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 전문화 경향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특히 건설 현장의 최고 책임자인 현장 소장의 역할의 범위와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현장 소장은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 및 기술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인 인력배치 및 선정자재의 활용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비의 선정 등 유·무형적 측면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렇듯 현장소장에 대한 중요성은 건설 산업의 발전에 따라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외 현장 소장과 관련된 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서야 시작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현장소장의 리더십 이라는 일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온 실정이며, 해외 연구에서 조차 건설 환경에 따른 현장소장 역량의 효율성 정도에 관한 연구들만이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외를 막론하고 현장소장에 관한 연구들이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현장 소장 역량 항목을 도출하여 역량 항목별 중요도 및 현재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부족한 역량 항목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수행 순서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이론고찰을 통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분석한다. 2) 현장소장 역량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차적으로 관련 연구보고서 및 논문 등의 문헌연구를 실시한다. 3) 1차적으로 도출된 역량 항목들에 대하여 학계 및 기업의 실무진들을 대상으로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여 최종 역량 요소를 결정한다. 4) Likert 7점 척도를 활용하여 도출된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현재역량 수준을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여 현장소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 전문화 경향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특히 건설 현장의 최고 책임자인 현장 소장의 역할의 범위와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현장 소장은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 및 기술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인 인력배치 및 선정자재의 활용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비의 선정 등 유·무형적 측면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렇듯 현장소장에 대한 중요성은 건설 산업의 발전에 따라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외 현장 소장과 관련된 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서야 시작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현장소장의 리더십 이라는 일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온 실정이며, 해외 연구에서 조차 건설 환경에 따른 현장소장 역량의 효율성 정도에 관한 연구들만이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외를 막론하고 현장소장에 관한 연구들이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현장 소장 역량 항목을 도출하여 역량 항목별 중요도 및 현재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부족한 역량 항목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수행 순서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이론고찰을 통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분석한다. 2) 현장소장 역량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차적으로 관련 연구보고서 및 논문 등의 문헌연구를 실시한다. 3) 1차적으로 도출된 역량 항목들에 대하여 학계 및 기업의 실무진들을 대상으로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여 최종 역량 요소를 결정한다. 4) Likert 7점 척도를 활용하여 도출된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현재역량 수준을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여 현장소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5)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전체 역량 항목들에 대한 분석, 관리 역량별 역량 요인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을 실시한다. 6) 분석된 결과를 통해 현장소장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기존의 연구 문헌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역량 항목은 총 37개 역량 항목이며 이들 역량 항목을 대외관리(10개), 현장관리(14개), 자기관리(13개)으로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대분류 역량항목에 따라 도출된 역량 항목은 다음 표와 같이 도출되었다. 구 분 역량 항목 역량 수 대외 관리 1)수주 영업능력, 2)수익률 향상을 위한 설계변경능력, 3)수주영업을 위한 정보 수집력, 4)공사비 관리 능력, 5)예상민원 사전대비 능력, 6)협력사 관리 능력, 7)고객친화력, 8)발주처 설득 협상 능력, 9)대외 홍보 능력, 10)현지문화에 대한 이해력 10개 현장 관리 1)적극적 돌파력, 2)현장 흐름 파악 능력, 3)시방 및 계약 이해 능력, 4)의사결정 능력, 5)하자 없는 시공관리 능력, 6)상황 대처 능력, 7)공사에 대한 철저한 이해 능력, 8)부하직원 이해력, 조직 운영력, 9)감성적 리더십, 10)직원과의 신뢰 구축 능력, 11)부하직원 역량 강화 능력, 12)상대에 대한 배려, 13)관리자적 경영 마인드 14개 자기 관리 1)사전 문제예측능력, 2)경쟁대상 인지력, 3)신사업모델 발굴 능력, 4)프로젝트 관리 능력, 5)시방서를 뛰어 넘는 판단력, 6)설계 검토 능력, 7)시공 및 공무의 고른 업무 경험, 8)프로젝트 넓게 보는 시각, 9)스트레스 관리 능력, 10)자기개발 능력, 11)신뢰성, 12)원칙중시, 13)책임감 13개 <도출된 현장 소장 역량 항목> 도출된 현장 소장 역량 항목을 바탕으로 Likert 7점 척도를 활용한 설문 조사지를 작성하여 현장 소장들을 대상으로 역량 항목 별 중요도 및 현재 역량 수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값을 본 연구에서는 IPA 모델에 적용하여 역량 항목별 중요도 및 현재역량 수준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GAP 분석을 통하여 중요도 대비 현재 역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GAP 분석 결과 37개 역량 항목 모두 중요도 대비 현재 역량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IPA 모델을 활용하여 역량 항목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역량 항목 분석에서는 ‘감성적 리더십’, ‘부하직원 역량 강화 능력’, ‘사전문제 예측 능력’ 3개의 역량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3가지의 대분류 역량 항목에 대하여 각각의 IPA 모델을 적용한 결과 대외관리 부문에서는 ‘수주영업을 위한 정보 수집력’, 자기관리 부문에서는 ‘프로젝트 관리 능력’ 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역량 항목에 대한 역량 강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역량 강화 방안 감성적 리더십 현장 소장 개인 측면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참여와 함께 부하 직원들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구축을 통한 역량 강화 부하직원 역량 강화 능력 부하직원들에게 현장 소장 본인의 누적된 경험 및 지식의 공유와 함께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참여 여건 보장을 통한 역량 강화 사전문제 예측 능력 현장 소장 개인 측면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와 함께 회사 차원의 건설 프로젝트 수행 데이터 구축을 통한 사전예측 시스템 구축지원을 통한 역량 강화 수주영업을 위한 정보 수집력 현장소장 개인 측면의 건설 프로젝트 관련
