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에서의 이용동기, 능동성, 이용행태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은 한국과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이 될 중국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행태에 관한 서베이를 실시하여 수집된 총 64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양국 이용자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동기로는 사회심리적, 정보적, 기능적, 오락적, 이용 편의성 동기 등 5개의 이용동기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용동기 유형에 따라 이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이용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특히 이용동기 별로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이용자의 능동성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이용행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또 하나의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로서 능동성의 하위 개념들인, 이용자들이 앱을 이용하는 과정 중 노출 전의 선택 활동, 노출 중의 관여 활동, 이용 행위, 노출 후의 평가 등에 따라 이용행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에서의 이용동기, 능동성, 이용행태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은 한국과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이 될 중국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행태에 관한 서베이를 실시하여 수집된 총 64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양국 이용자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동기로는 사회심리적, 정보적, 기능적, 오락적, 이용 편의성 동기 등 5개의 이용동기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용동기 유형에 따라 이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이용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특히 이용동기 별로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이용자의 능동성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이용행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또 하나의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로서 능동성의 하위 개념들인, 이용자들이 앱을 이용하는 과정 중 노출 전의 선택 활동, 노출 중의 관여 활동, 이용 행위, 노출 후의 평가 등에 따라 이용행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동기와 능동성이 애플리케이션 이용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습득 동기, 기능적 편의성, 이용의 편의성 동기 등 실용적이고 도구적인 이용동기는 이용자들이 앱을 이용하게 된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고, 앱 이용의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능동성의 하위 요인 중에서 관여 활동, 활용 행위 등은 선택 활동과 평가 활동에 비해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용자가 앱을 이용함에 있어 노출 전과 노출 후보다 노출 중의 행위가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중국의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을 비교하면 우선 양국 이용자에서 도출된 이용동기 요인, 만족도 요인 및 능동성 요인에서 공통된 부분도 있고 차이점도 나타났다. 이용행태를 보면 한국 이용자가 중국 이용자보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이 많았으며, 하루 평균 앱을 이용하는 시간도 훨씬 긴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이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유료 앱이 한국 이용자보다 많았다. 그리고 메신저와 SNS 등의 기본적 앱은 양국 이용자가 모두 가장 많이 이용했지만, 교통정보, 정보검색 같은 도구적인 앱은 한국 이용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중국 이용자는 게임, 오락, 전자책을 많이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양국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애플리케이션 이용과 충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론적, 실무적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이용자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연구에서 이용과 충족 이론을 통해 이용자의 능동성을 주목하여 연구하는 것은 적절하고 필요하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나 한국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고 할 때, 혹은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에서 새로운 모바일 환경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에서의 이용동기, 능동성, 이용행태 및 만족도를 파악하고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은 한국과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이 될 중국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행태에 관한 서베이를 실시하여 수집된 총 64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선 양국 이용자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동기로는 사회심리적, 정보적, 기능적, 오락적, 이용 편의성 동기 등 5개의 이용동기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용동기 유형에 따라 이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이용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한 결과, 특히 이용동기 별로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이용자의 능동성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이용행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또 하나의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로서 능동성의 하위 개념들인, 이용자들이 앱을 이용하는 과정 중 노출 전의 선택 활동, 노출 중의 관여 활동, 이용 행위, 노출 후의 평가 등에 따라 이용행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의 애플리케이션 이용동기와 능동성이 애플리케이션 이용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습득 동기, 기능적 편의성, 이용의 편의성 동기 등 실용적이고 도구적인 이용동기는 이용자들이 앱을 이용하게 된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고, 앱 이용의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능동성의 하위 요인 중에서 관여 활동, 활용 행위 등은 선택 활동과 평가 활동에 비해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용자가 앱을 이용함에 있어 노출 전과 노출 후보다 노출 중의 행위가 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중국의 이용자들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이용을 비교하면 우선 양국 이용자에서 도출된 이용동기 요인, 만족도 요인 및 능동성 요인에서 공통된 부분도 있고 차이점도 나타났다. 이용행태를 보면 한국 이용자가 중국 이용자보다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이 많았으며, 하루 평균 앱을 이용하는 시간도 훨씬 긴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이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유료 앱이 한국 이용자보다 많았다. 그리고 메신저와 SNS 등의 기본적 앱은 양국 이용자가 모두 가장 많이 이용했지만, 교통정보, 정보검색 같은 도구적인 앱은 한국 이용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중국 이용자는 게임, 오락, 전자책을 많이 선호하였다.
