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 분석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7, 2020년, pp.47 - 56  

한형종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김근재 (서울청담초등학교) ,  권혜성 (과천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목적을 지닌다. 최근 학교 교육 현장에서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 교사들이 이를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확인하는 연구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초등교사 69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중다회귀분석, 의미변별척도를 활용하여 초등교사들이 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교사들은 인공지능 기술이 수업 시간 내 활동을 보조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이 가장 적절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학습 내용, 학습 자료, 인공지능 기기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활용 교육은 개별학습, 참여 촉진, 흥미 유발 등의 특성을 지닌다고 인식하였다. 향후 최적화된 교육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수업 전략이나 모형 개발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Recently, interest i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increa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perception...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 연구문제는 인공지능을 교육적 활용함에 있어 초등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먼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교육을 운영함에 있어 교육 단계와 활용 방안에 대해 의견을 확인해 본 결과는 Table 3과 같다.
  • 추 후 연구에서는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설문 등을 통해 추 가적인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면담을 통해 심 층적인 내용 분석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본 연구 는 초등학교에서의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 였다. 인공지능은 향후 중·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에도 보 다 활발하게 활용될 가능성을 지니므로 각 학교급별 교 사 혹은 교수자, 학습자를 대상으로 인식을 분석하는 비 교 연구를 통해 차이를 확인하여 종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 해 초등교사가 지니는 인식이 어떠한지를 종합적인 측면 에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하지만 이상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인공지 능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교사의 인식을 종합적으 로 확인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술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초등교사가 이를 어떻게 인 식하는지를 총체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교육을 포함한 다 양한 영역에서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미래사회의 교육 현장에서 보다 활발하게 활용될 것으로 고려되는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을 종합적 으로 분석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방안과 고려사항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온라인 설문을 활용하여 초등교사의 인식에 대한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 다. 설문지는 크게 개인의 인적사항, 인공지능 기술에 대 한 인식,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 방안, 인공지능을 교육적으로 활용함에 있어 고려 요소, 기 존 교육과 인공지능 활용 교육에 대한 차이 인식으로 구 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 I. Lim. (2019). Redirecting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for future society and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5(2), 253-287. DOI : 10.17232/KSET.35.2.253 

  2. J. Y. Kim & K. H. Ro. (2019). A Study on the Data Collection and Convergence of Career Advisor System Using AI.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2), 177-185. DOI : 10.14400/JDC.2019.17.2.177 

  3. R. Luckin, W. Holmes, M. Griffiths & L. B. Forcier. (2016). Intelligence unleashed: An argument for AI in education. London: Pearson. 

  4. OECD. (2019). Trends shaping education 2019. Paris: OECD Publishing. DOI : 10.1787/trends_edu-2019-en. 

  5. D. G. Song, M. Rice & E. Y. Oh. (2019). Participation in online courses and interaction with a virtual agent.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20(1), 1-21. DOI : 10.19173/irrodl.v20i1.3998 

  6. H. K. Jho. (2017). The changes of higher education and the tasks of gene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1(2), 53-89. 

  7. J. E. Hyun & H. J. Im. (2019).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AI Speakers as English Learning Tools. The Mirae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24(1), 201-219. 

  8. N. Goksel & A. Bozkurt.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Current insights and future perspectives. In E. Guler. & B. Karatop. (eds.). Handbook of Research on Learning in the Age of Transhumanism (pp. 224-236). IGI Global. DOI : 10.4018/978-1-5225-8431-5.ch014 

  9. K. S. Noh & J. Y. Lee. (2016). Convergence study on model of job design support platform using big data and AI.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7), 167-174. DOI : 10.14400/JDC.2016.14.7.167 

  10. K. S. Kim & Y. K. Park. (2017). 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1(1), 137-147. DOI : 10.14352/jkaie.2017.21.1.137 

  11. C. B. Kwan, S. W. Ham, C. H. Kim, J. S. Seo, M. H. Park & S. H. Kang. (2018).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 for length of stay in acute stroke pati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231-242. DOI : 10.14400/JDC.2018.16.1.231 

  12. K. M. An & Y. C. Lee. (2019). An exploratory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quality, preference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A case of online job information platfor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7), 73-87. DOI : 10.14400/JDC.2019.17.7.073 

  13. S. P. Huang. (2018). Effects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ing system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ttitude.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14(7), 3277-3284. DOI : 10.29333/ejmste/91248 

  14. P. Lodhi, O. Mishra, S. Jain & V. Bajaj. (2018). StuA: An intelligent student assistant.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active Multimedi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5(2), 17-25. DOI : 10.9781/ijimai.2018.02.008 

  15. J. Hill, W. R. Ford & I. G. Farreras. (2015). Real conversation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 comparison between human-human online conversations and human-chatbot conversation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9, 245-250. DOI : 10.1016/j.chb.2015.02.026 

  16. T. Karsenti.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The urgent need to prepare teachers for tomorrow's schools. Formation et profession, 27(1), 112-116. DOI : 10.18162/fp.2019.a166 

  17. B. M. McLaren, O. Scheuer & J. Miksatko. (2010). Support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e-discussion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20(1), 1-46. DOI : 10.3233/JAI-2010-0001 

  18. E. Walker, N. Rummel, B. M. McLaren & K. R. Koedinger. (2007). The student becomes the master: Integrating peer tutoring with cognitive tutoring. In proceedings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Conference (pp. 750-752). DOI : 10.3115/1599600.1599737 

  19. S. Vajjala. (2018). Automated assessment of non-native learner essays: Investigating the role of linguistic feature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28(1), 79-105. DOI : 10.1007/s40593-017-0142-3 

  20. S. A. Popenici & S. Kerr. (2017). Exploring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in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12(1), 1-13. DOI : 10.1186/s41039-017-0062-8 

  21. Y. H. Lee. (2019). An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block-type programming language-based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on the learner's attitude in artificial intellig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3(2), 189-196. DOI : 10.14352/jkaie.2019.23.2.189 

  22. C. Edwards, A. Edwards, P. R. Spence & X. Lin. (2018). I, teach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AI) and social robots in communication and instruction. Communication Education, 67(4), 473-480. DOI : 10.1080/03634523.2018.1502459 

  23. M. Y. Ryu & S. K. Han. (2017). Image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1(5), 527-535. DOI : 10.14352/jkaie.2017.21.5.527 

  24. J. H. Park & N. M. Shin. (2017). Students' perception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4(2), 169-192. DOI : 10.24211/tjkte.2017.34.2.169 

  25. C. E. Osgood, G. J. Suci & P. H. Tannenbaum.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rbana: Unive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