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한국적 디자인 정체성 지수를 통한 한방 화장품 용기디자인 연구 : 한방화장품 선도 브랜드 중심으로 The study on container design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 through identity index of Korean design:Focusing on the leading brands of oriental medicine cosmetics원문보기
오늘날 세계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웰빙(well-being)과 자연주의를 지향하면서 천연성분을 선호하는 소비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더불어 화장품산업의 주요 트렌드는 미적인 요소 뿐 만 아니라 피부보호, 노화예방, 자연주의 그리고 동양적 정서가 담겨진 한방화장품 시장이 커지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 화장품시장은 수입된 많은 해외 브랜드들이 고급백화점 진열대를 점령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경쟁력있는 한방화장품들은 물질적 기능성뿐만이 아닌 상징적인 의미를 함축시킨 ...
오늘날 세계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웰빙(well-being)과 자연주의를 지향하면서 천연성분을 선호하는 소비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더불어 화장품산업의 주요 트렌드는 미적인 요소 뿐 만 아니라 피부보호, 노화예방, 자연주의 그리고 동양적 정서가 담겨진 한방화장품 시장이 커지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 화장품시장은 수입된 많은 해외 브랜드들이 고급백화점 진열대를 점령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경쟁력있는 한방화장품들은 물질적 기능성뿐만이 아닌 상징적인 의미를 함축시킨 브랜드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메시지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한방화장품 이미지를 연출시키는 용기, 색상, 로고타입 등 디자인의 심미적 요소들이 요구되는 것이다. 곧 한국적 정체성(Korean Identity)을 통한 차별화된 패키지디자인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적 이미지의 한방화장품 용기디자인 고찰 및 현황을 파악, 속성별로 분석하여 한국적디자인 정체성 지수를 통한 한방화장품 브랜드디자인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적 디자인 정체성과 한방화장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정의에 대해 국내·외 관련서적, 선행 연구논문, 인터넷 자료 등 문헌적 조사를 토대로 재정리했다. 또한 한국적 이미지의 한방화장품 용기디자인을 형태, 컬러, 장식, 상표(브랜드 로고타입), 재질 등으로 ‘디자인 요소별 다속성분석법’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적이미지 정체성을 통한 한방화장품의 패키지디자인을 검증하고자 했다. 인지도가 높은 한방화장품 8개의 브랜드 설화수, 한율, 후, 수려한, 다나한, 올빛, 랑, 자인의 용기디자인에서의 형태, 장식, 컬러, 브랜드 로고디자인, 재질로 구분하여 ‘디자인 요소별 다속성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한방화장품 용기는 항아리나 옹기모양으로 곡선을 주어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곡선 형태가 90%이며, 뚜껑에 부착시킨 장식은 왕관과 비녀와 같은 전장식과 자연에서 모티브를 얻은 물방울이나 나비문양 이였다. 브랜드 로고는 한문과 영문 조합 37% > 순수 한글 25% > 한글과 영문 그리고 한문 조합, 영문조합 각 각 12% 순으로 분석됐다. 로고타입 디자인은 100% 붓글씨 느낌의 캘리그래피(Calligraphy)로 표현되고 이들 중 75%는 낙관을 찍어 정통적인 존재감과 신뢰감을 주고 있다. 용기색상은 오방색 중의 하나인 자색이 62.5% 그 다음으로는 황금색 느낌의 오렌지 색상이 25%로 사용되고 있으며, 뚜껑부분의 주요칼라는 골드색상이 62.5%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재질에서는 용기는 유리, 뚜껑은 100% 플라스틱 재질 이였다. 브랜드별 용기디자인의 심미적측면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색상 > 상표(브랜드) > 형태 > 장식 > 재질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한국적 디자인 정체성 종합지수는 후: 3.65 > 수려한: 3.56 > 설화수: 3.22 > 한율: 2.64 > 올빛: 2.42 > 다나한: 2.39 > 자인: 1.62 > 랑: 1.61 순으로 한국적 디자인 정체성이 높은 브랜드는 LG생활건강 ‘후’와 ‘수려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전통적 이미지는 형태 및 장식요소 문양 및 패턴을 표현한 브랜드의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색상 측면에서는 황금색과 한약제의 이미지를 표현한 설화수 > 후 > 수려한 순으로 지수가 높게 나타나고, 재질 측면에서 브랜드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패키지디자인의 심미적 측면의 색상 측면은 한국적이미지를 이미지화 할 수 있는 전통색인 오방색으로 “Color Language”화가 필요하고, 재질 측면에서는 도자기나 한복의 직물(Fabric) 등과 같은 질감적용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또한 브랜드로고타입 측면에선 한문, 국문, 영문 등의 표현 중 국문표현이 한국적 정체성을 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유명 한방화장품의 브랜드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자료와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되었다. 