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서적으로 우울하여 학교 생활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고등학생들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우울 및 학교 생활의 부적응 행동 변화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경기도 OO시에 위치한 OO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9월에 아동․청소년용 우울검사(CD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우울군에 속하는 25점 이상인 학생이 18명이었고 이들 중 학부모 동의를 받아 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는데 연구대상자들은 공통적으로 무기력하고 지나치게 순응적인 우울양상을 보이는 학생들이었다. 우울의 원인을 초기 양육 환경이 부적절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고 초기 대상 관계에서 결핍되었던 것을 재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내재된 창조성을 자극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11년 9월 22일부터 12월 14일까지 주 1~2회 90분씩 총 14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평가방법으로는 양적척도로 아동․청소년용 우울검사(CDI)를 사용하였고, 질적검사로서는 담임 및 교과담임 교사의 행동 관찰 기록지를 사용하였으며, 투사검사로 그림이야기 검사(...
본 연구는 정서적으로 우울하여 학교 생활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고등학생들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우울 및 학교 생활의 부적응 행동 변화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경기도 OO시에 위치한 OO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9월에 아동․청소년용 우울검사(CD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우울군에 속하는 25점 이상인 학생이 18명이었고 이들 중 학부모 동의를 받아 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는데 연구대상자들은 공통적으로 무기력하고 지나치게 순응적인 우울양상을 보이는 학생들이었다. 우울의 원인을 초기 양육 환경이 부적절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고 초기 대상 관계에서 결핍되었던 것을 재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내재된 창조성을 자극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11년 9월 22일부터 12월 14일까지 주 1~2회 90분씩 총 14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평가방법으로는 양적척도로 아동․청소년용 우울검사(CDI)를 사용하였고, 질적검사로서는 담임 및 교과담임 교사의 행동 관찰 기록지를 사용하였으며, 투사검사로 그림이야기 검사(DAS)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우울로 인해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의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무기력하고 순응적인 부적응 태도에 긍정적 변화를 주었다. 변화된 행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에서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 횟수가 늘었고 학급활동시간 및 수업시간에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우울로 인해 학교생활 적응에 곤란을 겪는 학생들의 우울 감소에 영향을 주었고, 무기력하고 순응적인 태도를 보이는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집단미술치료가 우울한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켜 학교 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연구과정에서 현직교사로서 교사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연구대상자들의 변화과정을 깊이있고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과 피드백을 주고 받는 과정 속에서 교내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던 학생들이 교사의 긍정적인 지지를 받았고 미술치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보아 학교 현장에 적용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정서적으로 우울하여 학교 생활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고등학생들에게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우울 및 학교 생활의 부적응 행동 변화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경기도 OO시에 위치한 OO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학년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9월에 아동․청소년용 우울검사(CD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우울군에 속하는 25점 이상인 학생이 18명이었고 이들 중 학부모 동의를 받아 5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는데 연구대상자들은 공통적으로 무기력하고 지나치게 순응적인 우울양상을 보이는 학생들이었다. 우울의 원인을 초기 양육 환경이 부적절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고 초기 대상 관계에서 결핍되었던 것을 재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내재된 창조성을 자극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진행하였다.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2011년 9월 22일부터 12월 14일까지 주 1~2회 90분씩 총 14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평가방법으로는 양적척도로 아동․청소년용 우울검사(CDI)를 사용하였고, 질적검사로서는 담임 및 교과담임 교사의 행동 관찰 기록지를 사용하였으며, 투사검사로 그림이야기 검사(DAS)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우울로 인해 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학생들의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무기력하고 순응적인 부적응 태도에 긍정적 변화를 주었다. 변화된 행동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학교에서 교사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 횟수가 늘었고 학급활동시간 및 수업시간에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태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우울로 인해 학교생활 적응에 곤란을 겪는 학생들의 우울 감소에 영향을 주었고, 무기력하고 순응적인 태도를 보이는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집단미술치료가 우울한 청소년의 우울을 감소시켜 학교 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연구과정에서 현직교사로서 교사들과 긴밀하게 협력하면서 연구대상자들의 변화과정을 깊이있고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과 피드백을 주고 받는 과정 속에서 교내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던 학생들이 교사의 긍정적인 지지를 받았고 미술치료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보아 학교 현장에 적용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for execut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students showing mal-adjusting acts due to depression, and verifying the result. This researcher carried out the depression test for children and youth(CDI) in Sept. 2011 to the entire 2nd grade students in 00 high school located at 00 ...
