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이 정보를 관련 기관 및 현장 전문가에게 제공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발달과정에 맞고 현장에 현실감 있게 적용할 수 있는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외국의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을 조사하였고, 사례조사,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국내 다문화관련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제 현장 및 관련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16개 시·도청에서의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 국가기관인 한국청소년진흥센터에서 운영 중인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청소년시설, 박물관, 기타 관련 기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된 프로그램은 지역별, 유형별, 주체별, 내용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이 정보를 관련 기관 및 현장 전문가에게 제공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발달과정에 맞고 현장에 현실감 있게 적용할 수 있는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외국의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을 조사하였고, 사례조사,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국내 다문화관련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제 현장 및 관련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16개 시·도청에서의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 국가기관인 한국청소년진흥센터에서 운영 중인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청소년시설, 박물관, 기타 관련 기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된 프로그램은 지역별, 유형별, 주체별, 내용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다문화사회가 이슈화되면서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도 많이 개발·운영되고 있었다.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을 뿐 아니라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편견이나 선입견이 긍정적 인식으로 전환되었다. 그에 대한 정부, 지역사회의 역할도 강조되었는데, 현재 정부, 지방자치단체, 청소년시설에서는 프로그램을 경쟁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교육프로그램, 단순경험과 문화체험 위주의 일회적인 프로그램이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제도적 지원 및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소수 청소년복지부분에서 다문화청소년의 정책 우선순위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각 부처의 다문화청소년 관련 정책이 일관성 있고, 종합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인구가 증가하는 반면 그들을 지도하는 전문가가 부족하다. 현장 지도자들의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 특히 대학의 관련 학과에서 전문교육을 담당해야 하고, 정부부처에서 조정된 정책으로 일관성 있는 전문가 양성과정을 시행하는 등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및 연수를 통한 전문 인력의 확보가 요구된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은 청소년이라는 특성과 다문화라는 특수성을 함께 갖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발달 과정인 자아정체감 확립 및 문화정체성 확립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청소년들이 고유문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국 문화향유 및 접촉기회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현재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등 청소년수련시설에서의 프로그램은 일회적이거나 단편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다문화사회 관련 기능을 추가하고, 다문화사회 청소년역량강화센터, 컨트롤타워로의 기능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다문화청소년들이 너무 부각되어, 일반청소년과의 융합을 저해하는 역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역사회 내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과의 교류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분석하고 이 정보를 관련 기관 및 현장 전문가에게 제공하여,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발달과정에 맞고 현장에 현실감 있게 적용할 수 있는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외국의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을 조사하였고, 사례조사,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해 지방자치단체, 국내 다문화관련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제 현장 및 관련 기관에서 운영되고 있는 프로그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16개 시·도청에서의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 국가기관인 한국청소년진흥센터에서 운영 중인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 청소년시설, 박물관, 기타 관련 기관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된 프로그램은 지역별, 유형별, 주체별, 내용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근 다문화사회가 이슈화되면서 다문화청소년프로그램도 많이 개발·운영되고 있었다.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을 뿐 아니라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편견이나 선입견이 긍정적 인식으로 전환되었다. 그에 대한 정부, 지역사회의 역할도 강조되었는데, 현재 정부, 지방자치단체, 청소년시설에서는 프로그램을 경쟁적으로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교육프로그램, 단순경험과 문화체험 위주의 일회적인 프로그램이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제도적 지원 및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소수 청소년복지부분에서 다문화청소년의 정책 우선순위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각 부처의 다문화청소년 관련 정책이 일관성 있고, 종합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인구가 증가하는 반면 그들을 지도하는 전문가가 부족하다. 현장 지도자들의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 특히 대학의 관련 학과에서 전문교육을 담당해야 하고, 정부부처에서 조정된 정책으로 일관성 있는 전문가 양성과정을 시행하는 등 보다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및 연수를 통한 전문 인력의 확보가 요구된다. 셋째, 다문화청소년은 청소년이라는 특성과 다문화라는 특수성을 함께 갖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발달 과정인 자아정체감 확립 및 문화정체성 확립을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청소년들이 고유문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국 문화향유 및 접촉기회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현재 청소년수련관, 청소년문화의집 등 청소년수련시설에서의 프로그램은 일회적이거나 단편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다문화사회 관련 기능을 추가하고, 다문화사회 청소년역량강화센터, 컨트롤타워로의 기능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다문화청소년들이 너무 부각되어, 일반청소년과의 융합을 저해하는 역효과가 발생하지 않도록 지역사회 내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과의 교류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and to provide the resultant information for the related institutions and the experts on this field, and to present proper direction in developing multicultural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practically to the field in ...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and to provide the resultant information for the related institutions and the experts on this field, and to present proper direction in developing multicultural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practically to the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youth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in foreign countries through making researches on related literatures and grasp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operated in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the domestic institutions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youth through case studies and Internet searches. In particular,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programs operated in actual fields and related institutions, the rel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operated in 16 city halls and provincial offices, the Youth Activity Programs operated in Korea Youth Services Center, a state-run organization, the youth facilities, museums and other private organizations. The researched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those by region, by type, by main body and by content.