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감들의 삶과 역할을 알아보고 교감들의 학교교육 현장에서 지위를 확보하고 역할수행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이 하는 일로 교감에게 직면한 특수한 환경과 모습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교감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탐색한다. 둘째, 교감과 주변사람들과의 관계로 교감이 교장과 교사의 중간에서 교장을 보좌하고, 구성원 상호간의 의견을 종합하여 교육 지원활동을 하면서 부딪히는 주변 인물과 실제적인 관계 특성을 분석하여 교감의 인간관계가 교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셋째, 학교경영 전반에 걸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교감이 느끼는 보람을 재조명하여 학교교육현장에서 성공적인 교감의 역할 탐색한다. 넷째, 학교경영의 일선에서 교감이 많은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서 오는 갈등 사례를 분석하여 교감의 역할 개선 방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층 면담 조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면담 대상자인 교감의 선정은 교감의 역할 수행에 도움을 주는 부장의 수에 따른 학교의 규모로 분류하고, 각 학교의 규모에 따라 남녀 교감을 각각 1명씩 선정하여 교감의 역할 수행이 남녀교감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고, 면담을 요청한 교감 가운데 부장이 2명인 11학급 이하의 학교와 부장이 4명인 12학급이상 17학급의 학교, 부장이 6명 이상인 18학급 이상의 학교의 교감을 면담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은 교육과정운영의 지도역할을 하나 교육과정운영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내포하지 못하고 중간에서 교장의 의중을 전달하는 데 그치며, 특히 소규모의 학교의 교감은 교육과정운영에 투입되는 인원이 적어 교감의 역할이 가중된다. 그리고 여자교감은 섬세하게, 남자교감들은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수업의 질 향상에 영향력을 발휘한다. 초등학교 교감은 변화촉진자로 교직사회의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로 조직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스스로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건설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선도한다. 둘째, 교감은 학교주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살펴보고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면 교사들과 협의하여 생활지도를 하지만, 체벌이나 편애가 민감한 사안으로 부각되면서 교감들의 업무가 더 늘었다. 생활지도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여자교감이 아동과 학부모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쉽다. 교감 업무 중 가장 어려운 일은 인사관리업무로 근무 성적 평정과 성과급 조정 업무 로 최근 교사의 다면평가 실시는 교감을 더 힘들게 한다. 시골학교의 교감들에게는 기간제 교사 임용도 어려운 업무 중의 하나이다. 이렇게 교감들은 자기만의 시간을 갖지 못하고 다양한 업무를 처리하고 학교경영을 위해 다양한 일을 수행하지만 낮은 인지도에 회의를 갖기도 한다. 셋째, 교장과의 관계에서 교감은 교장을 잘 보좌해야 한다는 강박감을 갖고 있으며 자신을 인정해 주는 교장을 선호한다. 학교경영에 강한 추진력을 갖고 있는 교감의 경우에는 간혹 교장과 의견 대립이 있으나, 대부분의 교감들은 학교장의 철학에 맞추려는 경향이 많다. 교감은 교사와의 관계에서 부장교사들에게 협조를 많이 받는다고 느끼며 더 호감을 갖는다. 특히 전교조 조합원이 없는 교사집단을 선호한다. 학부모와의 관계는 시골학교의 영세한 학부모들이지만 도시 공동화 지역의 학교보다 지원이 후하다. 규모가 큰 학교의 학부모들은 학교교육활동에 대한 관심이 큰 만큼 지원도 많지만 간섭도 많아져서 교감의 업무 부담이 크다. 넷째, 교감은 화목한 직장 분위기를 유지하여 타 학교로부터 부러움을 받고, 자신의 연구 노하우를 교사들에게 전수 해주면서 교사들과 신뢰 있는 관계를 만들어 교사들이 좋은 성과를 얻어 낼 때와 신규 교사의 지도 맨토링으로 차츰 학교에 적응하면서 자신의 일을 찾아 하는 모습을 보면서 보람을 갖는다. 그리고 교감은 구성원 모두 혼연일체가 되어 다양하고 복잡한 학교의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을 때와 학교 현장이 경직된 사회에서 열린사회로 전환되면서 민주적인 학교 풍토가 만들어 졌을 때도 보람을 느낀다. 교감은 변화하는 학교교육에 적극 대처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고 유관기관의 협조를 이끌어 내어 학교교육에 공헌을 하였다고 느낀다. 따라서 교감은 자신감을 갖고 학교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또 교감은 학교경영 전반적인 면에서 교장과 함께 추진하는데 대부분의 업적이 교장에게 돌아가지만 조직 구성원들이 행복을 느끼며 오고 싶은 학교, 머물고 싶은 학교로 만들어 졌을 때 자신의 꿈이 실현된 마음을 갖게 되어 행복해 한다. 다섯째, 교감들이 가장 갈등을 느끼는 부분은 매사에 비협조적인 교사들이 많을 때이다. 설득을 하고 회유를 해보기도 하지만 말을 잘 듣지 않고 고집을 세우는 교사들은 어쩔 도리가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감들은 이런 어려움을 회피하기 위해 교사 집단들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주길 바란다. 그리고 현 체제의 교감은 지위가 애매하기 때문에 교육현장 어떤 자리에서나 당당하지 못한 존재로 느끼고 있는 것이 가장 큰 갈등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감의 삶과 역할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의 교감은 법령에 정하여져 있는 규정에 의해 학교조직의 경영관리자로 학교의 중요한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감들의 삶과 역할을 알아보고 교감들의 학교교육 현장에서 지위를 확보하고 역할수행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이 하는 일로 교감에게 직면한 특수한 환경과 모습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교감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탐색한다. 둘째, 교감과 주변사람들과의 관계로 교감이 교장과 교사의 중간에서 교장을 보좌하고, 구성원 상호간의 의견을 종합하여 교육 지원활동을 하면서 부딪히는 주변 인물과 실제적인 관계 특성을 분석하여 교감의 인간관계가 교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셋째, 학교경영 전반에 걸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교감이 느끼는 보람을 재조명하여 학교교육현장에서 성공적인 교감의 역할 탐색한다. 