본 연구는 양국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애플리케이션 이용과 충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론적, 실무적 함의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이용자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연구에서 이용과 충족 이론을 통해 이용자의 능동성을 주목하여 연구하는 것은 적절하고 필요하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이나 한국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려고 할 때, 혹은 미디어 생태학적 시각에서 새로운 모바일 환경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motivation, activeness,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smart phone application users in South Korea and China through the theory of Use and Gratification ,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evant variables. In addition, it seeks to explore th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motivation, activeness,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smart phone application users in South Korea and China through the theory of Use and Gratification ,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evant variables. In addition, it seek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 which has the higher rate of smart phone, and China, which would be the largest smart phone market in the world. A survey on the usage of smart phone applications was done on th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647 responses were b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In result, firstly, the motivations of smart phone applications were classified into 5 factors, which were named as socio-psych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functional, entertainment, and convenient of use motivation. And it was verifi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usage depending on the types of users' motivation.
Secondly, the users' activeness was proved to be another important variable that has an effect on the usage of applications. Specifically, among the sub-concepts of activeness, the selection, the involvement and the evaluation while using the app were the factors that made the usage of applications different. In addition, by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e users' motivation and usage of applications had great effects on satisfaction. Further, the information acquisition, functional convenience and convenient of use motivation were major factors to lead people to use app as practical and instrumental motivations. Among sub-variables of activeness, involvement had more influence on users' satisfaction than selection and evaluation. In another words, users' satisfactions are affected more while they were exposed to apps than before or after exposed to it.
Finally, in the comparison of the usage of the smart phone applications in Korea and China, some were found similar, while others were different. Generally the basic apps such as SMS and SNS were frequently used by the users of both country. However, Korea users installed more apps in smart phone and spent more time on apps than Chinese users, but Chinese users downloaded more paid apps than Korea users. Korea users spent much more time on instrumental apps such as the traffic information app, information searching app, and Chinese users prefer apps for games, entertainment and e-book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age of applications and the gratification among smart phone users in two countries. It provided some implications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senses. It is appropriate and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users activeness based on the U&G when studying smart media.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when developing applications or exporting Korean applications to China, or for analysis the mobile environment with media ecological view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motivation, activeness,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smart phone application users in South Korea and China through the theory of Use and Gratification ,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evant variables. In addition, it seek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 which has the higher rate of smart phone, and China, which would be the largest smart phone market in the world. A survey on the usage of smart phone applications was done on th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China. 647 responses were b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In result, firstly, the motivations of smart phone applications were classified into 5 factors, which were named as socio-psychological, information acquisition, functional, entertainment, and convenient of use motivation. And it was verifi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usage depending on the types of users' motivation.
Secondly, the users' activeness was proved to be another important variable that has an effect on the usage of applications. Specifically, among the sub-concepts of activeness, the selection, the involvement and the evaluation while using the app were the factors that made the usage of applications different. In addition, by th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e users' motivation and usage of applications had great effects on satisfaction. Further, the information acquisition, functional convenience and convenient of use motivation were major factors to lead people to use app as practical and instrumental motivations. Among sub-variables of activeness, involvement had more influence on users' satisfaction than selection and evaluation. In another words, users' satisfactions are affected more while they were exposed to apps than before or after exposed to it.
Finally, in the comparison of the usage of the smart phone applications in Korea and China, some were found similar, while others were different. Generally the basic apps such as SMS and SNS were frequently used by the users of both country. However, Korea users installed more apps in smart phone and spent more time on apps than Chinese users, but Chinese users downloaded more paid apps than Korea users. Korea users spent much more time on instrumental apps such as the traffic information app, information searching app, and Chinese users prefer apps for games, entertainment and e-book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sage of applications and the gratification among smart phone users in two countries. It provided some implications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senses. It is appropriate and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users activeness based on the U&G when studying smart media.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when developing applications or exporting Korean applications to China, or for analysis the mobile environment with media ecological view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