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여우구슬의 항산화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그 추출물을 염증 모델 동물에게 직접 투여하여 항염증 효과를 구명하였다. 또한 부작용 또는 독성을 검정하여 부작용 없고 안전한 기능성 식․의약품 및 첨가소재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일반성분(수분, 조 회분, 조 지방, 조 단백, 탄수화물, 열량)분석 결과, 조 지방을 제외하고, 종자보다는 전초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녹차와 비교한 결과 단백질 함량은 낮고, 탄수화물, 지방, 회분의 함량은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여우구슬의 항산화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그 추출물을 염증 모델 동물에게 직접 투여하여 항염증 효과를 구명하였다. 또한 부작용 또는 독성을 검정하여 부작용 없고 안전한 기능성 식․의약품 및 첨가소재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일반성분(수분, 조 회분, 조 지방, 조 단백, 탄수화물, 열량)분석 결과, 조 지방을 제외하고, 종자보다는 전초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녹차와 비교한 결과 단백질 함량은 낮고, 탄수화물, 지방, 회분의 함량은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다. 유리 당은 종자에서 glucose 3.73%, fructose 4.21% 만이 검출되었고, 총 당 함량은 종자 25.22%로 전초 21.08%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전초, 종자의 지방산 조성 중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다른 지방산에 비교해 높게 측정되었다. 유기산 조성 분석 결과 전초에서는 상쾌한 향미를 주는 citric acid가 1,098.92mg%, 종자에서는 fumaric acid가 0.96mg% 검출 되었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무기질 원소 중 K, Ca, Mg, P의 함량이 다른 원소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K 함량은 2,442mg%-17,461mg% 이상으로 측정되어 K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진 멸치(1,468mg%), 붕어(1,611mg%)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여 알칼리성 식품의 보고라 할 수 있겠다. 비타민 A의 함량은 전초에서 72.62 ㎍RE/100g 으로 다소 낮게 측정되었지만, 비타민 C는 전초, 종자에서 4,070mg%, 1,570mg%, 비타민 E는 종자에서 4.9IU/100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특히,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비타민 C 함량은 월계수 잎(13.84mg%), 오렌지(289mg%)와 비교해 볼 때 높은 함량이며, 따라서 비타민 C의 좋은 급원 식품으로 나타났다. 추출방법과 추출용매가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전초와 종자 모두 80% MeOH 로 추출한 시료가 SOD 유사활성, 전자공여 능, Hydroxyl radical 소거 능, Hydrogen radical 소거 능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SOD 유사활성 능은, SF(Alcohol) 93.70±0.14%, SF(CO2) 94.68±0.19% 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페놀 성 화합물이 SOD 유사활성을 갖는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추출방법과 추출용매에 의한 차이라 사료된다. 전자공여 능을 측정한 결과 전초(P.U) 80% MeOH 67.27%, 종자(P.U.S) 80% MeOH 35.58% 의 활성을 보였다. 이는 한국 약용 및 식물자원의 항산화성식물탐색에 대한 결과, 식물자원이 20% 미만의 활성을 보인다는 보고에 따르면 높은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Hydroxyl radical 소거 능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90% 이상의 활성을 보여 여우구슬 전초, 종자 추출물에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혼합 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 측정결과, 종자(P.U.S) CHCl3:MeOH=3:1 추출물을 제외하고 모든 추출물에서 30%이상의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국내산 자생식물인 여우구슬은 향후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되고, 식품산업에 응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우구슬 유효성분의 추출⋅분리를 위해 전초, 종자 추출물을 chloroform, n-hexane, ethyl acetate, butanol로 분획 후 활성이 좋았던 BuOH 층을 이용하여 unknow peak2 로 추정되는 플라보노이드 계통의 물질인 saponarin을 분리·정제 중에 있으며,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β-Sitosterol의 성질을 이용하여 ethyl acetate 분획물로 부터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에 sephadex LH-20을 4 x 50 cm까지 충진 시키고, ethyl acetate 분획물에 2 g을 loading하였으며, 전개용매는 chloroform : methanol (100 : 10)을 사용하여 전개하였다. 