넷째, 학교경영의 일선에서 교감이 많은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서 오는 갈등 사례를 분석하여 교감의 역할 개선 방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층 면담 조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면담 대상자인 교감의 선정은 교감의 역할 수행에 도움을 주는 부장의 수에 따른 학교의 규모로 분류하고, 각 학교의 규모에 따라 남녀 교감을 각각 1명씩 선정하여 교감의 역할 수행이 남녀교감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고, 면담을 요청한 교감 가운데 부장이 2명인 11학급 이하의 학교와 부장이 4명인 12학급이상 17학급의 학교, 부장이 6명 이상인 18학급 이상의 학교의 교감을 면담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은 교육과정운영의 지도역할을 하나 교육과정운영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내포하지 못하고 중간에서 교장의 의중을 전달하는 데 그치며, 특히 소규모의 학교의 교감은 교육과정운영에 투입되는 인원이 적어 교감의 역할이 가중된다. 그리고 여자교감은 섬세하게, 남자교감들은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수업의 질 향상에 영향력을 발휘한다. 초등학교 교감은 변화촉진자로 교직사회의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로 조직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스스로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건설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선도한다. 둘째, 교감은 학교주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살펴보고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면 교사들과 협의하여 생활지도를 하지만, 체벌이나 편애가 민감한 사안으로 부각되면서 교감들의 업무가 더 늘었다. 생활지도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여자교감이 아동과 학부모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쉽다. 교감 업무 중 가장 어려운 일은 인사관리업무로 근무 성적 평정과 성과급 조정 업무 로 최근 교사의 다면평가 실시는 교감을 더 힘들게 한다. 시골학교의 교감들에게는 기간제 교사 임용도 어려운 업무 중의 하나이다. 이렇게 교감들은 자기만의 시간을 갖지 못하고 다양한 업무를 처리하고 학교경영을 위해 다양한 일을 수행하지만 낮은 인지도에 회의를 갖기도 한다. 셋째, 교장과의 관계에서 교감은 교장을 잘 보좌해야 한다는 강박감을 갖고 있으며 자신을 인정해 주는 교장을 선호한다. 학교경영에 강한 추진력을 갖고 있는 교감의 경우에는 간혹 교장과 의견 대립이 있으나, 대부분의 교감들은 학교장의 철학에 맞추려는 경향이 많다. 교감은 교사와의 관계에서 부장교사들에게 협조를 많이 받는다고 느끼며 더 호감을 갖는다. 특히 전교조 조합원이 없는 교사집단을 선호한다. 학부모와의 관계는 시골학교의 영세한 학부모들이지만 도시 공동화 지역의 학교보다 지원이 후하다. 규모가 큰 학교의 학부모들은 학교교육활동에 대한 관심이 큰 만큼 지원도 많지만 간섭도 많아져서 교감의 업무 부담이 크다. 넷째, 교감은 화목한 직장 분위기를 유지하여 타 학교로부터 부러움을 받고, 자신의 연구 노하우를 교사들에게 전수 해주면서 교사들과 신뢰 있는 관계를 만들어 교사들이 좋은 성과를 얻어 낼 때와 신규 교사의 지도 맨토링으로 차츰 학교에 적응하면서 자신의 일을 찾아 하는 모습을 보면서 보람을 갖는다. 그리고 교감은 구성원 모두 혼연일체가 되어 다양하고 복잡한 학교의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을 때와 학교 현장이 경직된 사회에서 열린사회로 전환되면서 민주적인 학교 풍토가 만들어 졌을 때도 보람을 느낀다. 교감은 변화하는 학교교육에 적극 대처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고 유관기관의 협조를 이끌어 내어 학교교육에 공헌을 하였다고 느낀다. 따라서 교감은 자신감을 갖고 학교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또 교감은 학교경영 전반적인 면에서 교장과 함께 추진하는데 대부분의 업적이 교장에게 돌아가지만 조직 구성원들이 행복을 느끼며 오고 싶은 학교, 머물고 싶은 학교로 만들어 졌을 때 자신의 꿈이 실현된 마음을 갖게 되어 행복해 한다. 다섯째, 교감들이 가장 갈등을 느끼는 부분은 매사에 비협조적인 교사들이 많을 때이다. 설득을 하고 회유를 해보기도 하지만 말을 잘 듣지 않고 고집을 세우는 교사들은 어쩔 도리가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감들은 이런 어려움을 회피하기 위해 교사 집단들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주길 바란다. 그리고 현 체제의 교감은 지위가 애매하기 때문에 교육현장 어떤 자리에서나 당당하지 못한 존재로 느끼고 있는 것이 가장 큰 갈등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감의 삶과 역할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의 교감은 법령에 정하여져 있는 규정에 의해 학교조직의 경영관리자로 학교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교사들의 교육활동을 지도하는 위치에 있으나 궂은 일 뒷바라지가 주 업무로 보아는 등 권한이 별로 없고 상하로 압력을 받는 샌드위치로 표현된다. 교감이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감의 일을 도와주는 구성원을 잘 만나야 한다. 그러나 교감은 학교교육현장에서 중추적인 존재이다. 따라서 단순한 조정자보다는 창조적인 지도자로, 순간적인 대응보다는 선견적이고 창조적인 사고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창안해 낡은 틀을 깨고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교감은 구성원들로부터 가치를 인정받으려면 학교교육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조직원 개개인을 전인격적으로 대함으로 평등주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신뢰를 기초로 재량권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감들의 삶과 역할을 알아보고 교감들의 학교교육 현장에서 지위를 확보하고 역할수행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이 하는 일로 교감에게 직면한 특수한 환경과 모습을 살펴보고 그 속에서 교감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탐색한다. 둘째, 교감과 주변사람들과의 관계로 교감이 교장과 교사의 중간에서 교장을 보좌하고, 구성원 상호간의 의견을 종합하여 교육 지원활동을 하면서 부딪히는 주변 인물과 실제적인 관계 특성을 분석하여 교감의 인간관계가 교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다. 