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에 대한 관심도와 우려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서 소비자들이 매우 민감하고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도 HACCP제도 등 다양한 식품안전관리시스템을 보급하여 식품산업의 위생 수준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이물과 같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을 하고 해결해야 하는지가 산업계의 직면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HACCP제도와 이물 관리 제도를 연구하...
식품에 대한 관심도와 우려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서 소비자들이 매우 민감하고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도 HACCP제도 등 다양한 식품안전관리시스템을 보급하여 식품산업의 위생 수준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이물과 같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을 하고 해결해야 하는지가 산업계의 직면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HACCP제도와 이물 관리 제도를 연구하고, HACCP적용업소에 대한 지정 전․후의 이물관리 실태조사 데이타의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안 하였다.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업소가 HACCP지정 전보다는 지정 후 이물관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도 이물 관리 제도를 독립적으로 판단하고 별도의 체계를 갖추기보다 기존의 HACCP제도를 통해서 이물 관리 제도를 개선, 발전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현재 이물관리사항을 국가에 보고하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제도 개선은 필요할 것이나, 민간기업차원에서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식품에 대한 관심도와 우려가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서 소비자들이 매우 민감하고 즉각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도 HACCP제도 등 다양한 식품안전관리시스템을 보급하여 식품산업의 위생 수준 향상을 위해 노력해 왔다. 하지만 이물과 같이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접근을 하고 해결해야 하는지가 산업계의 직면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HACCP제도와 이물 관리 제도를 연구하고, HACCP적용업소에 대한 지정 전․후의 이물관리 실태조사 데이타의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제안 하였다. 실태조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업소가 HACCP지정 전보다는 지정 후 이물관리를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정부에서도 이물 관리 제도를 독립적으로 판단하고 별도의 체계를 갖추기보다 기존의 HACCP제도를 통해서 이물 관리 제도를 개선, 발전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현재 이물관리사항을 국가에 보고하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유일하다.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제도 개선은 필요할 것이나, 민간기업차원에서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보다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In Korea, the level of consumer interest in or concern for food is rather hig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consumers tend to react to any emerging food safety risks in a very sensitive and prompt way. Korean food safety authorities have always strived to improve sanitation and hygiene in the dom...
In Korea, the level of consumer interest in or concern for food is rather hig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consumers tend to react to any emerging food safety risks in a very sensitive and prompt way. Korean food safety authorities have always strived to improve sanitation and hygiene in the domestic food industry by providing various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s such as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hereinafter HACCP). However, among other thing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for the food industry is how to approach and solve food safety issues that inevitably arise during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foreign materials in food. The study looked into HACCP and foreign substance control systems being implemented in Korea, analysed data from researches on the status of foreign substance control for food in food businesses before and after HACCP designation, and suggested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food businesses controlled foreign materials more effectively after being granted HACCP designation. Therefore, this study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more effective for food safety authorities to improve and develop foreign substance control system using the current HACCP system rather than newly establishing separate and independent control systems. To date,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require private food businesses to report the status of foreign substance control to the government. Although technical improvements would be needed in the system, it is more appropriate and resonable for the system continue to be managed by private sectors on a voluntary basis.
In Korea, the level of consumer interest in or concern for food is rather hig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consumers tend to react to any emerging food safety risks in a very sensitive and prompt way. Korean food safety authorities have always strived to improve sanitation and hygiene in the domestic food industry by providing various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s such as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hereinafter HACCP). However, among other thing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for the food industry is how to approach and solve food safety issues that inevitably arise during manufacturing processes, such as foreign materials in food. The study looked into HACCP and foreign substance control systems being implemented in Korea, analysed data from researches on the status of foreign substance control for food in food businesses before and after HACCP designation, and suggested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of the food businesses controlled foreign materials more effectively after being granted HACCP designation. Therefore, this study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more effective for food safety authorities to improve and develop foreign substance control system using the current HACCP system rather than newly establishing separate and independent control systems. To date,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require private food businesses to report the status of foreign substance control to the government. Although technical improvements would be needed in the system, it is more appropriate and resonable for the system continue to be managed by private sectors on a voluntary bas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