본 연구에서는 최근 건설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 전문화 경향에 따라 건설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시점에서 특히 건설 현장의 최고 책임자인 현장 소장의 역할의 범위와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현장 소장은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 및 기술을 가지고 있어 효율적인 인력배치 및 선정자재의 활용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비의 선정 등 유·무형적 측면의 역할이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렇듯 현장소장에 대한 중요성은 건설 산업의 발전에 따라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외 현장 소장과 관련된 연구는 2000년대에 들어서야 시작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는 현장소장의 리더십 이라는 일부분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연구를 진행해온 실정이며, 해외 연구에서 조차 건설 환경에 따른 현장소장 역량의 효율성 정도에 관한 연구들만이 주를 이루고 있어 국내·외를 막론하고 현장소장에 관한 연구들이 아직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현장 소장 역량 항목을 도출하여 역량 항목별 중요도 및 현재 역량 수준을 파악하고 부족한 역량 항목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수행 순서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이론고찰을 통하여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분석한다. 2) 현장소장 역량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차적으로 관련 연구보고서 및 논문 등의 문헌연구를 실시한다. 3) 1차적으로 도출된 역량 항목들에 대하여 학계 및 기업의 실무진들을 대상으로 FGD(Focus Group Discussion)를 실시하여 최종 역량 요소를 결정한다. 4) Likert 7점 척도를 활용하여 도출된 역량에 대한 중요도 및 현재역량 수준을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여 현장소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5)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전체 역량 항목들에 대한 분석, 관리 역량별 역량 요인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을 실시한다. 6) 분석된 결과를 통해 현장소장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기존의 연구 문헌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역량 항목은 총 37개 역량 항목이며 이들 역량 항목을 대외관리(10개), 현장관리(14개), 자기관리(13개)으로 구분하였으며, 구분된 대분류 역량항목에 따라 도출된 역량 항목은 다음 표와 같이 도출되었다. 구 분 역량 항목 역량 수 대외 관리 1)수주 영업능력, 2)수익률 향상을 위한 설계변경능력, 3)수주영업을 위한 정보 수집력, 4)공사비 관리 능력, 5)예상민원 사전대비 능력, 6)협력사 관리 능력, 7)고객친화력, 8)발주처 설득 협상 능력, 9)대외 홍보 능력, 10)현지문화에 대한 이해력 10개 현장 관리 1)적극적 돌파력, 2)현장 흐름 파악 능력, 3)시방 및 계약 이해 능력, 4)의사결정 능력, 5)하자 없는 시공관리 능력, 6)상황 대처 능력, 7)공사에 대한 철저한 이해 능력, 8)부하직원 이해력, 조직 운영력, 9)감성적 리더십, 10)직원과의 신뢰 구축 능력, 11)부하직원 역량 강화 능력, 12)상대에 대한 배려, 13)관리자적 경영 마인드 14개 자기 관리 1)사전 문제예측능력, 2)경쟁대상 인지력, 3)신사업모델 발굴 능력, 4)프로젝트 관리 능력, 5)시방서를 뛰어 넘는 판단력, 6)설계 검토 능력, 7)시공 및 공무의 고른 업무 경험, 8)프로젝트 넓게 보는 시각, 9)스트레스 관리 능력, 10)자기개발 능력, 11)신뢰성, 12)원칙중시, 13)책임감 13개 <도출된 현장 소장 역량 항목> 도출된 현장 소장 역량 항목을 바탕으로 Likert 7점 척도를 활용한 설문 조사지를 작성하여 현장 소장들을 대상으로 역량 항목 별 중요도 및 현재 역량 수준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값을 본 연구에서는 IPA 모델에 적용하여 역량 항목별 중요도 및 현재역량 수준을 비교 분석 하였으며, GAP 분석을 통하여 중요도 대비 현재 역량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GAP 분석 결과 37개 역량 항목 모두 중요도 대비 현재 역량 수준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IPA 모델을 활용하여 역량 항목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역량 항목 분석에서는 ‘감성적 리더십’, ‘부하직원 역량 강화 능력’, ‘사전문제 예측 능력’ 3개의 역량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3가지의 대분류 역량 항목에 대하여 각각의 IPA 모델을 적용한 결과 대외관리 부문에서는 ‘수주영업을 위한 정보 수집력’, 자기관리 부문에서는 ‘프로젝트 관리 능력’ 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역량 항목에 대한 역량 강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역량 강화 방안 감성적 리더십 현장 소장 개인 측면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참여와 함께 부하 직원들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 구축을 통한 역량 강화 부하직원 역량 강화 능력 부하직원들에게 현장 소장 본인의 누적된 경험 및 지식의 공유와 함께 지속적인 교육 프로그램 참여 여건 보장을 통한 역량 강화 사전문제 예측 능력 현장 소장 개인 측면의 교육 프로그램 참여와 함께 회사 차원의 건설 프로젝트 수행 데이터 구축을 통한 사전예측 시스템 구축지원을 통한 역량 강화 수주영업을 위한 정보 수집력 현장소장 개인 측면의 건설 프로젝트 관련
It was analyzed that the scope and gravity of ability of the construction manager, the highest person in charge in the construction site, is increasing in this research, while the expansion,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recent construction project is ever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
It was analyzed that the scope and gravity of ability of the construction manager, the highest person in charge in the construction site, is increasing in this research, while the expansion,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recent construction project is ever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too. It was also analyzed that the construction site manager’s diverse experience, speciality and ski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angible and intangible aspects such as efficient allocation of labour, usage of materials and choice of equipments which improve the productivity. The importance of the site manager increased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ed but it was analyzed that the research regar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e managers only started around 2000. Furthermore, researches regarding site managers are still lacking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ecause researches up to now was centered around the leadership of the site managers and mainly about efficiency of the site manager’s ability depending on construction environments which were done overseas. This research will deduce various abilities of the construction site manger needed to carry out projects, analyze the importance and current standard of abilities per category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on lacking abilities. The detailed research process and methods are as follows: 1) Analyse prece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through theoretical study. 