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지면 변화에 따른 교각운동이 복횡근 두께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ransverse Abdominis Ratio and Balance Ability during Bridge Exercises on Different Support Surface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3 no.1, 2017년, pp.23 - 30  

안준일 (광주한방병원 물리치료실) ,  김윤환 (광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박종항 (광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안미래 (광양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정연우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김태원 (아트코어 운동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nsverse abdominis ratio and balance ability during bridge exercises on different support surface. Methods: The subjects were 20 students at G University. Ultrasound equipment was used to measure the transverse abdominisratio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몸통과 관련하여 대근육의 활성도에 관한 연구들은 있지만, 소근육에 대해 형태학적으로 접근한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교각운동이 복횡근의 두께와 균형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체간 안정화를 위한 교각운동 시 좀 더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불안정한 지지면을 이용한 교각운동 시 복횡근의 두께와 균형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교각운동 시 좀 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G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20명을 대상으로 지지면 변화에 따른 교각운동이 복횡근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지면 변화에 따른 교각운동이 복횡근의 근 두께와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척추 질환을 유발하는 생활 습관은? 대학생들의 척추 질환을 유발하는 생활습관은 장시간의 부적절한 자세로 컴퓨터 사용, 학업에 따른 정신적 스트레스, 체격을 무시한 책걸상의 높이, 무거운 책가방, 잘못된 운동습관 등이 있다(Kwon, 2011). 이러한 나쁜 자세와 습관은 자세 정렬의 불균형을 더욱 증가시켜 근육 형태와 골격 구조 변화에 따른 신체의 불균형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Kuo, 2009).
안정화운동을 통해 소근육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초음파를 사용하는 이유는? 안정화운동을 통해 소근육의 변화를 보기 위해 초음파를 사용한다. 이러한 초음파 영상은 골격근을 관찰함에 있어 적용 절차가 간편하고 비침습적이며 안전한 방법이며, 근 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권해지고 있다(McMeeken 등, 2004). 초음파 측정은 근전도검사와 달리 심부근의 위치와 형태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측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다 객관성 있고 신뢰성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라 할 수 있다(Maurits 등, 2004).
교각 운동 어떠한 이로움이 있는가? Lehman 등(2005)은 저강도 체간 근육 활동을 필요로 하는 재활 운동에서는 체간 안정화운동이 중요하다고 보고하였고, 교각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교각 운동은 요추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고, 안정화 근육들의 협응작용과 상호 보완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인체의 중심부 근육(core muscle)에 가해지는 반복적인 손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시행되는 운동이다(Stevens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공관우. 정상성인에서 진동을 이용한 교각운동과 ADIM 방법이 배가로근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2. 공용수. 교각운동 방법 차이에 의한 만성요통환자의 체간근 활성도, 근 두께 및 고유수용성감각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 권애정, 김선엽. 진동을 동반한 옆교각 운동이 요통 성인의 통증, 기능장애, 근력,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6;11(4):127-137. 

  4. 김수민, 송주민. 체간 안정화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0;5(3):413-420. 

  5. 김은옥, 김택훈, 노정석, 등. 교각운동 시 복부 드로잉-인 방법이 요부 전만과 체간 및 하지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9;16(1):1-9. 

  6. 조성학, 김진희, 최문희. 단기간의 요부 안정화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근력과 자세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3;8(3):295-302. 

  7. 최경은. 코어 안정화 운동이 무용전공생의 균형과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8. 최병찬. 요부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이 씨름선수의 요부 근력 및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9. Akuthota V, Nadler SF.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ehabil. 2004;3(1):86-92. 

  10. Behm DG, Anderson K, Curnew RS. Muscle force and activation under stable and unstable conditions. J Strength Cond Res. 2002;16(3):416-422. 

  11. Brauer SG, Woollacott M, Shumway-Cook A. The interacting effects of cognitive demand and recovery of postural stability in balance-impaired elderly person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01;56(8):M489-M496. 

  12. Granata KP, Lee PE, Franklin TC. Co-contraction recruitment and spinal load during isometric trunk flexion and extension. Clin Biomech. 2005;20(10):1029-1037. 

