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교육 대상자 중심에 있는 청소년들의 현실성 있는 교육 정책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해마다 늘고 있고, 그 형태도 단기거주에서 장기 거주 내지는 국적 취득을 목적으로 입국하는 외국인이 늘어가고 있어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거주 외국인의 목적에 따른 ...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교육 대상자 중심에 있는 청소년들의 현실성 있는 교육 정책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해마다 늘고 있고, 그 형태도 단기거주에서 장기 거주 내지는 국적 취득을 목적으로 입국하는 외국인이 늘어가고 있어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거주 외국인의 목적에 따른 교육 지원도 필요하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이들을 둘러싼 내국인의 자세이다. 거주 외국인이나 다문화 가족에 대한 인식은 편견과 오해를 가지고 있는 부분이 많다. 이것은 옳고 그름이 아니라 차이일 뿐임에도 이들에 대한 담론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다문화 사회의 중심을 살아갈 청소년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 바로 잡혀지지 않는다면, 국내 다문화 사회로의 안정적인 발전의 모습은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한국보다 앞서 다문화 사회를 살고 있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문화 사회의 형성과정을 통한 다문화 사회 정책 및 다문화 교육정책을 국내와 비교 조사 하였다. 역사와 환경을 고려한 다문화 정책과 교육정책이 뒷받침되어 정부 혹은 자치단체의 교육이 일원화된 싱가폴이나, 캐나다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다문화 사회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정책과 교육이 꾸준히 진행되어진다면 국내 다문화 사회도 안정적인 모습을 갖추어 나갈것으로 보인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다문화 교육이 비교적 정기적으로 진행되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이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했는데, 청소년기에 갖추어야할 다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자세들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었다. 다문화 교육의 효과는 짧은 기간 집중적으로 실시하여 얻어지는 결과물이 아니라 긴 시간을 가지고 환경에 맞는 교육을 실시할 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다 같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다문화 교육은 필수적이고, 정기적으로, 긴 시간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져야 한다. 여기에 주변 환경 및 교육 대상의 연령을 고려한 교육 정책이 단계적으로 실시된다면 안정적인 다문화 사회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사회의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은 피할 수 없는 일이 되었고, 이를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우리들의 자세와 앞으로 다문화 사회의 중심축이 될 현재 청소년들이 다문화 한국 사회를 안정적이며 발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바른 방향과 자세를 잡아주는 것이 교육이 해야 할 역할이라 보여지고,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인 장치들이 충분히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 교육 대상자 중심에 있는 청소년들의 현실성 있는 교육 정책의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해마다 늘고 있고, 그 형태도 단기거주에서 장기 거주 내지는 국적 취득을 목적으로 입국하는 외국인이 늘어가고 있어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며, 거주 외국인의 목적에 따른 교육 지원도 필요하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이들을 둘러싼 내국인의 자세이다. 거주 외국인이나 다문화 가족에 대한 인식은 편견과 오해를 가지고 있는 부분이 많다. 이것은 옳고 그름이 아니라 차이일 뿐임에도 이들에 대한 담론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다문화 사회의 중심을 살아갈 청소년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이 바로 잡혀지지 않는다면, 국내 다문화 사회로의 안정적인 발전의 모습은 기대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한국보다 앞서 다문화 사회를 살고 있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문화 사회의 형성과정을 통한 다문화 사회 정책 및 다문화 교육정책을 국내와 비교 조사 하였다. 역사와 환경을 고려한 다문화 정책과 교육정책이 뒷받침되어 정부 혹은 자치단체의 교육이 일원화된 싱가폴이나, 캐나다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다문화 사회 구조를 이루고 있어 정책과 교육이 꾸준히 진행되어진다면 국내 다문화 사회도 안정적인 모습을 갖추어 나갈것으로 보인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다문화 교육이 비교적 정기적으로 진행되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문화 교육이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했는데, 청소년기에 갖추어야할 다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자세들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치고 있었다. 다문화 교육의 효과는 짧은 기간 집중적으로 실시하여 얻어지는 결과물이 아니라 긴 시간을 가지고 환경에 맞는 교육을 실시할 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다 같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위해 다문화 교육은 필수적이고, 정기적으로, 긴 시간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져야 한다. 여기에 주변 환경 및 교육 대상의 연령을 고려한 교육 정책이 단계적으로 실시된다면 안정적인 다문화 사회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사회의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은 피할 수 없는 일이 되었고, 이를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우리들의 자세와 앞으로 다문화 사회의 중심축이 될 현재 청소년들이 다문화 한국 사회를 안정적이며 발전적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바른 방향과 자세를 잡아주는 것이 교육이 해야 할 역할이라 보여지고,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인 장치들이 충분히 보완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r suggesting direction of realistic education policy for adolescents who are in the center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e rapidly accessing country to 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foreigner in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type of residence changed fro...
