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병영생활관은 병영시설 현대화 사업을 통하여 침대형 병영생활관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현대화 병영생활관은 국방·군사시설기준에 적합하도록 시공되고 있으나 예하부대의 특성에 따라 각 실의 면적 및 규모가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설의 면적 및 변화에 따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병영시설의 면적 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는 병영시설의 계획적인 측면과 거주 후 평가측면의 개선사항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최근 5년 이내 시공된 병영생활관의 각 실별 시공도면을 분석하여 국방·군사시설기준과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경기도 및 경상도 지역의 병영시설을 각 주거시설, 행정시설, 위생시설, 복지시설을 기준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시설의 경우 국방부 시설기준보다 12개 부대는 넓게 4개 부대는 작게 시공되었으며 행정시설, 위생시설, 복지시설의 사례 분석에서도 각 부대마다 증감이 발생하였다. ...
최근 병영생활관은 병영시설 현대화 사업을 통하여 침대형 병영생활관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현대화 병영생활관은 국방·군사시설기준에 적합하도록 시공되고 있으나 예하부대의 특성에 따라 각 실의 면적 및 규모가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설의 면적 및 변화에 따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병영시설의 면적 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는 병영시설의 계획적인 측면과 거주 후 평가측면의 개선사항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최근 5년 이내 시공된 병영생활관의 각 실별 시공도면을 분석하여 국방·군사시설기준과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경기도 및 경상도 지역의 병영시설을 각 주거시설, 행정시설, 위생시설, 복지시설을 기준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시설의 경우 국방부 시설기준보다 12개 부대는 넓게 4개 부대는 작게 시공되었으며 행정시설, 위생시설, 복지시설의 사례 분석에서도 각 부대마다 증감이 발생하였다. 사례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대의 전체 계획 면적은 사례 연구 부대 모두 기준을 상회하는 면적이었으나 단위 면적에서의 증감이 발생하였고 둘째, 위생시설의 경우 변기 및 샤워기 수량의 증감이 발생하였다. 셋째, 필요한 시설의 통합문제가 발생하였다. 넷째, 각 실의 면적 증감에 따른 마감 수준의 차이에 다른 공사비 증감이 발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사항으로 첫째, 국방부 시설 규정의 일부 변경하는 것이다. 둘째, 시설 기준의 융통성 부여이다. 각 일선 부대의 특성에 따라 일정 비율의 변경을 허용하는 개선안을 제안한다. 셋째, 계획적인 측면에서 실의 특성에 맞게 기능을 통합하도록 기준을 재판단해야 한다. 넷째, 각 부대의 편의성을 부여하되 VE 등을 통한 공사비 증가를 규제할 필요성이 있다.
최근 병영생활관은 병영시설 현대화 사업을 통하여 침대형 병영생활관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현대화 병영생활관은 국방·군사시설기준에 적합하도록 시공되고 있으나 예하부대의 특성에 따라 각 실의 면적 및 규모가 변경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설의 면적 및 변화에 따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병영시설의 면적 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는 병영시설의 계획적인 측면과 거주 후 평가측면의 개선사항을 참고하였다. 그리고 최근 5년 이내 시공된 병영생활관의 각 실별 시공도면을 분석하여 국방·군사시설기준과 비교·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경기도 및 경상도 지역의 병영시설을 각 주거시설, 행정시설, 위생시설, 복지시설을 기준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시설의 경우 국방부 시설기준보다 12개 부대는 넓게 4개 부대는 작게 시공되었으며 행정시설, 위생시설, 복지시설의 사례 분석에서도 각 부대마다 증감이 발생하였다. 사례 연구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대의 전체 계획 면적은 사례 연구 부대 모두 기준을 상회하는 면적이었으나 단위 면적에서의 증감이 발생하였고 둘째, 위생시설의 경우 변기 및 샤워기 수량의 증감이 발생하였다. 셋째, 필요한 시설의 통합문제가 발생하였다. 넷째, 각 실의 면적 증감에 따른 마감 수준의 차이에 다른 공사비 증감이 발생하였다. 사례분석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사항으로 첫째, 국방부 시설 규정의 일부 변경하는 것이다. 둘째, 시설 기준의 융통성 부여이다. 각 일선 부대의 특성에 따라 일정 비율의 변경을 허용하는 개선안을 제안한다. 셋째, 계획적인 측면에서 실의 특성에 맞게 기능을 통합하도록 기준을 재판단해야 한다. 넷째, 각 부대의 편의성을 부여하되 VE 등을 통한 공사비 증가를 규제할 필요성이 있다.
