에 따라 다문화 가정 아동의 개인 적 인지, 가족관계,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2. 다문화가정 아동의 개인적인지, 가족관계,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3. 개인적 인지,가족관계,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 활적응 및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아동 200명(1학년~6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설문지는 10명의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 시행 후, 수정․보완하였다. 2011년 8월에 해당 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다문화 가정 아동의 취학현황을 사전조사 한 후, 대상 초등 학교의 다문화 아동 담당 교사께 전화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직접 방문을 하거나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1년 9월 7일부터 22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30개 학교에 250부를 배부하여 회수 된 220부 중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00부의 설문지가 연구를 위한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쳤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 가정 아동이 지각한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다문화 적응,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다문화 적응,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교사 지지로 나타났음을 볼 때, 학교의 제도적 노력과 다문화 가정 아동들을 대하는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변화와 수용이 중요하다. 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은 일반 가정 아동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긍정적인 인식의 전환을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가정 특성 이해 및 일반 아동과 다문화 가정 아동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또래관계 지지가 필요하다. 또래 일반 아이들의 인식전환이 중요하다. 인식전환을 위해 또래 아이들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다양한 문화나 민족 상호간의 오해를 해소하고 서로를 정확히 이해하는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실제로 대면하는 교육현장의 노력이 요구된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또래관계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지역사회 내 아동상담소 등 전문기관이나 각 지역 교육청 차원에서 특별반 편성이나 상담사 운영, 순회지도 교사 파견 등 제도적으로 협력적이고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친구를 사귀는 것은 단순한 일이 아니고 사회생활의 기본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사회의 인재로 성장시키는 중요한 일의 시작이다. 셋째, 다문화가정의 가족관계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했으며, 학교 흥미도 는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아버지의 양육태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교장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자녀와 관련된 연수를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다문화 가정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다문화 적응, 사회적지지 등 학교생활적응에 관련된 이론적인 연구를 토대로 한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남성과 외국인 여성과의 국제결혼으로 형성된 다문화 가정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되어졌다. 후속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 가정, 새터민 가정 등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뿐만 아니라 부모를 대상으로한 설문지를 따로 작성하여 부모와 아동이 서로 지각하고 있는 양육태도에 대한 상호 관련성을 고려한 설문조사뿐만 아니라 면접조사를 추가하여 신뢰도를 높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양적인 연구뿐만이 아니라 질적인 연구를 통하여 좀 더 다각적이고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에서 다문화가정 자녀인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3학년 7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자의 62.7%가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하였다. 이들은 학교 수업을 따라잡기 힘들며, 또래 관계에서의 차별경험이나 놀림으로 인한 어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가지고 있다. 1. 사회 인구학적 변인(학년, 성별)에 따라 다문화 가정 아동의 개인 적 인지, 가족관계,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2. 다문화가정 아동의 개인적인지, 가족관계,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적 지지는 어떠한가? 3. 개인적 인지,가족관계,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 활적응 및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 가정 아동 200명(1학년~6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설문지는 10명의 다문화 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 시행 후, 수정․보완하였다. 2011년 8월에 해당 교육청의 협조를 받아 다문화 가정 아동의 취학현황을 사전조사 한 후, 대상 초등 학교의 다문화 아동 담당 교사께 전화로 연구목적을 설명하고 직접 방문을 하거나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1년 9월 7일부터 22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30개 학교에 250부를 배부하여 회수 된 220부 중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200부의 설문지가 연구를 위한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9.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처리 과정을 거쳤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다문화 가정 아동이 지각한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다문화 적응,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적응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다문화 적응,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가정 아동들의 학교생활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교사 지지로 나타났음을 볼 때, 학교의 제도적 노력과 다문화 가정 아동들을 대하는 교사들의 긍정적인 인식변화와 수용이 중요하다. 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은 일반 가정 아동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긍정적인 인식의 전환을 위해 교사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가정 특성 이해 및 일반 아동과 다문화 가정 아동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또래관계 지지가 필요하다. 또래 일반 아이들의 인식전환이 중요하다. 인식전환을 위해 또래 아이들과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다양한 문화나 민족 상호간의 오해를 해소하고 서로를 정확히 이해하는 다문화가정 자녀들과 실제로 대면하는 교육현장의 노력이 요구된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또래관계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슬기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한 지역사회 내 아동상담소 등 전문기관이나 각 지역 교육청 차원에서 특별반 편성이나 상담사 운영, 순회지도 교사 파견 등 제도적으로 협력적이고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 친구를 사귀는 것은 단순한 일이 아니고 사회생활의 기본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사회의 인재로 성장시키는 중요한 일의 시작이다. 셋째, 다문화가정의 가족관계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했으며, 학교 흥미도 는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아버지의 양육태도 등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교장을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자녀와 관련된 연수를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다문화 가정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다문화 적응, 사회적지지 등 학교생활적응에 관련된 이론적인 연구를 토대로 한 실질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한국남성과 외국인 여성과의 국제결혼으로 형성된 다문화 가정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되어졌다. 후속연구에서는 이주노동자 가정, 새터민 가정 등 다양한 형태의 다문화 가정을 대상으로 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뿐만 아니라 부모를 대상으로한 설문지를 따로 작성하여 부모와 아동이 서로 지각하고 있는 양육태도에 대한 상호 관련성을 고려한 설문조사뿐만 아니라 면접조사를 추가하여 신뢰도를 높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양적인 연구뿐만이 아니라 질적인 연구를 통하여 좀 더 다각적이고 심도 있는 접근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적절한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Gyeinggido family and woman's research institue announce the result based on conducting a survey of 798 people who are 5th and 6th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to 3rd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it turned out that 62.7% among participants are having a hard time when they adapt to t...
