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을 2007 개정과 2009 개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차이점을 살펴보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각 분야별 전문교과 현황을 분석하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내용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바람직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고, ...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을 2007 개정과 2009 개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차이점을 살펴보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각 분야별 전문교과 현황을 분석하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내용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바람직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분야별 현황과 세부 교과목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현황을 지역별, 형태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23개 미용관련 고등학교이고, 자료는 지역별, 형태별 현황과 분야별 현황을 빈도(N)와 백분율(%)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은‘목표’,‘교수·학습 방법’,‘평가’의 영역에서는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 거의 비슷하나,‘내용’의 영역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좀 더 구체화, 세분화, 명료화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분야별 현황은 23개교 중 7개교를 제외한 16개교는‘헤어 미용’,‘피부 미용’,‘메이크업’,‘공중보건’의 4분야를 모두 운영하고 있다. 분야별 분포도를 살펴보면 제일 많이 개설되어있는 분야는‘헤어 미용’이고, 그 다음으로‘피부 미용’,‘메이크업’,‘공중보건’순으로 개설되어 있어‘헤어 미용’분야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세부 교과목의 경우, 이론과 실습으로 나누어 수업을 병행하였고,‘헤어 미용’과‘피부 미용’의 경우 주로 국가 자격증과 연관된 교과목으로 편성하여 자격증 위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을 2007 개정과 2009 개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차이점을 살펴보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각 분야별 전문교과 현황을 분석하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 내용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바람직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분야별 현황과 세부 교과목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미용관련 고등학교의 현황을 지역별, 형태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23개 미용관련 고등학교이고, 자료는 지역별, 형태별 현황과 분야별 현황을 빈도(N)와 백분율(%)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은‘목표’,‘교수·학습 방법’,‘평가’의 영역에서는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 거의 비슷하나,‘내용’의 영역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보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좀 더 구체화, 세분화, 명료화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분야별 현황은 23개교 중 7개교를 제외한 16개교는‘헤어 미용’,‘피부 미용’,‘메이크업’,‘공중보건’의 4분야를 모두 운영하고 있다. 분야별 분포도를 살펴보면 제일 많이 개설되어있는 분야는‘헤어 미용’이고, 그 다음으로‘피부 미용’,‘메이크업’,‘공중보건’순으로 개설되어 있어‘헤어 미용’분야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세부 교과목의 경우, 이론과 실습으로 나누어 수업을 병행하였고,‘헤어 미용’과‘피부 미용’의 경우 주로 국가 자격증과 연관된 교과목으로 편성하여 자격증 위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의 교육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seventh curriculum and its contents amended in 2007 and 2009, examines their differences, and compares and evaluates the inclusion of beauty culture in high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urthermore, the research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velo...
This research analyzed the seventh curriculum and its contents amended in 2007 and 2009, examines their differences, and compares and evaluates the inclusion of beauty culture in high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urthermore, the research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beauty culture in high school curriculum by observing the actual state of specialized, beauty culture-related high school subjects, and evaluates their relationship to the beauty culture curriculum content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o accomplish this, a categorical analysis of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s is employed, distilling both curriculums into their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using those as points of comparison. In addition, actual implementations of beauty culture curriculum in high schools are similarly divided and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23 high schools teaching beauty culture. Actual data on the condition of these school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region and type. There are thre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how few differences in their goals, use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However, with respect to content,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s found to be more concretized, detailed, and clearer tha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econd, as for current implementations of the curriculum, 16 out of the 23 schools examined offer courses on hair beauty, skin beauty, make-up, and public health. As for their distribution, courses on hair beauty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ly offered, followed by skin beauty, make-up, and public health, in that order. Third, hair beauty and skin beauty courses are examined by their focus on theory versus practice. Significantly, hair beauty and skin beauty course offerings are currently composed of subjects highly focused on practical preparation for national qualification certificates. As a result, courses differ with the contents of the theory-based curriculum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to ensure compliance, detailed changes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are recommended.
This research analyzed the seventh curriculum and its contents amended in 2007 and 2009, examines their differences, and compares and evaluates the inclusion of beauty culture in high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urthermore, the research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beauty culture in high school curriculum by observing the actual state of specialized, beauty culture-related high school subjects, and evaluates their relationship to the beauty culture curriculum content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o accomplish this, a categorical analysis of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s is employed, distilling both curriculums into their characteristics, goals, content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using those as points of comparison. In addition, actual implementations of beauty culture curriculum in high schools are similarly divided and examined.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23 high schools teaching beauty culture. Actual data on the condition of these schools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region and type. There are thre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the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show few differences in their goals, use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However, with respect to content,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s found to be more concretized, detailed, and clearer tha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Second, as for current implementations of the curriculum, 16 out of the 23 schools examined offer courses on hair beauty, skin beauty, make-up, and public health. As for their distribution, courses on hair beauty were found to be the most commonly offered, followed by skin beauty, make-up, and public health, in that order. Third, hair beauty and skin beauty courses are examined by their focus on theory versus practice. Significantly, hair beauty and skin beauty course offerings are currently composed of subjects highly focused on practical preparation for national qualification certificates. As a result, courses differ with the contents of the theory-based curriculum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to ensure compliance, detailed changes to curriculum implementation are recommended.
Keyword
#2009 개정 교육과정 미용관련 고등학교 전문교과 미용교육 고등학교 교육과정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