This study is for suggesting direction of realistic education policy for adolescents who are in the center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e rapidly accessing country to 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foreigner in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type of residence changed from short-term stay to long-term stay. And the number of foreigner who entered to Korea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Korean nationality is increasing too. Therefore, political support and educational support for these foreigners by their purpose of stay are required.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ttitude of local people who are surrounding these foreigners. Many parts of awareness regarding foreigner residents and multicultural family ar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This is not the subject of right or wrong, but the subject of difference. However, the arguments against these people are ceaseless. If the awareness of young people regarding multi-culture, who will be living in the center of multicultural society, is not properly upright, we cannot expect stabl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In this regard, I examined social and educational policy of multiculturalism of the advanced countries experiencing multicultural society ahead of Korea through its formation process, and compare to that of Korea. In Singapore or Canada, the education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unified, backed by multicultural policy and educational policy by considering history and environment, and formed relatively stable social structure of multiculturalism. It is considered that a stable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formed in Korea gradually if the policy and education are progressed consistently. In order to back up the study, I examined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with primary students, for whom multicultural education is provided periodically. I foun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gives positive impact on the basic attitude of young people regarding multiculturalism, which is encouraged to be equipped at their youth. It is considered that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acquired through concentrated short-term education, but through long-term education for specific environ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mpulsory for making a society where we can live together, and this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periodically, and maintained for a long time. On top of that, if an educational policy on which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age of the student is considered is implemented by stages, we will be able to develop a stable multicultural society. It is inevitable for Korea to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The role of education is to show the correct direction and attitude to us who will accommodate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young people, who will be the hub of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to lead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stably and progressively.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to backing up them must be fully complimented.
This study is for suggesting direction of realistic education policy for adolescents who are in the center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the rapidly accessing country to multicultural society. The number of foreigner in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type of residence changed from short-term stay to long-term stay. And the number of foreigner who entered to Korea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Korean nationality is increasing too. Therefore, political support and educational support for these foreigners by their purpose of stay are required. Howev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ttitude of local people who are surrounding these foreigners. Many parts of awareness regarding foreigner residents and multicultural family are prejudice and misunderstanding. This is not the subject of right or wrong, but the subject of difference. However, the arguments against these people are ceaseless. If the awareness of young people regarding multi-culture, who will be living in the center of multicultural society, is not properly upright, we cannot expect stabl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In this regard, I examined social and educational policy of multiculturalism of the advanced countries experiencing multicultural society ahead of Korea through its formation process, and compare to that of Korea. In Singapore or Canada, the education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is unified, backed by multicultural policy and educational policy by considering history and environment, and formed relatively stable social structure of multiculturalism. It is considered that a stable multicultural society can be formed in Korea gradually if the policy and education are progressed consistently. In order to back up the study, I examined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multicultural awareness with primary students, for whom multicultural education is provided periodically. I found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gives positive impact on the basic attitude of young people regarding multiculturalism, which is encouraged to be equipped at their youth. It is considered that the eff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not acquired through concentrated short-term education, but through long-term education for specific environ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mpulsory for making a society where we can live together, and this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periodically, and maintained for a long time. On top of that, if an educational policy on which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age of the student is considered is implemented by stages, we will be able to develop a stable multicultural society. It is inevitable for Korea to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The role of education is to show the correct direction and attitude to us who will accommodate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young people, who will be the hub of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future, to lead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stably and progressively.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to backing up them must be fully compliment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