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각운동은 대근육과 국소근육이 적절한 비율로 협응 할 수 있도록 재훈련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임상에서 적용이 용이하여 체간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교각운동 시 불안정 지지면을 적용하기 위해 많은 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슬링과 치료용 볼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적으며, 교각운동 시 양팔 들기가 첨가되었을 때 체간근육의 활성도를 확인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본 연구는 고정된 지지면, 슬링, 치료용 볼에서의 교각 운동 시 나타나는 체간근육들의 활성도를 비교하고, 각각의 지지면에서 교각운동과 양팔 들기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을 때 나타나는 체간근육들의 활성도를 비교하여 요통환자들의 개개인에게 맞는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교각운동 방법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건강한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고정된 지지면, 슬링, 치료용 볼에서 교각운동과 교각운동 시 양팔 들기를 병행 하여 각각 실시하였다. 교각운동 실시 동안 ...
교각운동은 대근육과 국소근육이 적절한 비율로 협응 할 수 있도록 재훈련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임상에서 적용이 용이하여 체간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교각운동 시 불안정 지지면을 적용하기 위해 많은 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슬링과 치료용 볼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적으며, 교각운동 시 양팔 들기가 첨가되었을 때 체간근육의 활성도를 확인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본 연구는 고정된 지지면, 슬링, 치료용 볼에서의 교각 운동 시 나타나는 체간근육들의 활성도를 비교하고, 각각의 지지면에서 교각운동과 양팔 들기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을 때 나타나는 체간근육들의 활성도를 비교하여 요통환자들의 개개인에게 맞는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교각운동 방법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건강한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고정된 지지면, 슬링, 치료용 볼에서 교각운동과 교각운동 시 양팔 들기를 병행 하여 각각 실시하였다. 교각운동 실시 동안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척주세움근의 근활성을 수집하기 위하여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고정된 지지면, 슬링, 치료용 볼에서 교각운동은 배바깥빗근과 척주세움근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고정된 지지면, 슬링, 치료용 볼에서 양팔 들기를 병행한 교각운동은 척주세움근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교각운동과 양팔 들기를 병행한 교각운동의 체간근육 활성도 비교에서는 치료용 볼에서 배바깥빗근만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각운동 시 고정된 지지면 보다는 슬링에서 체간근육 활성도가 증가하며, 슬링에서 보다 치료용 볼에서 체간근육 활성도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각운동 시 양팔 들기를 병행하는 것은 체간근육의 활성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치료용 볼에서 실시할 경우 배바깥빗근은 활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각운동은 대근육과 국소근육이 적절한 비율로 협응 할 수 있도록 재훈련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임상에서 적용이 용이하여 체간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 교각운동 시 불안정 지지면을 적용하기 위해 많은 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슬링과 치료용 볼을 직접 비교한 연구는 적으며, 교각운동 시 양팔 들기가 첨가되었을 때 체간근육의 활성도를 확인한 연구 또한 부족하다. 본 연구는 고정된 지지면, 슬링, 치료용 볼에서의 교각 운동 시 나타나는 체간근육들의 활성도를 비교하고, 각각의 지지면에서 교각운동과 양팔 들기를 병행하여 실시하였을 때 나타나는 체간근육들의 활성도를 비교하여 요통환자들의 개개인에게 맞는 효과적이고 바람직한 교각운동 방법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건강한 남성 20명을 대상으로 고정된 지지면, 슬링, 치료용 볼에서 교각운동과 교각운동 시 양팔 들기를 병행 하여 각각 실시하였다. 교각운동 실시 동안 배곧은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 척주세움근의 근활성을 수집하기 위하여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고정된 지지면, 슬링, 치료용 볼에서 교각운동은 배바깥빗근과 척주세움근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고정된 지지면, 슬링, 치료용 볼에서 양팔 들기를 병행한 교각운동은 척주세움근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교각운동과 양팔 들기를 병행한 교각운동의 체간근육 활성도 비교에서는 치료용 볼에서 배바깥빗근만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각운동 시 고정된 지지면 보다는 슬링에서 체간근육 활성도가 증가하며, 슬링에서 보다 치료용 볼에서 체간근육 활성도가 더욱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각운동 시 양팔 들기를 병행하는 것은 체간근육의 활성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지만 치료용 볼에서 실시할 경우 배바깥빗근은 활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Bridging exercise a method to retrain large muscles and local muscles to coordinate in appropriate ratios. Because it can be easily applied, it is frequently used as a trunk stabilizing exercise program in clinics. During bridging exercise, many tools are used in order to apply unstable bearing surf...
