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정·검인정 미용 교과서에 제시된 수업목표를 내용-행동으로 이원 분류하여 행동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분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표에 따라 분류하여 수업목표가 어느 정도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다루고 있는가를 밝힌다. 또한 각 교과별, 국정·검인정 교과서별 경향성과 전반적인 미용과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표는 명사 형태의 지식 차원(knowledge dimension)의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정·검인정 미용 교과서에 제시된 수업목표를 내용-행동으로 이원 분류하여 행동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분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표에 따라 분류하여 수업목표가 어느 정도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다루고 있는가를 밝힌다. 또한 각 교과별, 국정·검인정 교과서별 경향성과 전반적인 미용과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표는 명사 형태의 지식 차원(knowledge dimension)의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 등의 하위 범주로 이루어져 있고 동사 형태의 인지과정 차원(cognitive process dimension)의 ‘기억하다’, ‘이해하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로 구성된 이차원 구조를 이룬다.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정·검인정 미용 교과서에 제시된 수업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표에 근거하여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의 국정·검인정 미용 교과서 수업목표를 이원 분류하여 행동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인지적 영역은 전체 수업목표 중 88.9%를 차지하고, 정의적 영역은 3.8%, 운동 기능적 영역은 7.3%로 인지적 영역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세 영역의 수업목표가 형평성 있게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 헤어 미용(91개), 피부 관리(73개), 공중 보건·소독 및 전염병학(118개)의 각 교과별에 진술되어 있는 수업목표는 지식 차원의 사실적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의 ‘이해하다’에 편중되어 있었다. 나머지 영역들의 수업목표 진술 빈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정·검인정 미용 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수업목표는 지식 차원의 사실적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의 ‘이해하다’에 편중되어 있었다. 전체 280개의 수업목표 중 사실적 지식이 67.5%, ‘이해하다’ 범주에 속하는 수업목표가 86.8%의 비율로 나타났고 국정 교과서보다 검인정 교과서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이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지식과 고등 사고를 획득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지식 차원의 범주들과 인지과정 차원의 범주들이 균형적인 내용 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학습자들이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고등 사고를 개발할 수 있도록 인지과정 차원의 ‘이해하다’ 범주에 속하는 수업목표를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또는 ‘창안하다’ 범주와 연관된 수업목표로 재 진술 하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정·검인정 미용 교과서에 제시된 수업목표를 내용-행동으로 이원 분류하여 행동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분포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표에 따라 분류하여 수업목표가 어느 정도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을 다루고 있는가를 밝힌다. 또한 각 교과별, 국정·검인정 교과서별 경향성과 전반적인 미용과의 경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표는 명사 형태의 지식 차원(knowledge dimension)의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메타인지 지식 등의 하위 범주로 이루어져 있고 동사 형태의 인지과정 차원(cognitive process dimension)의 ‘기억하다’, ‘이해하다’,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창안하다’로 구성된 이차원 구조를 이룬다.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정·검인정 미용 교과서에 제시된 수업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 표에 근거하여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의 국정·검인정 미용 교과서 수업목표를 이원 분류하여 행동을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인지적 영역은 전체 수업목표 중 88.9%를 차지하고, 정의적 영역은 3.8%, 운동 기능적 영역은 7.3%로 인지적 영역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세 영역의 수업목표가 형평성 있게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 헤어 미용(91개), 피부 관리(73개), 공중 보건·소독 및 전염병학(118개)의 각 교과별에 진술되어 있는 수업목표는 지식 차원의 사실적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의 ‘이해하다’에 편중되어 있었다. 나머지 영역들의 수업목표 진술 빈도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제 7차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정·검인정 미용 교과서에 진술되어 있는 수업목표는 지식 차원의 사실적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의 ‘이해하다’에 편중되어 있었다. 전체 280개의 수업목표 중 사실적 지식이 67.5%, ‘이해하다’ 범주에 속하는 수업목표가 86.8%의 비율로 나타났고 국정 교과서보다 검인정 교과서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이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지식과 고등 사고를 획득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지식 차원의 범주들과 인지과정 차원의 범주들이 균형적인 내용 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학습자들이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고등 사고를 개발할 수 있도록 인지과정 차원의 ‘이해하다’ 범주에 속하는 수업목표를 ‘적용하다’, ‘분석하다’, ‘평가하다’ 또는 ‘창안하다’ 범주와 연관된 수업목표로 재 진술 하는 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the distributed characteristics about the educational objectives stating in two types of high school textbooks-7th revised government-designed textbook and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for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by analysing objectives with content and be...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the distributed characteristics about the educational objectives stating in two types of high school textbooks-7th revised government-designed textbook and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for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by analysing objectives with content and behaviour dual classification for the behaviour types. Moreover, this research compares how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 effects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among the level of acknowledgement and the level of cognition process. Furthermore, this research also indicates the tendency of each subjects in government-designed textbooks and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and the tendency of general beauty care.