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병영 생활관 시설 분류 개선에 관한 연구 - 육·해·공·해병대 설문 조사 및 군 간부 면담 조사를 중심으로 -
Study on facility classification development of Military Barracks - Focusing on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military officials' interview of the army, navy, air force and Marine -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22 no.1 = no.96, 2013년, pp.19 - 27  

성이용 (목원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이상호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Facility classification for military barracks among military facilities. The military barracks are the place where soldiers spend most of their time. Thus, a new type of space in military barracks is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soldi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복지 시설은 사례 조사에서 과반 이상(4개 사례 중 2개 이상) 설치된 시설인 도서관, 사이버 지식 정보실, 다목적실(홀), 이발소, 피복 정비실, 휴게실을 포함하고, 과반 이상이나 여군 편의 시설 경우 대한민국의 남자로 구성되는 병사가 사용하는 시설이 아니므로 제외한다. 과반 이상이 되지 않으나 매점, 체력 단련실은 모든 사례에 설치되어 있는데, 병영생활관 내에 위치하지 않고 독립 건물로 부대 안에 위치하여 병영 생활관과의 관계를 알기 위해 조사하였다. 또한 위생 및 급식 시설에서는 샤워실, 화장실, 세면실 등의 공간은 상시 이용하는 시설로 제외한다.
  • 을 가지고 있으며, 지역상 전방 부대 2개와 후방 부대 2개로 구성되어진다. 병영 생활관 내에는 다양한 시설이 있으며 시설 분류상 특이점과 대상지 내 차별되는 부분에 대해서 간단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 이는 사례 부대의 다양한 세탁실, 세탁 건조실의 위치 및 건조 방식 등을 조사하여 개선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병영 생활관 내의 다양한 시설을 모두 분석하는 것이 아닌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시설 분류 중 가장 공통적으로 계획되고 있는 시설에 대한 연구로 볼 수 있다.
  • 공군과 해군은 복지시설 및 위생 시설의 면적 비율이 주거 시설을 제외하면 가장 큰 비율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주거 시설을 제외한 복지 시설의 이용 빈도 분석을 진행한다. 위생 시설 중 화장실, 샤워실은 시설 기준에 의해 정확한 시설 면적에 대한 산출 근거가 있고 예비 설문시 만족도가 높게 나와 제외하며, 세탁 관련 시설의 위치 및 면적 등이 상이하게 계획8)되어 만족도 및 개선 요구사항에 대해 조사한다.
  • 또한 군 별 사례를 통해 설치되어 있는 <표 6>과 같이 과반수 이상의 시설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병영 생활관 내의 시설 분류를 재분류, 제안한다.
  • 세탁실 및 세탁 건조장은 병영 생활관 내 가장 많이 설치 되어 있고 이용 빈도가 높은 공간으로 따로 분류하여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는 사례 부대의 다양한 세탁실, 세탁 건조실의 위치 및 건조 방식 등을 조사하여 개선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병영 생활관 내의 다양한 시설을 모두 분석하는 것이 아닌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시설 분류 중 가장 공통적으로 계획되고 있는 시설에 대한 연구로 볼 수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병영 생활관에 있어 다양한 시설 분류 체계를 분석 후 사례 조사를 진행한다. 이후 각 시설에 대한 군 간부 면담과 병사 설문을 통해 적정한 시설을 재분류하며, 결과적으로 시설에 대한 제안과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 그러나 단위 공간 및 병영 생활관 내 시설에 대한 건축 계획 관련 연구는 최근에 연구되지 않았으며 이전 연구 또한 생활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병영 생활관의 전체적인 시설 분류에 대해 진행함으로 차별화를 갖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병영 생활관에 있어 다양한 시설 분류 체계를 분석 후 사례 조사를 진행한다. 이후 각 시설에 대한 군 간부 면담과 병사 설문을 통해 적정한 시설을 재분류하며, 결과적으로 시설에 대한 제안과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방 시설의 가장 주요 시설은 무엇인가? 현재 국방 시설의 가장 주요 시설인 병영 생활관은 변화하고 있으나 이 병영 생활관의 건축계획 지침인 국방시설기준 내의 시설 분류 기준은 변화하지 않고 있다. 즉 병영 생활관내의 시설분류체계는 주거시설을 중심으로 하여 행정시설, 작전 및 훈련시설, 위생 및 급식시설, 의료시설, 저장 및 정비시설, 교육시설, 복지시설, 종교시설, 교정시설, 체육시설로 나눌 수 있다.
국방부는 병영 생활관을 어떻게 개선해나가고 있는가? 국방부는 “2008년 10월 22일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 등 사회발전 추세에 발맞춰 낡고 좁은 병영생활관과 군 간부 숙소를 단계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며 “특히 병사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병영 생활관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사업을 계획보다 앞당겨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방부는 병영 생활관을 신세대 장병들의 성장환경 고려, 기존의 침상형에서 분대 단위 침대형으로 연차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다. 특히 전방 지역과 도서 지역 병영 시설 개선을 2010년까지 우선 추진하는 것을 비롯해 전 부대의 병영 생활관을 당초 목표인 2013년보다 1년 앞당겨 2012년까지 모두 침대형으로 교체할 계획이다.
병영 생활관에 대한 시설 분류 개선을 통해 본 연구의 결론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통해 보면 국방·군사 시설 기준 내의 시설 분류를 재편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적 부분에 있어 행정 시설의 유·무에 따른 대안 공간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복지 시설 및 위생 시설에 대한 이용 빈도 및 만족도에 의거한 적정한 시설 및 장비 확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군 간부 면담을 통해 도출된 내용으로, 주거 시설의 병사 전용, 행정 시설의 회의실, 상담실 등에 대해 재고가 필요하다. 현재 이 실들의 공간 점유율에 비해 이용 효율성이 떨어지며, 간부 휴식 공간등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의료 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저장 및 관리 공간 등 필요 시설의 재분배가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병영 생활관 내의 시설 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했던 실정으로 편의성에 기반한 재구성이 필요한다. 본 연구는 시설분류에 대한 제안임으로 각 시설에 대한 적정면적에 대한 연구는 군 특성을 반영한 후속 연구로 진행되어야 할 부분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김석복 외 2인, 미래군사시설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 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제24권 12호, 2008.12 

  2. 국방부, 국방.군사시설기준, 초판, 국방부, 서울, 2011 

  3. 국방부, 국방백서, 초판, 국방부, 서울, 2010 

  4. 국방부, 국방개혁 기본계획, 초판, 국방부, 서울, 2010 

  5. 국방부, 국방시설기준 산출근거 초판, 국방부, 서울,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