셋째, 학교경영 전반에 걸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교현장에서 실제로 교감이 느끼는 보람을 재조명하여 학교교육현장에서 성공적인 교감의 역할 탐색한다. 넷째, 학교경영의 일선에서 교감이 많은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서 오는 갈등 사례를 분석하여 교감의 역할 개선 방향을 알아본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층 면담 조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면담 대상자인 교감의 선정은 교감의 역할 수행에 도움을 주는 부장의 수에 따른 학교의 규모로 분류하고, 각 학교의 규모에 따라 남녀 교감을 각각 1명씩 선정하여 교감의 역할 수행이 남녀교감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고, 면담을 요청한 교감 가운데 부장이 2명인 11학급 이하의 학교와 부장이 4명인 12학급이상 17학급의 학교, 부장이 6명 이상인 18학급 이상의 학교의 교감을 면담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은 교육과정운영의 지도역할을 하나 교육과정운영에 대한 자신의 철학을 내포하지 못하고 중간에서 교장의 의중을 전달하는 데 그치며, 특히 소규모의 학교의 교감은 교육과정운영에 투입되는 인원이 적어 교감의 역할이 가중된다. 그리고 여자교감은 섬세하게, 남자교감들은 강한 추진력을 가지고 수업의 질 향상에 영향력을 발휘한다. 초등학교 교감은 변화촉진자로 교직사회의 변화를 정확하게 인식하고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로 조직을 발전시키기 위해서 스스로 변화된 모습을 보이고 건설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선도한다. 둘째, 교감은 학교주변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살펴보고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면 교사들과 협의하여 생활지도를 하지만, 체벌이나 편애가 민감한 사안으로 부각되면서 교감들의 업무가 더 늘었다. 생활지도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여자교감이 아동과 학부모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쉽다. 교감 업무 중 가장 어려운 일은 인사관리업무로 근무 성적 평정과 성과급 조정 업무 로 최근 교사의 다면평가 실시는 교감을 더 힘들게 한다. 시골학교의 교감들에게는 기간제 교사 임용도 어려운 업무 중의 하나이다. 이렇게 교감들은 자기만의 시간을 갖지 못하고 다양한 업무를 처리하고 학교경영을 위해 다양한 일을 수행하지만 낮은 인지도에 회의를 갖기도 한다. 셋째, 교장과의 관계에서 교감은 교장을 잘 보좌해야 한다는 강박감을 갖고 있으며 자신을 인정해 주는 교장을 선호한다. 학교경영에 강한 추진력을 갖고 있는 교감의 경우에는 간혹 교장과 의견 대립이 있으나, 대부분의 교감들은 학교장의 철학에 맞추려는 경향이 많다. 교감은 교사와의 관계에서 부장교사들에게 협조를 많이 받는다고 느끼며 더 호감을 갖는다. 특히 전교조 조합원이 없는 교사집단을 선호한다. 학부모와의 관계는 시골학교의 영세한 학부모들이지만 도시 공동화 지역의 학교보다 지원이 후하다. 규모가 큰 학교의 학부모들은 학교교육활동에 대한 관심이 큰 만큼 지원도 많지만 간섭도 많아져서 교감의 업무 부담이 크다. 넷째, 교감은 화목한 직장 분위기를 유지하여 타 학교로부터 부러움을 받고, 자신의 연구 노하우를 교사들에게 전수 해주면서 교사들과 신뢰 있는 관계를 만들어 교사들이 좋은 성과를 얻어 낼 때와 신규 교사의 지도 맨토링으로 차츰 학교에 적응하면서 자신의 일을 찾아 하는 모습을 보면서 보람을 갖는다. 그리고 교감은 구성원 모두 혼연일체가 되어 다양하고 복잡한 학교의 행사를 성공적으로 마쳤을 때와 학교 현장이 경직된 사회에서 열린사회로 전환되면서 민주적인 학교 풍토가 만들어 졌을 때도 보람을 느낀다. 교감은 변화하는 학교교육에 적극 대처하여 새로운 정보를 얻고 유관기관의 협조를 이끌어 내어 학교교육에 공헌을 하였다고 느낀다. 따라서 교감은 자신감을 갖고 학교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게 된다. 또 교감은 학교경영 전반적인 면에서 교장과 함께 추진하는데 대부분의 업적이 교장에게 돌아가지만 조직 구성원들이 행복을 느끼며 오고 싶은 학교, 머물고 싶은 학교로 만들어 졌을 때 자신의 꿈이 실현된 마음을 갖게 되어 행복해 한다. 다섯째, 교감들이 가장 갈등을 느끼는 부분은 매사에 비협조적인 교사들이 많을 때이다. 설득을 하고 회유를 해보기도 하지만 말을 잘 듣지 않고 고집을 세우는 교사들은 어쩔 도리가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감들은 이런 어려움을 회피하기 위해 교사 집단들이 자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주길 바란다. 그리고 현 체제의 교감은 지위가 애매하기 때문에 교육현장 어떤 자리에서나 당당하지 못한 존재로 느끼고 있는 것이 가장 큰 갈등이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감의 삶과 역할에 대한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의 교감은 법령에 정하여져 있는 규정에 의해 학교조직의 경영관리자로 학교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교사들의 교육활동을 지도하는 위치에 있으나 궂은 일 뒷바라지가 주 업무로 보아는 등 권한이 별로 없고 상하로 압력을 받는 샌드위치로 표현된다. 교감이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감의 일을 도와주는 구성원을 잘 만나야 한다. 그러나 교감은 학교교육현장에서 중추적인 존재이다. 따라서 단순한 조정자보다는 창조적인 지도자로, 순간적인 대응보다는 선견적이고 창조적인 사고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창안해 낡은 틀을 깨고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교감은 구성원들로부터 가치를 인정받으려면 학교교육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하며, 조직원 개개인을 전인격적으로 대함으로 평등주의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신뢰를 기초로 재량권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This study keeps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lives and roles of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securing the status of the vice-principal at the school education site, and improving the role of the vice-principal.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tasks were set: 1. Examination of the u...