  13. Haynes W. Core stability and the unstable platform device. J Bodyw Mov Ther. 2004;8(2):88-103. 

  14. Hodges PW, Gandervia SC. Activation of the human diaphragm during a repetitive postural task. J Physio. 2000;555:165-175. 

  15. Ha Y, Lee GC, Bae WS, et al. The effects of abdominal muscle drawing in exercise during bridge exercise on abdominal muscle thickness using for real time ultrasound imaging. J Kor Phys Med. 2013;8(2):231-238. 

  16. Haynes W. Core stability and the unstable platform device.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2004;8(2):88-103. 

  17. Hides J, Wilson S, Stanton W, et al. An MRI Investigation Into the Function of the Transversus Abdominis Muscle During Drawing-In of the Abdominal Wall. Spine. 2006;31(6):175-178. 

  18. Kendall FP, McCreary EK, Provance PG.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With Posture And Pain. 5th ed. Baltimore: Williams & Wilkin. 2005. 

  19. Kisner C, Colby LA. Therapeutic Exercise: Foundations And Techniques. FA Davis. 2012. 

  20. Kuo YL, Tully EA, Galea MP. Video analysis of sagittal spinal posture in healthy young and older adults. J Manipulative Physiol Ther. 2009;32(3):210-215. 

  21. Kwon SS. Effects of spinal stabilization exercise and posture education program on vertebra figures and inflammation markers and fitness factor in gymnasts.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1. 

  22. Lee SC, Kim TH, Cynn HS, et al. The influence of instability of supporting surface on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ies during bridging exercise combined with core-stabilization exercise. Phi There Korea. 2010;17(1):17-25. 

  23. Lehman GJ, Hpda W, Oliver S.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bridging exercise on off a swiss ball. Chioropr Osteopath. 2005;13:14-21. 

  24. Manek, NJ, Macgeregor AJ. Epidemiology of back disorder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prognosis. Cur Opin Rheumatol. 2005;17:134-140. 

  25. Marshall PWM, Murphy BA. Evaluation of functional of neuromuscular changes after exercise rehabilization for low back pain using a swiss ball: A pilot study. J Manipulative Physoil Ther. 2006;29:550-560. 

  26. Maurits NM, Beenakker EAC, Schaik DEC, et al. Muscle ultra sound in children: Normal values and application to neuromuscular disorders. Ultrasound in Med & Biol. 2004;30(8):1017-1027. 

  27. McGill SM, Grenier S, Kavcic N, et al. Coordination of muscle activity to assure stability of the lumbar spine. J Electromyogr Kinesiol. 2003;13(4):353-359. 

  28. McMeeken JM, Beith ID, Newham DJ,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EMG and change thickness of trasversus abdominis. Clin Biomech. 2004;19(4): 337-342. 

  29. O'sullivan PB, Phyty GD, Twomey LT, et al. Evaluation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low back pain with radiologic diagnosis of spondylolysis or spondylolisthesis. Spine. 1997;22(24):2959-2967. 

  30. Richardson C, Jull G, Hodges P, et al. Therapeutic Exercises for Spinal Segmental Stabilization in Low Back Pain: Scientific basis and clinical approach.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1999. 

  31. Schellenberg KL, Lang JM, Chan KM, et al. A clinical tool for office assessment of lumbar spine stabilization endurance: Prone and supine bridge maneuvers. Am j of phys med & reh. 2007;86(5):380-386. 

  32. Schulte TL, Hierholzer E, Boerke A, et al. Raster stereography versus radiography in the long term follow up of idiopathic scoliosis. J Spine Discord Tech. 2008;21(1):23-28. 

  33. Stevens VK, Bouche KG, Mahiru NN, et al.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subjects during bridging stabilization exercise. BMC Musculoskelet Discord. 2006;7(75):1-8. 

  34. Tung FL, Yang YR, Lee CC, et al. Balance outcomes after additional sit-to-stand training in subjects with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2010;24(6):533-542. 

  35. Verheyden G, Vereeck L, Truijen S, et al. Trunk performance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gait and functional ability. Clic Reh. 2006;20(5):451-458. 

  36. Whittaker JL. Ultrasound imaging of the lateral abdominal wall muscle in individuals with lumbopelvic pain and sign of concurrent hypocapnia. Man there. 2008;13:404-4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