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아름다움은 모든 예술분야의 모태가 되어왔고 트렌드를 반영하며 독창적인 많은 예술작품들을 창조하여 왔다. 특히 최근에는 자연주의, 에콜로지의 관심과 연구가 많아졌고 90년대 초반에는 환경보호, 자연으로의 회귀를 강조하는 순수 자연이미지의 에콜로지 중심의 고찰이 많았으나 90년대 후반에는 기술적 측면과 자연적 측면이 함께 강조되는 뉴 에콜로지 경향이 많아졌다. 이러한 고찰과 함께 자연에서 이미지로 활용한 디자인과 문화상품이 관심을 받고 있으며 많은 작가들이 자연과 인간의 감성을 접목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창적이며 희소성이 있는 자연의 이미지를 개발하여 디자인에 활용하기 위한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형태의 변화가 다양하며 디자인 활용도가 높은 조개를 이미지로 선정하였다. 자연물 중에서 조개는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독창적인 가방 디자인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가방의 사전적 의미는 소량의 물건을 휴대하거나 운반하기 위한 도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현대에는 가방이 단지 소지품을 넣기 위한 기능적인 면이 아니라 독특한 소재나 디자인을 이용하여 보다 감각적이고 개성을 강조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능이나 역할이 다양화, 고급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개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형태미를 살리고 창의적이고 조형성이 강조된 가방디자인을 제작하기 위하여 조개의 이미지에서 나타난 형태와 반복적인 선과 색상을 입체적이며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였으며 조형적이며 작품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창의적이며 독창적인 가방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개의 형태, 질감 및 색상에서 표현된 다양한 이미지들로 구성하여 상업성이 강조된 대중적인 가방 디자인과 작품성이 강조된 가방디자인 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1장에서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내용에 관하여 논하였으며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가방의 일반적 고찰과 조개의 일반적 고찰로 나누었으며 가방의 정의, 역사를 알아보고 가방종류 및 조개의 종류, 조개의 조형적 형태, 질감 및 색상으로 분류 하였다. 가방은 소재, 생활스타일, 착용방법, 형태로 분류하였다. 조개는 부족강(이미패강), 복족강, 두족강, 다판강(쌍신경강), 굴족강의 5가지 강으로 분류하였다. 조개의 조형적 형태는 타원형, 원추형, 심장형, 난형, 나선형, 삿갓형, 방추형, 송곳형, 탑형, 주판알형, 구형, 삼각형으로 12형태로 분류하여 알아보았고 조개의 조형적 질감과 조개의 색상들은 ...
자연의 아름다움은 모든 예술분야의 모태가 되어왔고 트렌드를 반영하며 독창적인 많은 예술작품들을 창조하여 왔다. 특히 최근에는 자연주의, 에콜로지의 관심과 연구가 많아졌고 90년대 초반에는 환경보호, 자연으로의 회귀를 강조하는 순수 자연이미지의 에콜로지 중심의 고찰이 많았으나 90년대 후반에는 기술적 측면과 자연적 측면이 함께 강조되는 뉴 에콜로지 경향이 많아졌다. 이러한 고찰과 함께 자연에서 이미지로 활용한 디자인과 문화상품이 관심을 받고 있으며 많은 작가들이 자연과 인간의 감성을 접목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창적이며 희소성이 있는 자연의 이미지를 개발하여 디자인에 활용하기 위한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형태의 변화가 다양하며 디자인 활용도가 높은 조개를 이미지로 선정하였다. 자연물 중에서 조개는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독창적인 가방 디자인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가방의 사전적 의미는 소량의 물건을 휴대하거나 운반하기 위한 도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현대에는 가방이 단지 소지품을 넣기 위한 기능적인 면이 아니라 독특한 소재나 디자인을 이용하여 보다 감각적이고 개성을 강조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능이나 역할이 다양화, 고급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개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형태미를 살리고 창의적이고 조형성이 강조된 가방디자인을 제작하기 위하여 조개의 이미지에서 나타난 형태와 반복적인 선과 색상을 입체적이며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였으며 조형적이며 작품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창의적이며 독창적인 가방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개의 형태, 질감 및 색상에서 표현된 다양한 이미지들로 구성하여 상업성이 강조된 대중적인 가방 디자인과 작품성이 강조된 가방디자인 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1장에서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내용에 관하여 논하였으며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가방의 일반적 고찰과 조개의 일반적 고찰로 나누었으며 가방의 정의, 역사를 알아보고 가방종류 및 조개의 종류, 조개의 조형적 형태, 질감 및 색상으로 분류 하였다. 가방은 소재, 생활스타일, 착용방법, 형태로 분류하였다. 조개는 부족강(이미패강), 복족강, 두족강, 다판강(쌍신경강), 굴족강의 5가지 강으로 분류하였다. 조개의 조형적 형태는 타원형, 원추형, 심장형, 난형, 나선형, 삿갓형, 방추형, 송곳형, 탑형, 주판알형, 구형, 삼각형으로 12형태로 분류하여 알아보았고 조개의 조형적 질감과 조개의 색상들은 주조색과 보조색, 그라데이션색 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조개이미지를 응용한 조형적인 디자인 사례로 조개 제품과 액세서리(브로치, 귀걸이, 반지, 목걸이, 모자, 구두), 의상, 가구, 건축, 가방 디자인을 국·내외 문헌자료와 인터넷자료를 통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조개이미지의 조형성을 이용하여 상업성이 강조된 대중적인 가방디자인 3점과 작품성이 강조된 가방디자인 3점으로 총 6점을 제작하였고 가방의 형태, 모티브, 색채, 소재, 제작기법 등을 중심으로 작품에 대한 해설을 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작품 제작을 하여 얻은 결론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첫째, 조개에서 나타난 반복적인 선의 리듬감과 율동감을 주는 미(美)적인 요소는 조형적인 가방디자인으로 표현하기에 활용도가 높았다. 