This study keeps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lives and roles of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securing the status of the vice-principal at the school education site, and improving the role of the vice-principal.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tasks were set: 1. Examination of the unique environment the vice-principal faces in his/her line of work and exploration of the vice-principal's role under such environment. 2. Analysis of the actual relationships the vice-principal has with the principal, teachers, and other persons in the environment and exploration of the effects the vice-principal's interpersonal relations has on his/her life. 3. Exploration of the role of a successful vice-principal by shedding light on the vice principal's role in the overall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satisfaction felt. 4. Presentation of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role of the vice-principal by analyzing the difficulties vice-principals face during school administration. In-depth face-to-face interview was opted for in completing the above tasks, and the interviewees (vice-principals) were selected based on school scale and sex. To clarify, school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scales based on the number of department heads (assists the vice-principal) and then,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vice-principals in their work performance, one male and one female vice-principa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chool's scale. Interviews were then conducted on vice-principals of schools with eleven or less grades (two department heads), with twelve or more but less than seventeen grades (four department heads), and with eighteen or more grades (six or more department heads). The above research method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vice-principals do perform a teaching role in the course of school operation but are unable to integrate their own philosophies in the process. In addition, vice-principals are limited to conveying the intents and thoughts of the principal as the middleman. In smaller scale schools, in particular, the vice-principal's role has been aggravated due to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ersonnel assigned to curriculum operation is limited. However, female vice-principals approach class quality improvement with subtlety, whereas male vice-principals approach with a strong sense of drive. As change agents who correctly understand and are willing to proactively accommodate change in the faculty,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are exhibiting changes in themselves and actively leading constructive changes for the betterment of the organization. Second, vice-principals keep interest in issues from the school vicinity and confer with the teachers when a new problem arises but transformation of corporal punishment and favoritism into sensitive topics have increase the workload for vice-principals. Addressing guidance issues is easier for female vice-principals because they have easier access to student parents. The most difficult task for vice-principals is personnel management, including work performance evaluation and bonus adjustment. In addition, the recently implemented multi-faceted teacher evaluation program have made life even more difficult for vice-principals. For vice-principals of rural schools, employment of contract-based teachers is also a difficult task. As such, vice-principals are forced to take on many responsibilities that do not afford them time to call their own and perform various school administration affairs, but they also hold low recognition level conferences. Third,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e-principals and the principals at their schools, vice-principals feel compelled to be apt at assisting the principal and generally prefer principals who give them recognition. In the case of vice-principals with a strong sense of drive in matters related to school administration, there are at times disagreements with the principal but they for the most part attempt to