This study is for execut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students showing mal-adjusting acts due to depression, and verifying the result. This researcher carried out the depression test for children and youth(CDI) in Sept. 2011 to the entire 2nd grade students in 00 high school located at 00 city, Gyeonggi-do. As a result, the students with over 25 scores belonging to high-level depression was 18, of whom 5 were selected with the consent of their parent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ver 14 times by 90 minutes once or twice per week Sept. 22 through Dec. 14, 2011. The subjects were those students commonly displaying the attitude of apathetic and excessive acceptable depression phase.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stimulate the inner creativity of the students to reexperience what lack from early object relations on the basis of the premise that the reason of the depression results from inappropriate early nurturing environment. As an assessment method, this researcher used the depression test for children and youth(CDI) as quantitative measure, and used the record sheet for behavioral observation for the class teacher and subject teachers as qualitative test, and conducted a picture story test(DAS) as a projective test before and after the test and analyzed the changes.
The findings coming out from such a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of the students showing mal-adjustment due to depression.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gave a positive change to apathetic and acceptable mal-adjustable attitude. Changed acts taken concretely, the times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peers increased, and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attitude appeared at classroom activity and classes.
Through this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er confirm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the students suffering from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that of mal-adjustable acts showing apathetic and acceptable attitude.
According to the result abov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group art therapy allows depressed students to reduce their feeling of depression and make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Besides, as a current teacher, closely cooperating with other teachers,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change occurred within the subjects during the research process. In the course of the art therapy, the students who hadn't attracted any attention from teachers were able to get support from teachers and the teachers' understanding toward art therapy has changed positively. It has a great meaning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at can be adapted in school scene practically.
This study is for execut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the students showing mal-adjusting acts due to depression, and verifying the result. This researcher carried out the depression test for children and youth(CDI) in Sept. 2011 to the entire 2nd grade students in 00 high school located at 00 city, Gyeonggi-do. As a result, the students with over 25 scores belonging to high-level depression was 18, of whom 5 were selected with the consent of their parents.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ver 14 times by 90 minutes once or twice per week Sept. 22 through Dec. 14, 2011. The subjects were those students commonly displaying the attitude of apathetic and excessive acceptable depression phase.
This program was designed to stimulate the inner creativity of the students to reexperience what lack from early object relations on the basis of the premise that the reason of the depression results from inappropriate early nurturing environment. As an assessment method, this researcher used the depression test for children and youth(CDI) as quantitative measure, and used the record sheet for behavioral observation for the class teacher and subject teachers as qualitative test, and conducted a picture story test(DAS) as a projective test before and after the test and analyzed the changes.
The findings coming out from such a research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of depression of the students showing mal-adjustment due to depression.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gave a positive change to apathetic and acceptable mal-adjustable attitude. Changed acts taken concretely, the times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peers increased, and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attitude appeared at classroom activity and classes.
Through this research results, this researcher confirm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n effect on the reduction of the students suffering from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that of mal-adjustable acts showing apathetic and acceptable attitude.
According to the result abov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group art therapy allows depressed students to reduce their feeling of depression and make positive effects on school life. Besides, as a current teacher, closely cooperating with other teachers,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e change occurred within the subjects during the research process. In the course of the art therapy, the students who hadn't attracted any attention from teachers were able to get support from teachers and the teachers' understanding toward art therapy has changed positively. It has a great meaning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at can be adapted in school scene practical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