둘째, 조개의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인 곡선과 직선을 반복적인 배열을 통하여 가죽의 부드러운 재질감의 장점을 살려서 자연스러운 주름기법과 패딩누빔기법, 턱기법 으로 표현하여, 제작 함 으로써 조개의 질감을 입체적으로 표현 할 수 있었다. 셋째, 조개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가방에 재구성하는 과정에 나타난 조개에서 나타난 색상은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며 여성용 가방으로 제작하기에 적합 하였다. 넷째, 조개의 아름다운 조형적인 형태에서 나타난 유기적인 곡선의 아르누보 양식은 여성용 가방으로 무한한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으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디자인으로 개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조개의 이미지 에서 나타나는 유기적인 형태와 다양한 선의 반복적인 형태 특징과 아름다운색상은 조형적이며 창의적이고,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독창적인 가방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조개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조형적인 형태와 질감 및 색상은, 현대적인 감각의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가방디자인으로 응용하기에 적합하였다. 앞으로 조개의 이미지를 다룬 다양한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하며 현대인의 정서에 맞게 다양한 조개문양 패턴의 가방디자인이 다양한 과학기술로 인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자연의 아름다움은 모든 예술분야의 모태가 되어왔고 트렌드를 반영하며 독창적인 많은 예술작품들을 창조하여 왔다. 특히 최근에는 자연주의, 에콜로지의 관심과 연구가 많아졌고 90년대 초반에는 환경보호, 자연으로의 회귀를 강조하는 순수 자연이미지의 에콜로지 중심의 고찰이 많았으나 90년대 후반에는 기술적 측면과 자연적 측면이 함께 강조되는 뉴 에콜로지 경향이 많아졌다. 이러한 고찰과 함께 자연에서 이미지로 활용한 디자인과 문화상품이 관심을 받고 있으며 많은 작가들이 자연과 인간의 감성을 접목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창적이며 희소성이 있는 자연의 이미지를 개발하여 디자인에 활용하기 위한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형태의 변화가 다양하며 디자인 활용도가 높은 조개를 이미지로 선정하였다. 자연물 중에서 조개는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독창적인 가방 디자인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하다. 가방의 사전적 의미는 소량의 물건을 휴대하거나 운반하기 위한 도구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현대에는 가방이 단지 소지품을 넣기 위한 기능적인 면이 아니라 독특한 소재나 디자인을 이용하여 보다 감각적이고 개성을 강조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능이나 역할이 다양화, 고급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조개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형태미를 살리고 창의적이고 조형성이 강조된 가방디자인을 제작하기 위하여 조개의 이미지에서 나타난 형태와 반복적인 선과 색상을 입체적이며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개발하였으며 조형적이며 작품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창의적이며 독창적인 가방디자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조개의 형태, 질감 및 색상에서 표현된 다양한 이미지들로 구성하여 상업성이 강조된 대중적인 가방 디자인과 작품성이 강조된 가방디자인 으로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1장에서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내용에 관하여 논하였으며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가방의 일반적 고찰과 조개의 일반적 고찰로 나누었으며 가방의 정의, 역사를 알아보고 가방종류 및 조개의 종류, 조개의 조형적 형태, 질감 및 색상으로 분류 하였다. 가방은 소재, 생활스타일, 착용방법, 형태로 분류하였다. 조개는 부족강(이미패강), 복족강, 두족강, 다판강(쌍신경강), 굴족강의 5가지 강으로 분류하였다. 조개의 조형적 형태는 타원형, 원추형, 심장형, 난형, 나선형, 삿갓형, 방추형, 송곳형, 탑형, 주판알형, 구형, 삼각형으로 12형태로 분류하여 알아보았고 조개의 조형적 질감과 조개의 색상들은 주조색과 보조색, 그라데이션색 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조개이미지를 응용한 조형적인 디자인 사례로 조개 제품과 액세서리(브로치, 귀걸이, 반지, 목걸이, 모자, 구두), 의상, 가구, 건축, 가방 디자인을 국·내외 문헌자료와 인터넷자료를 통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이론적 배경과 조개이미지의 조형성을 이용하여 상업성이 강조된 대중적인 가방디자인 3점과 작품성이 강조된 가방디자인 3점으로 총 6점을 제작하였고 가방의 형태, 모티브, 색채, 소재, 제작기법 등을 중심으로 작품에 대한 해설을 하였다. 5장에서는 이상의 연구 과정을 통해 작품 제작을 하여 얻은 결론을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첫째, 조개에서 나타난 반복적인 선의 리듬감과 율동감을 주는 미(美)적인 요소는 조형적인 가방디자인으로 표현하기에 활용도가 높았다. 둘째, 조개의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인 곡선과 직선을 반복적인 배열을 통하여 가죽의 부드러운 재질감의 장점을 살려서 자연스러운 주름기법과 패딩누빔기법, 턱기법 으로 표현하여, 제작 함 으로써 조개의 질감을 입체적으로 표현 할 수 있었다. 셋째, 조개의 이미지를 응용하여 가방에 재구성하는 과정에 나타난 조개에서 나타난 색상은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며 여성용 가방으로 제작하기에 적합 하였다. 