2) Conduct a primary documentary research on related research reports and thesis to deduce the deciding factors of site manager’s ability. 3) Decide on the final factors of abilities by carrying out Focus Group Discussion (FGD) on the actual working groups in companies and in the field of academics based on the deduced abilities above. 4) Conduct a survey on site managers by compiling a survey that asks importance of the deduced abilities and their current ability level using 7-point Likert scale. 5) Conduct an analysis and an evaluation on the factors of ability per management category and on entire category of abilities by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ethod. 6) Provide a base data that can enhance the ability of site managers through the analyzed result. There were 37 abilities deduc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documentary research papers and it was categorized as follows: foreign management (10), site management (14), self management (13). The deduced abilities per category were made into a table below. Classification Capacities/Abilities No. Foreign Management 1) Ability to get foreign contracts, 2) Ability to change the plan to improve profitability, 3)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oreign operation, 4) Ability to manage construction costs, 5) Ability to deal with civil complaints, 6)Ability to manage collaborating companies, 7) Sociability with clients, 8) Ability to negotiate with the orderer, 9) Ability to market, 10) Understanding of the local culture 10 Site Management 1) Ability to actively breakthrough, 2) Ability to grasp what’s happening in the site, 3) Ability to understand the contract and specification, 4) Decisiveness, 5) Ability to manage construction without fault, 6) Ability to handle unforseen circumstances, 7)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8) Ability to manage organization and understand subordinates, 9) Emotional leadership, 10) Ability to build confidence with workers, 11) Ability to enhance capacity of the subordinates, 12) Consideration towards others, 13) Business mind of a manager 14 Self Management 1) Ability to anticipate problems, 2) Ability to recognize competitors, 3) Ability to discover new business model, 4) Project management ability, 5) Ability to decide beyond specification, 6) Ability to review the plan, 7) Experience suitable for construction, 8) Wide visuals for the project, 9) Stress management ability, 10) Self-development ability, 11)Trustworthiness, 12) Principle-orientated, 13) Responsibility 13 A survey about the importance of the ability and their current standard was conducted on the site managers utilizing 7-point Likert scal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is research on importance and current standard of the abilities were analyzed using IPA model. And the difference in the current standard of abilities and importance was analyzed through GAP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ratio between importance and current standard of abilities was low in all 37 abilities as result of GAP analysis. And 3 abilities (‘emotional leadership’, ‘ability to enhance capacity of the subordinates’, ‘ability to anticipate problems’) were deduced from the analysis using IPA model on all the abilities.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oreign operation’ was deduced from the foreign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ment ability’ from the self management as result of applying IPA model on the three main category. The measures to enhance the deduced abilities are as follows: Ability Enhancement measures Emotional leadership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leadership of the site manager and build a consistent communication channel with subordinates in site manager’s own capacity. Ability to enhance capacity of subordinates Share accumulated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site manager with subordinates and creat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continuously. Ability to anticipate problems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in site manager’s private capacity and build a construction project data base and prediction system in company’s capacity.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oreign operation Create and expand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 related to construction projects and acquire various methods to approach informat