Gyeinggido family and woman's research institue announce the result based on conducting a survey of 798 people who are 5th and 6th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to 3rd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it turned out that 62.7% among participants are having a hard time when they adapt to the school. It also turned out that they have difficulties in following school curriculum, and in getting along with their friends because of teasing or discrimin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has been done for determining factor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dapting to the school. Here are subjects of inquiry below. 1. what individual recogni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family relationship, and adapting to the school, and social support are shown by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their grade or gender? 2. How are individual recogni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family relationship, adapting to the school, and social support? 3. How is the relative influence that individual recognition, family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affect to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dapting to the school? So this study has been done aimng at 200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who go to onr of the elementary school in Deagu(from 1st to 6th year).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has been revised and complemented after conducting pre-questionnaire aiming at 10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fter pre-investigation of school-age child status in August in 2011 based on cooperation of education office in-local, the survey was done by calling to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their house, or mailing to them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urvey. Materials which was collected from this study, processed through SPSS/WIN 19.0 statistics program. First,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I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 analysi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Second, to look into difference of adapting to the school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y, I also carried out t-test and ANOVA Third, to look into relation multiculture adaptation, social support, adapting to the school I carried out relation analysis. Fourth, to look into influence of multiculture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which affect to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dapting to the school, I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ere are summaries of this study. First, based on the factor that teachers' support affects a lot to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o adapt to the school, positive change of teachers' recognition and acceptation are important. Teachers' recognition about multiculture may affect a lot to children in normal family, so integral instruction for teaching both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nd children in normal family and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al family aiming at teachers must be needed. Seco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need support of peer group. And changing of peer group's recognition must be needed. To do that, we need to mak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general peer group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nd make opportunity for peer group to meet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so that it could be real education to peer group. A children consultation center or sending a teaching tour instructor must be needed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so that they could cope with their relationship wisely. Also cooperative and various support is needed such as special class arranged in education office in-local. Making friends is not just a simple matter but it is an important matter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o grow them talented people as a basics of social life.. Third, it turned out that a family relationship of multiculutural family didn't affect to adapt to the school, but their interest of school was affected by parents marriage satisfaction and father's method of bringing up childre., So here are some proposal for next study and limits below. First, aiming at teachers and principals, training related with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must be conducted. Second development of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must be need based on study on adapting their lives including social-demographic feature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multiculture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Third, this study has been done aiming at multicultural families formed by Korean man and foreign woman. So in further studies, comparative studies aiming at emigrant workers family, North Korean defector family etc. Fourth, not only questionnaire about parents' raising attitude aiming at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but also questionnaire for parents must be needed separately, so that we could look into mutual relativeness about raising attitude. Also interview survey must be added for future study to increase credibility of the study. Fifth, quantitative study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qualitative study must be done for diverse and in-depth approach.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gram must be followed.
Gyeinggido family and woman's research institue announce the result based on conducting a survey of 798 people who are 5th and 6th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to 3rd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it turned out that 62.7% among participants are having a hard time when they adapt to the school. It also turned out that they have difficulties in following school curriculum, and in getting along with their friends because of teasing or discrimination. For this reason, this study has been done for determining factor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dapting to the school. Here are subjects of inquiry below. 1. what individual recogni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family relationship, and adapting to the school, and social support are shown by social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their grade or gender? 2. How are individual recogni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family relationship, adapting to the school, and social support? 3. How is the relative influence that individual recognition, family relationship, and social support affect to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dapting to the school? So this study has been done aimng at 200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who go to onr of the elementary school in Deagu(from 1st to 6th year). The questionnaire of this study has been revised and complemented after conducting pre-questionnaire aiming at 10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fter pre-investigation of school-age child status in August in 2011 based on cooperation of education office in-local, the survey was done by calling to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visiting their house, or mailing to them explaining the purpose of this survey. Materials which was collected from this study, processed through SPSS/WIN 19.0 statistics program. First, to understand general characteristics, I carried out frequency analysis and technical statistic analysi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Second, to look into difference of adapting to the school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ccording to social demography, I also carried out t-test and ANOVA Third, to look into relation multiculture adaptation, social support, adapting to the school I carried out relation analysis. Fourth, to look into influence of multiculture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which affect to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dapting to the school, I carried ou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ere are summaries of this study. First, based on the factor that teachers' support affects a lot to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o adapt to the school, positive change of teachers' recognition and acceptation are important. Teachers' recognition about multiculture may affect a lot to children in normal family, so integral instruction for teaching both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nd children in normal family and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s in multicultural family aiming at teachers must be needed. Seco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need support of peer group. And changing of peer group's recognition must be needed. To do that, we need to mak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general peer group and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and make opportunity for peer group to meet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so that it could be real education to peer group. A children consultation center or sending a teaching tour instructor must be needed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so that they could cope with their relationship wisely. Also cooperative and various support is needed such as special class arranged in education office in-local. Making friends is not just a simple matter but it is an important matter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to grow them talented people as a basics of social life.. Third, it turned out that a family relationship of multiculutural family didn't affect to adapt to the school, but their interest of school was affected by parents marriage satisfaction and father's method of bringing up childre., So here are some proposal for next study and limits below. First, aiming at teachers and principals, training related with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must be conducted. Second development of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must be need based on study on adapting their lives including social-demographic feature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multiculture adaptation, and social support. Third, this study has been done aiming at multicultural families formed by Korean man and foreign woman. So in further studies, comparative studies aiming at emigrant workers family, North Korean defector family etc. Fourth, not only questionnaire about parents' raising attitude aiming at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but also questionnaire for parents must be needed separately, so that we could look into mutual relativeness about raising attitude. Also interview survey must be added for future study to increase credibility of the study. Fifth, quantitative study for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y, qualitative study must be done for diverse and in-depth approach. And development of appropriate program must be follow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