Recently, military barracks have improved their living conditions to bedtype one with the barrack renewal project. Renewed barracks are constructed to be compatible with standards on military facilities but areas and scales of each room are sometimes subject to chang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
Recently, military barracks have improved their living conditions to bedtype one with the barrack renewal project. Renewed barracks are constructed to be compatible with standards on military facilities but areas and scales of each room are sometimes subject to chang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ordinate units. This study examines areas of aforementioned facilities and results of the change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problems and draw improvements by analyzing changes in areas of military faciliti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t analyzes aspects of planning military facilities and satisfaction level of soldiers using the facilities. However, there is no advanced research on increase and decrease in each facility’s area and in the number of instruments and entailed variations on construction expens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rovement by finding problems through case studies. This study conducts case studies on military facilities in Gyeonggi and Gyeongsang provinces on the basis of living facilities, administration facilities, sanitation facilities and welfare facilities. The results show that twelve units are of bigger areas and four are of smaller ones compared to standards in National Defense in terms of living facilities. There are also variations in administration, sanitation and welfare facilities in different units. The problems identified through the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ll of planned areas of units subject to case studies exceed the standard but there are variations in unit areas. Second, there ar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toilets and showers in term of sanitation facilities. Third, construction expenses vary according to difference in each room’s area and in level of finishing materials. Lastly, there is an issue of integrating required facilities. Here are improvements on problems emerged through case studies. The first is to partially change the National Defense facility standards. The second is to grant flexibility on facility standards. This study suggests an improvement scheme that allows changes in some rat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in units. The third is to reconsider standards to make functions integrated appropriately for rooms in terms of planning. The fourth is to guarantee convenience for each unit but it is also considered that increase in construction expenses should be controlled with VE, etc.
Recently, military barracks have improved their living conditions to bedtype one with the barrack renewal project. Renewed barracks are constructed to be compatible with standards on military facilities but areas and scales of each room are sometimes subject to chang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subordinate units. This study examines areas of aforementioned facilities and results of the changes.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problems and draw improvements by analyzing changes in areas of military facilitie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it analyzes aspects of planning military facilities and satisfaction level of soldiers using the facilities. However, there is no advanced research on increase and decrease in each facility’s area and in the number of instruments and entailed variations on construction expens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improvement by finding problems through case studies. This study conducts case studies on military facilities in Gyeonggi and Gyeongsang provinces on the basis of living facilities, administration facilities, sanitation facilities and welfare facilities. The results show that twelve units are of bigger areas and four are of smaller ones compared to standards in National Defense in terms of living facilities. There are also variations in administration, sanitation and welfare facilities in different units. The problems identified through the cas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all of planned areas of units subject to case studies exceed the standard but there are variations in unit areas. Second, there are increase and decrease in the number of toilets and showers in term of sanitation facilities. Third, construction expenses vary according to difference in each room’s area and in level of finishing materials. Lastly, there is an issue of integrating required facilities. Here are improvements on problems emerged through case studies. The first is to partially change the National Defense facility standards. The second is to grant flexibility on facility standards. This study suggests an improvement scheme that allows changes in some rat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in units. The third is to reconsider standards to make functions integrated appropriately for rooms in terms of planning. The fourth is to guarantee convenience for each unit but it is also considered that increase in construction expenses should be controlled with VE, etc.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