한계로는 아직 한국적 디자인 정체성에 대한 근거확보가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정량적 근거확보가 명확하지는 못한 한계가 있다.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향후 심층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가 패키지디자인을 통한 한국적 이미지 정체성 확립과 한방화장품 브랜드들의 세계시장 경쟁력 확보와 한국적 패키지디자인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웰빙(well-being)과 자연주의를 지향하면서 천연성분을 선호하는 소비자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더불어 화장품산업의 주요 트렌드는 미적인 요소 뿐 만 아니라 피부보호, 노화예방, 자연주의 그리고 동양적 정서가 담겨진 한방화장품 시장이 커지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 화장품시장은 수입된 많은 해외 브랜드들이 고급백화점 진열대를 점령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경쟁력있는 한방화장품들은 물질적 기능성뿐만이 아닌 상징적인 의미를 함축시킨 브랜드아이덴티티(brand identity) 메시지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한방화장품 이미지를 연출시키는 용기, 색상, 로고타입 등 디자인의 심미적 요소들이 요구되는 것이다. 곧 한국적 정체성(Korean Identity)을 통한 차별화된 패키지디자인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국적 이미지의 한방화장품 용기디자인 고찰 및 현황을 파악, 속성별로 분석하여 한국적디자인 정체성 지수를 통한 한방화장품 브랜드디자인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적 디자인 정체성과 한방화장품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정의에 대해 국내·외 관련서적, 선행 연구논문, 인터넷 자료 등 문헌적 조사를 토대로 재정리했다. 또한 한국적 이미지의 한방화장품 용기디자인을 형태, 컬러, 장식, 상표(브랜드 로고타입), 재질 등으로 ‘디자인 요소별 다속성분석법’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적이미지 정체성을 통한 한방화장품의 패키지디자인을 검증하고자 했다. 인지도가 높은 한방화장품 8개의 브랜드 설화수, 한율, 후, 수려한, 다나한, 올빛, 랑, 자인의 용기디자인에서의 형태, 장식, 컬러, 브랜드 로고디자인, 재질로 구분하여 ‘디자인 요소별 다속성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한방화장품 용기는 항아리나 옹기모양으로 곡선을 주어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곡선 형태가 90%이며, 뚜껑에 부착시킨 장식은 왕관과 비녀와 같은 전장식과 자연에서 모티브를 얻은 물방울이나 나비문양 이였다. 브랜드 로고는 한문과 영문 조합 37% > 순수 한글 25% > 한글과 영문 그리고 한문 조합, 영문조합 각 각 12% 순으로 분석됐다. 로고타입 디자인은 100% 붓글씨 느낌의 캘리그래피(Calligraphy)로 표현되고 이들 중 75%는 낙관을 찍어 정통적인 존재감과 신뢰감을 주고 있다. 용기색상은 오방색 중의 하나인 자색이 62.5% 그 다음으로는 황금색 느낌의 오렌지 색상이 25%로 사용되고 있으며, 뚜껑부분의 주요칼라는 골드색상이 62.5%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재질에서는 용기는 유리, 뚜껑은 100% 플라스틱 재질 이였다. 브랜드별 용기디자인의 심미적측면의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는 색상 > 상표(브랜드) > 형태 > 장식 > 재질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한국적 디자인 정체성 종합지수는 후: 3.65 > 수려한: 3.56 > 설화수: 3.22 > 한율: 2.64 > 올빛: 2.42 > 다나한: 2.39 > 자인: 1.62 > 랑: 1.61 순으로 한국적 디자인 정체성이 높은 브랜드는 LG생활건강 ‘후’와 ‘수려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전통적 이미지는 형태 및 장식요소 문양 및 패턴을 표현한 브랜드의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색상 측면에서는 황금색과 한약제의 이미지를 표현한 설화수 > 후 > 수려한 순으로 지수가 높게 나타나고, 재질 측면에서 브랜드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패키지디자인의 심미적 측면의 색상 측면은 한국적이미지를 이미지화 할 수 있는 전통색인 오방색으로 “Color Language”화가 필요하고, 재질 측면에서는 도자기나 한복의 직물(Fabric) 등과 같은 질감적용이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또한 브랜드로고타입 측면에선 한문, 국문, 영문 등의 표현 중 국문표현이 한국적 정체성을 이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판매되는 유명 한방화장품의 브랜드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자료와 근거를 바탕으로 연구되었다. 한계로는 아직 한국적 디자인 정체성에 대한 근거확보가 아직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정량적 근거확보가 명확하지는 못한 한계가 있다.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향후 심층적인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가 패키지디자인을 통한 한국적 이미지 정체성 확립과 한방화장품 브랜드들의 세계시장 경쟁력 확보와 한국적 패키지디자인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