컬럼으로부터 용리하면서 60ml씩 분획을 수집하고 이들을 TLC(n-hexane : Ethyl acetate = 65 : 35(v/v)) 전개 후 UV 254 nm, 334 nm에서 확인 후 A-F 까지 분리 하였으며, 5%-H2SO4로 발색시킨 후 유사분획끼리 통합하여 4개의 소분획 (Fr.1-Fr.4)으로 나누었다. 즉, Fr.1은 1-20번 분획물을 농축한 것이며 같은 방법으로 Fr.2는 21-70번, Fr.3은 71-150번, 그리고 Fr.4는 151-180번까지의 것을 각각 농축하였다. 이중 Fr.1을 hexane에 재결정화를 수행하였을 때 무색의 침상정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화합물 I이라 하였고, 254 nm, 334 nm 파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D(Rf=0.65)를 HPLC(µ-Bondapak C18 3.9x300 mm ; flowrate 0.8 ㎖/min ; inject vol., 20㎕ ; detector, 272 nm)를 통해 Compound I을 분리·정제 하였다. compound I의 1H-NMR spectrum은 Varian Unity lnova 300MHZ(Varian lnc., Palo Alto, CA., USA)로 측정 하였으며, CHCl3-d6용매를 사용 하였고 ppm 단위로 나타내었다. 1H-NMR(300 MHz, CDCl3) 측정결과 6개의 Methyl Proton [ δ: 0.68(3H, S, H-25), 0.82(3H, d, J=8.5, H-28), 0.85(3H, d, J=8.5, H=27), 0.87(3H, t, overlapped with H-27, H-29), 0.92(3H, d, J=6.5, H-26) 1.01(3H, S, H-24), δ 3.52 위치에 OH를 갖는 C의 proton(proton on hydroxylated carbon, 1H, m, H-3)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또한 동용매로 13C-NMR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의 methyl carbon [ δ11.8(C-25), 12.0(C-29), 18.8(C-26), 19.0(C-27), 19.4(C-24), 19.8(C-28), 11개의 methylen carbon [δ21.0(C-11), 23.0(C-20), 24.3(C-15), 26.0(C-23), 28.2(C-16), 31.6(C-2), 31.9(C-7), 33.9(C-19), 37.2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여우구슬의 항산화 활성이 높은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그 추출물을 염증 모델 동물에게 직접 투여하여 항염증 효과를 구명하였다. 또한 부작용 또는 독성을 검정하여 부작용 없고 안전한 기능성 식․의약품 및 첨가소재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일반성분(수분, 조 회분, 조 지방, 조 단백, 탄수화물, 열량)분석 결과, 조 지방을 제외하고, 종자보다는 전초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녹차와 비교한 결과 단백질 함량은 낮고, 탄수화물, 지방, 회분의 함량은 비교적 높게 측정되었다. 유리 당은 종자에서 glucose 3.73%, fructose 4.21% 만이 검출되었고, 총 당 함량은 종자 25.22%로 전초 21.08%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전초, 종자의 지방산 조성 중 palmit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linolenic acid의 함량이 다른 지방산에 비교해 높게 측정되었다. 유기산 조성 분석 결과 전초에서는 상쾌한 향미를 주는 citric acid가 1,098.92mg%, 종자에서는 fumaric acid가 0.96mg% 검출 되었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무기질 원소 중 K, Ca, Mg, P의 함량이 다른 원소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K 함량은 2,442mg%-17,461mg% 이상으로 측정되어 K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고 알려진 멸치(1,468mg%), 붕어(1,611mg%)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여 알칼리성 식품의 보고라 할 수 있겠다. 비타민 A의 함량은 전초에서 72.62 ㎍RE/100g 으로 다소 낮게 측정되었지만, 비타민 C는 전초, 종자에서 4,070mg%, 1,570mg%, 비타민 E는 종자에서 4.9IU/100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특히,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비타민 C 함량은 월계수 잎(13.84mg%), 오렌지(289mg%)와 비교해 볼 때 높은 함량이며, 따라서 비타민 C의 좋은 급원 식품으로 나타났다. 