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울산 광역시 울주군 주변해역 암반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1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21개의 정점에서 Scuba diving을 이용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122종과 평균 776.38 inds./m2, 919.67 gWWt/m2이었다. 출현종수는 최소 57종(동계)에서 최대 81종(하계)의 범위를 보였다. 개체수는 2,996개체(동계)~5,580개체(하계)의 범위였다. 생체량은 춘계에 12,295.20 gWWt로 가장 낮았으며, 동계에 23,311.16 gWWt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
본 연구는 울산 광역시 울주군 주변해역 암반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1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21개의 정점에서 Scuba diving을 이용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122종과 평균 776.38 inds./m2, 919.67 gWWt/m2이었다. 출현종수는 최소 57종(동계)에서 최대 81종(하계)의 범위를 보였다. 개체수는 2,996개체(동계)~5,580개체(하계)의 범위였다. 생체량은 춘계에 12,295.20 gWWt로 가장 낮았으며, 동계에 23,311.16 gWWt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그룹 A는 정점 1~3, 6과 7이었으며, 그룹 B는 정점 4와 5였다. 그룹A의 우점종은 산팥알고둥(Homalopoma sangarense), 다모류(Polychaeta), 방석고둥(Calliostoma unicum)이었으며, 그룹 B의 우점종은 다모류(Polychaeta),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 팽이고둥(Omphalius pfeifferi carpenteri)이었다. 군집 분석의 결과, 환경요인의 영향은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생물학적 지수와 집괴분석은 각 정점별로 다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울산 광역시 울주군 주변해역 암반 조하대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출현 종수, 개체수, 생체량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1년 1월부터 11월까지 계절별로 21개의 정점에서 Scuba diving을 이용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122종과 평균 776.38 inds./m2, 919.67 gWWt/m2이었다. 출현종수는 최소 57종(동계)에서 최대 81종(하계)의 범위를 보였다. 개체수는 2,996개체(동계)~5,580개체(하계)의 범위였다. 생체량은 춘계에 12,295.20 gWWt로 가장 낮았으며, 동계에 23,311.16 gWWt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개체수 자료를 기초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크게 2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었다. 그룹 A는 정점 1~3, 6과 7이었으며, 그룹 B는 정점 4와 5였다. 그룹A의 우점종은 산팥알고둥(Homalopoma sangarense), 다모류(Polychaeta), 방석고둥(Calliostoma unicum)이었으며, 그룹 B의 우점종은 다모류(Polychaeta),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 팽이고둥(Omphalius pfeifferi carpenteri)이었다. 군집 분석의 결과, 환경요인의 영향은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생물학적 지수와 집괴분석은 각 정점별로 다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특별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zoobenthos around Ulju, Eastern coast of Korea. The collection of
macrozoobenthos were performed using a Scuba diving at 21 stations
from January to November 2011.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122 species, mean density wa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zoobenthos around Ulju, Eastern coast of Korea. The collection of
macrozoobenthos were performed using a Scuba diving at 21 stations
from January to November 2011.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122 species, mean density was 776.38 inds./m2 and mean biomass was
919.67 gWWt/m2. The number of macrozoobenthos species was in the
range from 57 in winter to 81 in summer. The abundance of
macrozoobenthos was in the range from 2,996 unit in winter to 5,580 unit
in summer. Also, biomass fluctuated between 12,295.20 gWWt(in spring)
and 23,311.16 gWWt(in winter). Cluster analysis were applied to assess
the spatio-temporal variability in the macrozoobenthos assemblages.
Cluster analysis using individual numbers revealed that macrozoobenthos
community was apparently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The dominant
species of group A (stations 1~3, 6 and 7) included Homalopoma
sangarense, Polychaeta, Calliostoma unicum. The dominant species of
Group B(stations 4 and 5) included Polychaeta, Hemicentrotus pulcherrimus,
Omphalius pfeifferi carpenteri.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were not found distinctly. Several
ecological indices and cluster analysis did not show the meaningful
variation with dominant species despite of the conspicuous differences
among sites environ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zoobenthos around Ulju, Eastern coast of Korea. The collection of
macrozoobenthos were performed using a Scuba diving at 21 stations
from January to November 2011.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122 species, mean density was 776.38 inds./m2 and mean biomass was
919.67 gWWt/m2. The number of macrozoobenthos species was in the
range from 57 in winter to 81 in summer. The abundance of
macrozoobenthos was in the range from 2,996 unit in winter to 5,580 unit
in summer. Also, biomass fluctuated between 12,295.20 gWWt(in spring)
and 23,311.16 gWWt(in winter). Cluster analysis were applied to assess
the spatio-temporal variability in the macrozoobenthos assemblages.
Cluster analysis using individual numbers revealed that macrozoobenthos
community was apparently distinguished into two groups. The dominant
species of group A (stations 1~3, 6 and 7) included Homalopoma
sangarense, Polychaeta, Calliostoma unicum. The dominant species of
Group B(stations 4 and 5) included Polychaeta, Hemicentrotus pulcherrimus,
Omphalius pfeifferi carpenteri. As a result of community analysi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factors were not found distinctly. Several
ecological indices and cluster analysis did not show the meaningful
variation with dominant species despite of the conspicuous differences
among sites environmen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