cater to the philosophy of the principal. In terms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t the school, vice-principals generally feel they receive more cooperation from department heads and in turn have amicable feelings for them. In particular, vice-principals prefer faculties that do not have a school-wide teacher's associations. When it comes to relationships with student parents, parents of students at rural schools provide more generous support than urban school parents. Parents of students attending large scale schools have greater interest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and accordingly provide large support, but their interference is just as severe and results in greater workload for the vice-principal. Fourth, vice-principal feel rewarded when they gain the envy of other schools by maintaining a peaceful workplace environment, when they form relationships of trust with their teachers by passing on their own knowledge to the teachers and the teachers thereby achieve favorable results, and when they are able to mentor new teachers into the new environment. In addition, vice-principals also feel rewarded when all the members of the school faculty become one to successfully accomplish diverse and complex school events and when the school converts from a rigid social structure to an open one in forming a democratic school environment. Vice-principals feel that they are contributing to school education by responding proactively to changes in school education to gain new information and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concerned organizations. Therefore, vice-principals come to take on the role of a confident leader whose job it is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school education. Although the principal gets to take credit for most of school administration achievements despite the vice-principle's role in that process, vice principals find joy in feeling that they have built a school the faculty staff feels happy at, looks forward to coming to, and wants to stay at. Fifth, the source of greatest frustration for vice-principals is when there are many uncooperative teachers on staff. Vice-principals attempt to convince and even appease such problematic teachers, but there isn't much that can be done on teachers who outright refuse to listen or compromise. However, most vice-principals push for teachers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s a way to avoid such conflicts. And, because the status of the vice-principal is vague under the current faculty hierarchy, not being able to feel valued at the school is another source of frustration for vice-principals. Conclusion from this study on the lives and roles of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are as follows: As prescribed by the law, the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 is a faculty administrator who partakes in important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who guides teaching activities of the teachers. The vice-principal is, however, seen as someone whose sole job is to support others without any authority and as someone stuck between pressures applied from both above and beneath him/her. In order for the vice-principal to perform his/her role to the fullest, he/she needs to meet a supportive faculty staff. However, the vice-principal is a pivotal character in our schools. Accordingly, the vice-principal must break through the old frame and pursue new developments by going beyond the role of a simple mediator and taking on the role of a creative leader capable of generating innovative ideas. In order for the vice-principal to have their value recognized by the faculty, they must be capable of participating in school education in a self-initiated and proactive manner and address individual faculty members on a very personal level to form an equality-oriented school atmosphere in acquiring discretionary authority based on trust.