It was analyzed that the scope and gravity of ability of the construction manager, the highest person in charge in the construction site, is increasing in this research, while the expansion, divers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the recent construction project is ever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too. It was also analyzed that the construction site manager’s diverse experience, speciality and ski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angible and intangible aspects such as efficient allocation of labour, usage of materials and choice of equipments which improve the productivity. The importance of the site manager increased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developed but it was analyzed that the research regar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e managers only started around 2000. Furthermore, researches regarding site managers are still lacking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ecause researches up to now was centered around the leadership of the site managers and mainly about efficiency of the site manager’s ability depending on construction environments which were done overseas. This research will deduce various abilities of the construction site manger needed to carry out projects, analyze the importance and current standard of abilities per category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on lacking abilities. The detailed research process and methods are as follows: 1) Analyse prece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es through theoretical study. 2) Conduct a primary documentary research on related research reports and thesis to deduce the deciding factors of site manager’s ability. 3) Decide on the final factors of abilities by carrying out Focus Group Discussion (FGD) on the actual working groups in companies and in the field of academics based on the deduced abilities above. 4) Conduct a survey on site managers by compiling a survey that asks importance of the deduced abilities and their current ability level using 7-point Likert scale. 5) Conduct an analysis and an evaluation on the factors of ability per management category and on entire category of abilities by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ethod. 6) Provide a base data that can enhance the ability of site managers through the analyzed result. There were 37 abilities deduc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xisting documentary research papers and it was categorized as follows: foreign management (10), site management (14), self management (13). The deduced abilities per category were made into a table below. Classification Capacities/Abilities No. Foreign Management 1) Ability to get foreign contracts, 2) Ability to change the plan to improve profitability, 3)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oreign operation, 4) Ability to manage construction costs, 5) Ability to deal with civil complaints, 6)Ability to manage collaborating companies, 7) Sociability with clients, 8) Ability to negotiate with the orderer, 9) Ability to market, 10) Understanding of the local culture 10 Site Management 1) Ability to actively breakthrough, 2) Ability to grasp what’s happening in the site, 3) Ability to understand the contract and specification, 4) Decisiveness, 5) Ability to manage construction without fault, 6) Ability to handle unforseen circumstances, 7)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construction, 8) Ability to manage organization and understand subordinates, 9) Emotional leadership, 10) Ability to build confidence with workers, 11) Ability to enhance capacity of the subordinates, 12) Consideration towards others, 13) Business mind of a manager 14 Self Management 1) Ability to anticipate problems, 2) Ability to recognize competitors, 3) Ability to discover new business model, 4) Project management ability, 5) Ability to decide beyond specification, 6) Ability to review the plan, 7) Experience suitable for construction, 8) Wide visuals for the project, 9) Stress management ability, 10) Self-development ability, 11)Trustworthiness, 12) Principle-orientated, 13) Responsibility 13 A survey about the importance of the ability and their current standard was conducted on the site managers utilizing 7-point Likert scal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this research on importance and current standard of the abilities were analyzed using IPA model. And the difference in the current standard of abilities and importance was analyzed through GAP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 ratio between importance and current standard of abilities was low in all 37 abilities as result of GAP analysis. And 3 abilities (‘emotional leadership’, ‘ability to enhance capacity of the subordinates’, ‘ability to anticipate problems’) were deduced from the analysis using IPA model on all the abilities.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oreign operation’ was deduced from the foreign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ment ability’ from the self management as result of applying IPA model on the three main category. The measures to enhance the deduced abilities are as follows: Ability Enhancement measures Emotional leadership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to enhance leadership of the site manager and build a consistent communication channel with subordinates in site manager’s own capacity. Ability to enhance capacity of subordinates Share accumulated experience and knowledge of the site manager with subordinates and creat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continuously. Ability to anticipate problems Participate in education programs in site manager’s private capacity and build a construction project data base and prediction system in company’s capacity. Ability to collect information for foreign operation Create and expand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 related to construction projects and acquire various methods to approach informa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