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s multicultural society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lots of programs related to multicultural youth have been developed and operated. Not only interest in the multicultural youth has been heightened but also prejudice or preconception against the multicultural youth has been changed into positive recognition. The roles of the government and the community have been highly emphasized, and currently, the government, local autonomous entities were vying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programs in the youth facilities, and most of those programs were educational programs and one-time programs focusing on simple experience and cultural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 attempt to present the tasks for institutional support for, and revitalization of,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ahead. First, the priority order of policies for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heightened from small number of youth welfare areas. Second, cultivation of experts on the multicultural youth should be actively promoted. Third, since the multicultural youth has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and at the same tim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the programs for establishing the sense of self-identity as a development process of the youth and the programs for establishing cultural identity need to be developed. The opportunity to enjoy and have access to their native culture needs to be expanded so that the multicultural youth can keep their inherent culture. Fourth, currently the programs in the exclusive facilities for the youth such as youth training centers and youth cultural houses have limitations of being either one time use or being piecemeal. The functions related to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be added to theses facilities, which should be expanded to the center for strengthening the youth capabilities of multicultural society. Finally, the multicultural youth should not be emphasized too much by operating those programs, which may cause adverse effects of hampering the harmonized living with the general youth.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ograms to integrate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general youth within the community.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and to provide the resultant information for the related institutions and the experts on this field, and to present proper direction in developing multicultural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practically to the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youth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 This study examined the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in foreign countries through making researches on related literatures and grasp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operated in local autonomous entities and the domestic institutions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youth through case studies and Internet searches. In particular,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condition of the programs operated in actual fields and related institutions, the rela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operated in 16 city halls and provincial offices, the Youth Activity Programs operated in Korea Youth Services Center, a state-run organization, the youth facilities, museums and other private organizations. The researched programs were categorized into those by region, by type, by main body and by content.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As multicultural society has recently become an issue, lots of programs related to multicultural youth have been developed and operated. Not only interest in the multicultural youth has been heightened but also prejudice or preconception against the multicultural youth has been changed into positive recognition. The roles of the government and the community have been highly emphasized, and currently, the government, local autonomous entities were vying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programs in the youth facilities, and most of those programs were educational programs and one-time programs focusing on simple experience and cultural experi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 attempt to present the tasks for institutional support for, and revitalization of,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youth programs ahead. First, the priority order of policies for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heightened from small number of youth welfare areas. Second, cultivation of experts on the multicultural youth should be actively promoted. Third, since the multicultural youth has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and at the same tim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the programs for establishing the sense of self-identity as a development process of the youth and the programs for establishing cultural identity need to be developed. The opportunity to enjoy and have access to their native culture needs to be expanded so that the multicultural youth can keep their inherent culture. Fourth, currently the programs in the exclusive facilities for the youth such as youth training centers and youth cultural houses have limitations of being either one time use or being piecemeal. The functions related to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be added to theses facilities, which should be expanded to the center for strengthening the youth capabilities of multicultural society. Finally, the multicultural youth should not be emphasized too much by operating those programs, which may cause adverse effects of hampering the harmonized living with the general youth.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programs to integrate the youth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general youth within the community.
Keyword
#다문화 청소년프로그램 운영현황 the multicultural youth program current conditions of operation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혜정
학위수여기관
평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청소년복지학과
발행연도
2009
총페이지
v, 111 p.
키워드
다문화 청소년프로그램 운영현황 the multicultural youth program current conditions of oper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