This study keeps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lives and roles of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securing the status of the vice-principal at the school education site, and improving the role of the vice-principal.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tasks were set: 1. Examination of the unique environment the vice-principal faces in his/her line of work and exploration of the vice-principal's role under such environment. 2. Analysis of the actual relationships the vice-principal has with the principal, teachers, and other persons in the environment and exploration of the effects the vice-principal's interpersonal relations has on his/her life. 3. Exploration of the role of a successful vice-principal by shedding light on the vice principal's role in the overall school administration and the satisfaction felt. 4. Presentation of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role of the vice-principal by analyzing the difficulties vice-principals face during school administration. In-depth face-to-face interview was opted for in completing the above tasks, and the interviewees (vice-principals) were selected based on school scale and sex. To clarify, school were classified into different scales based on the number of department heads (assists the vice-principal) and then,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vice-principals in their work performance, one male and one female vice-principa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school's scale. Interviews were then conducted on vice-principals of schools with eleven or less grades (two department heads), with twelve or more but less than seventeen grades (four department heads), and with eighteen or more grades (six or more department heads). The above research method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vice-principals do perform a teaching role in the course of school operation but are unable to integrate their own philosophies in the process. In addition, vice-principals are limited to conveying the intents and thoughts of the principal as the middleman. In smaller scale schools, in particular, the vice-principal's role has been aggravated due to the fact that the number of personnel assigned to curriculum operation is limited. However, female vice-principals approach class quality improvement with subtlety, whereas male vice-principals approach with a strong sense of drive. As change agents who correctly understand and are willing to proactively accommodate change in the faculty,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are exhibiting changes in themselves and actively leading constructive changes for the betterment of the organization. Second, vice-principals keep interest in issues from the school vicinity and confer with the teachers when a new problem arises but transformation of corporal punishment and favoritism into sensitive topics have increase the workload for vice-principals. Addressing guidance issues is easier for female vice-principals because they have easier access to student parents. The most difficult task for vice-principals is personnel management, including work performance evaluation and bonus adjustment. In addition, the recently implemented multi-faceted teacher evaluation program have made life even more difficult for vice-principals. For vice-principals of rural schools, employment of contract-based teachers is also a difficult task. As such, vice-principals are forced to take on many responsibilities that do not afford them time to call their own and perform various school administration affairs, but they also hold low recognition level conferences. Third,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ce-principals and the principals at their schools, vice-principals feel compelled to be apt at assisting the principal and generally prefer principals who give them recognition. In the case of vice-principals with a strong sense of drive in matters related to school administration, there are at times disagreements with the