Bridging exercise a method to retrain large muscles and local muscles to coordinate in appropriate ratios. Because it can be easily applied, it is frequently used as a trunk stabilizing exercise program in clinics. During bridging exercise, many tools are used in order to apply unstable bearing surfaces. However, few studies have directly compared sling and ball. Moreover, studies that checked trunk muscle activity when both-arm lifting was added during bridging exercise are insufficient.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activities of trunk muscles that appeared during bridging exercise on fixed bearing surfaces, sling, and ball. The study also compared the activities of trunk muscles that appeared during bridge exercise combined with both-arm lifting on fixed bearing surfaces, sling, and ball. The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esent data for effective and desirable bridging exercise methods suitable for individual patients with low back pain. In the study, 20 healthy men performed bridging exercise and bridging exercise combined with both-arm lifting on fixed bearing surfaces, sling, and ball. While the subjects were performing the bridging exercise,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collect the values of muscle activity of the rectus abdominis muscle, the external oblique muscle, the internal oblique muscle, and the erector spinae muscl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muscle activity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the erector spinae muscle during bridging exercise on bearing surfaces, sling, or ball. During bridge exercise combined with both-arm lifting on bearing surfaces, sling, or ball, significant increases in muscle activity were shown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Comparison betwee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 and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 combined with both-arm lifting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only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when the exercises were performed on balls. The results showed that during bridge exercise, trunk muscle activity increased on slings more than on fixed bearing surfaces and more on balls than on sling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bridge exercise combined with both-arm lifting did not greatly affect trunk muscle activity, but if the exercise was performed on balls, the activity of the external oblique muscle increased.
Bridging exercise a method to retrain large muscles and local muscles to coordinate in appropriate ratios. Because it can be easily applied, it is frequently used as a trunk stabilizing exercise program in clinics. During bridging exercise, many tools are used in order to apply unstable bearing surfaces. However, few studies have directly compared sling and ball. Moreover, studies that checked trunk muscle activity when both-arm lifting was added during bridging exercise are insufficient.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activities of trunk muscles that appeared during bridging exercise on fixed bearing surfaces, sling, and ball. The study also compared the activities of trunk muscles that appeared during bridge exercise combined with both-arm lifting on fixed bearing surfaces, sling, and ball. The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esent data for effective and desirable bridging exercise methods suitable for individual patients with low back pain. In the study, 20 healthy men performed bridging exercise and bridging exercise combined with both-arm lifting on fixed bearing surfaces, sling, and ball. While the subjects were performing the bridging exercise,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collect the values of muscle activity of the rectus abdominis muscle, the external oblique muscle, the internal oblique muscle, and the erector spinae muscl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muscle activity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nd the erector spinae muscle during bridging exercise on bearing surfaces, sling, or ball. During bridge exercise combined with both-arm lifting on bearing surfaces, sling, or ball, significant increases in muscle activity were shown in the erector spinae muscle. Comparison between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 and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 combined with both-arm lifting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only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when the exercises were performed on balls. The results showed that during bridge exercise, trunk muscle activity increased on slings more than on fixed bearing surfaces and more on balls than on sling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bridge exercise combined with both-arm lifting did not greatly affect trunk muscle activity, but if the exercise was performed on balls, the activity of the external oblique muscle increas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