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 is divided into two parts: Noun type for knowledge dimension and verb type for cognitive process dimension. Knowledge dimension is divided into several knowledge such as factu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is two dimensional structured composing with 'remember', 'understand', 'apply', 'analyse', 'evaluate', and 'create'. The results of the analyzation for these two different types(government-designed and government authorized) of 7th revised high school textbooks' for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objectives by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 are described below. First of all, the analyzation of the objectives for these two types of 7th revised text books for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was done by dual classification with behavioral analysis. The cognition domains were the major with 88.9% proportion out of the whole educational objects, whereas affective domains were 3.8% proportion and physical functional domains were 7.3%proportion out of the whole educational objects.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ree objective domains are not evenly provided. Secondly, the objectives described in the subjects of the 7th revised beauty curriculum (91 of hair care, 73 of skin care, and 118 of public health, and disinfection and contagion) were lean too much toward to 'understand' of factual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The rest domains had low frequency description of educational objects. Thirdly, the 7th revised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of these two types of high school textbooks objectives were lean too much towards to 'understand' of factual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There were 67.5% proportioned objectives of factual knowledge out of 280 objectives and 86.8% proportioned objectives were considered to be 'understand' area, then it tends to happen more in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than government-designed textbook. It could disrupt adopting various knowledge or higher education for the learners, so that it is needed to consider re-structuring fields for knowledge and cognition process. Restating objectives in 'understand' of factual knowledge to 'apply', 'analyse', 'evaluate' or 'create' of the related field is also necessary from teachers or educational providers.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the distributed characteristics about the educational objectives stating in two types of high school textbooks-7th revised government-designed textbook and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for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by analysing objectives with content and behaviour dual classification for the behaviour types. Moreover, this research compares how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 effects on the educational objectives among the level of acknowledgement and the level of cognition process. Furthermore, this research also indicates the tendency of each subjects in government-designed textbooks and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and the tendency of general beauty care.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 is divided into two parts: Noun type for knowledge dimension and verb type for cognitive process dimension. Knowledge dimension is divided into several knowledge such as factu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procedur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is two dimensional structured composing with 'remember', 'understand', 'apply', 'analyse', 'evaluate', and 'create'. The results of the analyzation for these two different types(government-designed and government authorized) of 7th revised high school textbooks' for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objectives by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 are described below. First of all, the analyzation of the objectives for these two types of 7th revised text books for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was done by dual classification with behavioral analysis. The cognition domains were the major with 88.9% proportion out of the whole educational objects, whereas affective domains were 3.8% proportion and physical functional domains were 7.3%proportion out of the whole educational objects.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ree objective domains are not evenly provided. Secondly, the objectives described in the subjects of the 7th revised beauty curriculum (91 of hair care, 73 of skin care, and 118 of public health, and disinfection and contagion) were lean too much toward to 'understand' of factual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The rest domains had low frequency description of educational objects. Thirdly, the 7th revised beauty department curriculum of these two types of high school textbooks objectives were lean too much towards to 'understand' of factual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There were 67.5% proportioned objectives of factual knowledge out of 280 objectives and 86.8% proportioned objectives were considered to be 'understand' area, then it tends to happen more in government-authorized textbooks than government-designed textbook. It could disrupt adopting various knowledge or higher education for the learners, so that it is needed to consider re-structuring fields for knowledge and cognition process. Restating objectives in 'understand' of factual knowledge to 'apply', 'analyse', 'evaluate' or 'create' of the related field is also necessary from teachers or educational provider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