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유형을 파악하여 비교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한국과 일본의 400병상 이상의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경험이 1년 이상의 간호사 총 3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4월 1일부터 4월 13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윤리적 딜레마, 대처유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²-test, ANOVA,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유형을 파악하여 비교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한국과 일본의 400병상 이상의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경험이 1년 이상의 간호사 총 3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4월 1일부터 4월 13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윤리적 딜레마, 대처유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²-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윤리적 딜레마 평균평점은 한국 간호사 0.48점, 일본 간호사 0.31점이었다. 하위영역별로는 한국 간호사는 전문직 업무 영역, 대상자 영역, 협동자 영역, 인간생명 영역의 순이었다. 일본 간호사는 대상자 영역, 인간생명 영역, 전문직 업무 영역, 협동자 영역의 순이었다.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대처유형의 평균평점은 한국 간호사가 1.24점, 일본 간호사가 1.11점이었으며, 양국 간호사들은 모두 적극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 정도는 한국 간호사는 학력, 재학 중 및 졸업 후 윤리교육의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일본 간호사는 연령, 결혼상태, 임상경험, 현재지위,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처유형은 한국 간호사는 윤리강령의 이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일본 간호사는 재학 중 윤리교육의 유무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과 일본의 간호사들이 적극적인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유사하지만 많이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영역은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그 대책도 각 나라에 맞게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전문직 업무영역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하여 충분한 인력배치, 간호업무의 개선에 주력해야 하며, 일본은 대상자 영역의 윤리적 딜레마를 위하여 환자의 담당의사와 간호사, 타 부서 의료인들이 함께 환자에 대한 치료방침이나 환자의 요구를 공유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간호사가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와 대처유형을 파악하여 비교 조사하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한국과 일본의 400병상 이상의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경험이 1년 이상의 간호사 총 38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4월 1일부터 4월 13일까지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윤리적 딜레마, 대처유형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²-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윤리적 딜레마 평균평점은 한국 간호사 0.48점, 일본 간호사 0.31점이었다. 하위영역별로는 한국 간호사는 전문직 업무 영역, 대상자 영역, 협동자 영역, 인간생명 영역의 순이었다. 일본 간호사는 대상자 영역, 인간생명 영역, 전문직 업무 영역, 협동자 영역의 순이었다.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대처유형의 평균평점은 한국 간호사가 1.24점, 일본 간호사가 1.11점이었으며, 양국 간호사들은 모두 적극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딜레마 정도는 한국 간호사는 학력, 재학 중 및 졸업 후 윤리교육의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일본 간호사는 연령, 결혼상태, 임상경험, 현재지위, 종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처유형은 한국 간호사는 윤리강령의 이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일본 간호사는 재학 중 윤리교육의 유무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한국과 일본의 간호사들이 적극적인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유사하지만 많이 경험하는 윤리적 딜레마 영역은 다르게 나타났으므로 그 대책도 각 나라에 맞게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한국은 전문직 업무영역의 윤리적 딜레마에 대하여 충분한 인력배치, 간호업무의 개선에 주력해야 하며, 일본은 대상자 영역의 윤리적 딜레마를 위하여 환자의 담당의사와 간호사, 타 부서 의료인들이 함께 환자에 대한 치료방침이나 환자의 요구를 공유할 수 있는 체제를 마련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compare ethical dilemma and coping of the clinical experi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nurses. The subjects were 381 nurses from both countries, who have more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s in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and the per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compare ethical dilemma and coping of the clinical experi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nurses. The subjects were 381 nurses from both countries, who have more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s in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and the period of the examination were from April 1st, 2012 to April 13th, 2012. Two types of survey sheet were prepared for the examination, one based on the ethical dilemma, the other based on the coping. The collected data had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χ²-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 The average points in ethical dilemma were 0.48 in Korean nurses, 0.31 in Japanese nurses. Focus into the subcategories, Korea´s results were as follow : professional job field, patient field, coagent field, human life field, whereas patient field, human life field, professional job field, coagent field in Japan. The average points in coping of ethical dilemma were 1.24 in Korean nurses, and 1.11 in Japanese nurses; and active coping type hit high score in both countries. In regard to general factors, Korean n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level, whether they had taken the ethical courses during the college or not and after completed a course or not about ethical dilemma(p<0.05). And in case of coping, significant difference was understanding of ethical code(p<0.05). On the other hand, Japanese n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ried, clinical career, present position, religion about ethical dilemma, whether they had taken the ethical courses at the college or not (p<0.05) in case of coping . To sum up the results above, active coping was often used in the both countries, however, the field of the most common ethical dilemma experience was different, thus, the different solution for each countries is necessary. Korea should focus on disposing more nurses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the service to deal with ethical dilemma in the field of professional job. Japan should focus on encouraging coworkers including doctors, nurses, and staff across divisions in the hospitals to communicate and to exchange the information of the clinical principles and the need of the patients each 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compare ethical dilemma and coping of the clinical experi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nurses. The subjects were 381 nurses from both countries, who have more than 1 year of clinical experiences in hospitals with more than 400 beds, and the period of the examination were from April 1st, 2012 to April 13th, 2012. Two types of survey sheet were prepared for the examination, one based on the ethical dilemma, the other based on the coping. The collected data had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χ²-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 The average points in ethical dilemma were 0.48 in Korean nurses, 0.31 in Japanese nurses. Focus into the subcategories, Korea´s results were as follow : professional job field, patient field, coagent field, human life field, whereas patient field, human life field, professional job field, coagent field in Japan. The average points in coping of ethical dilemma were 1.24 in Korean nurses, and 1.11 in Japanese nurses; and active coping type hit high score in both countries. In regard to general factors, Korean n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ducation level, whether they had taken the ethical courses during the college or not and after completed a course or not about ethical dilemma(p<0.05). And in case of coping, significant difference was understanding of ethical code(p<0.05). On the other hand, Japanese n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ried, clinical career, present position, religion about ethical dilemma, whether they had taken the ethical courses at the college or not (p<0.05) in case of coping . To sum up the results above, active coping was often used in the both countries, however, the field of the most common ethical dilemma experience was different, thus, the different solution for each countries is necessary. Korea should focus on disposing more nurses and enhancement of the quality of the service to deal with ethical dilemma in the field of professional job. Japan should focus on encouraging coworkers including doctors, nurses, and staff across divisions in the hospitals to communicate and to exchange the information of the clinical principles and the need of the patients each oth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