principal but they for the most part attempt to cater to the philosophy of the principal. In terms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t the school, vice-principals generally feel they receive more cooperation from department heads and in turn have amicable feelings for them. In particular, vice-principals prefer faculties that do not have a school-wide teacher's associations. When it comes to relationships with student parents, parents of students at rural schools provide more generous support than urban school parents. Parents of students attending large scale schools have greater interest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and accordingly provide large support, but their interference is just as severe and results in greater workload for the vice-principal. Fourth, vice-principal feel rewarded when they gain the envy of other schools by maintaining a peaceful workplace environment, when they form relationships of trust with their teachers by passing on their own knowledge to the teachers and the teachers thereby achieve favorable results, and when they are able to mentor new teachers into the new environment. In addition, vice-principals also feel rewarded when all the members of the school faculty become one to successfully accomplish diverse and complex school events and when the school converts from a rigid social structure to an open one in forming a democratic school environment. Vice-principals feel that they are contributing to school education by responding proactively to changes in school education to gain new information and promoting cooperation between concerned organizations. Therefore, vice-principals come to take on the role of a confident leader whose job it is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school education. Although the principal gets to take credit for most of school administration achievements despite the vice-principle's role in that process, vice principals find joy in feeling that they have built a school the faculty staff feels happy at, looks forward to coming to, and wants to stay at. Fifth, the source of greatest frustration for vice-principals is when there are many uncooperative teachers on staff. Vice-principals attempt to convince and even appease such problematic teachers, but there isn't much that can be done on teachers who outright refuse to listen or compromise. However, most vice-principals push for teachers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s a way to avoid such conflicts. And, because the status of the vice-principal is vague under the current faculty hierarchy, not being able to feel valued at the school is another source of frustration for vice-principals. Conclusion from this study on the lives and roles of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s are as follows: As prescribed by the law, the elementary school vice-principal is a faculty administrator who partakes in important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who guides teaching activities of the teachers. The vice-principal is, however, seen as someone whose sole job is to support others without any authority and as someone stuck between pressures applied from both above and beneath him/her. In order for the vice-principal to perform his/her role to the fullest, he/she needs to meet a supportive faculty staff. However, the vice-principal is a pivotal character in our schools. Accordingly, the vice-principal must break through the old frame and pursue new developments by going beyond the role of a simple mediator and taking on the role of a creative leader capable of generating innovative ideas. In order for the vice-principal to have their value recognized by the faculty, they must be capable of participating in school education in a self-initiated and proactive manner and address individual faculty members on a very personal level to form an equality-oriented school atmosphere in acquiring discretionary authority based on trus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