추출방법과 추출용매가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전초와 종자 모두 80% MeOH 로 추출한 시료가 SOD 유사활성, 전자공여 능, Hydroxyl radical 소거 능, Hydrogen radical 소거 능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SOD 유사활성 능은, SF(Alcohol) 93.70±0.14%, SF(CO2) 94.68±0.19% 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페놀 성 화합물이 SOD 유사활성을 갖는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추출방법과 추출용매에 의한 차이라 사료된다. 전자공여 능을 측정한 결과 전초(P.U) 80% MeOH 67.27%, 종자(P.U.S) 80% MeOH 35.58% 의 활성을 보였다. 이는 한국 약용 및 식물자원의 항산화성식물탐색에 대한 결과, 식물자원이 20% 미만의 활성을 보인다는 보고에 따르면 높은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의 Hydroxyl radical 소거 능을 측정한 결과, 모든 추출물에서 90% 이상의 활성을 보여 여우구슬 전초, 종자 추출물에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이 혼합 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여우구슬 전초, 종자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 측정결과, 종자(P.U.S) CHCl3:MeOH=3:1 추출물을 제외하고 모든 추출물에서 30%이상의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국내산 자생식물인 여우구슬은 향후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되고, 식품산업에 응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여우구슬 유효성분의 추출⋅분리를 위해 전초, 종자 추출물을 chloroform, n-hexane, ethyl acetate, butanol로 분획 후 활성이 좋았던 BuOH 층을 이용하여 unknow peak2 로 추정되는 플라보노이드 계통의 물질인 saponarin을 분리·정제 중에 있으며,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β-Sitosterol의 성질을 이용하여 ethyl acetate 분획물로 부터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에 sephadex LH-20을 4 x 50 cm까지 충진 시키고, ethyl acetate 분획물에 2 g을 loading하였으며, 전개용매는 chloroform : methanol (100 : 10)을 사용하여 전개하였다. 컬럼으로부터 용리하면서 60ml씩 분획을 수집하고 이들을 TLC(n-hexane : Ethyl acetate = 65 : 35(v/v)) 전개 후 UV 254 nm, 334 nm에서 확인 후 A-F 까지 분리 하였으며, 5%-H2SO4로 발색시킨 후 유사분획끼리 통합하여 4개의 소분획 (Fr.1-Fr.4)으로 나누었다. 즉, Fr.1은 1-20번 분획물을 농축한 것이며 같은 방법으로 Fr.2는 21-70번, Fr.3은 71-150번, 그리고 Fr.4는 151-180번까지의 것을 각각 농축하였다. 이중 Fr.1을 hexane에 재결정화를 수행하였을 때 무색의 침상정을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화합물 I이라 하였고, 254 nm, 334 nm 파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D(Rf=0.65)를 HPLC(µ-Bondapak C18 3.9x300 mm ; flow rate 0.8 ㎖/min ; inject vol., 20㎕ ; detector, 272 nm)를 통해 Compound I을 분리·정제 하였다. compound I의 1H-NMR spectrum은 Varian Unity lnova 300MHZ(Varian lnc., Palo Alto, CA., USA)로 측정 하였으며, CHCl3-d6용매를 사용 하였고 ppm 단위로 나타내었다. 1H-NMR(300 MHz, CDCl3) 측정결과 6개의 Methyl Proton [ δ: 0.68(3H, S, H-25), 0.82(3H, d, J=8.5, H-28), 0.85(3H, d, J=8.5, H=27), 0.87(3H, t, overlapped with H-27, H-29), 0.92(3H, d, J=6.5, H-26) 1.01(3H, S, H-24), δ 3.52 위치에 OH를 갖는 C의 proton(proton on hydroxylated carbon, 1H, m, H-3)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또한 동용매로 13C-NMR분석을 실시한 결과, 6개의 methyl carbon [ δ11.8(C-25), 12.0(C-29), 18.8(C-26), 19.0(C-27), 19.4(C-24), 19.8(C-28), 11개의 methylen carbon [δ21.0(C-11), 23.0(C-20), 24.3(C-15), 26.0(C-23), 28.2(C-16), 31.6(C-2), 31.9(C-7), 33.9(C-19), 37.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