넷째, 조개의 아름다운 조형적인 형태에서 나타난 유기적인 곡선의 아르누보 양식은 여성용 가방으로 무한한 디자인의 가능성을 제시 할 수 있었으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디자인으로 개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조개의 이미지 에서 나타나는 유기적인 형태와 다양한 선의 반복적인 형태 특징과 아름다운색상은 조형적이며 창의적이고,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독창적인 가방디자인을 제작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조개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조형적인 형태와 질감 및 색상은, 현대적인 감각의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가방디자인으로 응용하기에 적합하였다. 앞으로 조개의 이미지를 다룬 다양한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하며 현대인의 정서에 맞게 다양한 조개문양 패턴의 가방디자인이 다양한 과학기술로 인하여 새로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beauty of nature has become the mother's womb of every sphere of the arts, and created many pieces of characteristic and artistic works reflecting the trend.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e studies and interests for naturalism and ecology have increased. At the early 90s, the studies were center...
The beauty of nature has become the mother's womb of every sphere of the arts, and created many pieces of characteristic and artistic works reflecting the trend.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e studies and interests for naturalism and ecology have increased. At the early 90s, the studies were centered mainly on the ecology of pure natural image emphasizing return to nature, but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90s, the new ecology emphasizing both natural and technical aspects became the main trend. With such studies, designs and cultural products employing images of nature have attracted the interests of people and many artists are striving to connect the human emotions with nature. In this study, seashells have been selected as images through recorded documents and studies devoted to the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of natural images which are characteristic as well as scarce. Among natural products, shells have the potential to be expressed in a variety of ways and are suitable for being expressed as a bag design. The literal meaning of a bag includes all of tools that are used to carry or transport a small volume of goods. In our modern world, a bag is not merely a functional tool that is used to carry belongings, but a tool that is fashionable and that emphasizes personal characteristics due to unique materials and designs used, and its functions and roles show the trend of being diversified and becoming of higher quality. Therefore, in this study I developed a tree-dimensional and modern design from the types, repeated lines and colors that emerged from the images of shells in order to create a bag design that emphasizes formativeness, functionality, and creativity, and that highlights the physical beauty innate to shells. Further, I intended to develop a notable bag design that is formative and creative coupled with aesthetic qualities and utilizability.. Also, I devised bag designs that can be popular among the people by emphasizing commerciality, and other type of bag designs that stressed the aesthetic quality composed of various images obtained from the forms, textures, and colors of shells In chapter 1. of this study, I discussed the purposes, method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nd in chapter 2,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 discussed bags and shells generally and respectively. I identified the definition and the history of bag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types of bags and shells, formative types, feelings and colors of shells. I classified bags according to raw materials, life styles, carrying methods and shapes. I classified shells into 5 Gangs including Bujokgang (Imipaegang), Bokjokgang, Dujokgnag, and Dapangang (Ssangsingyungang). Regarding the formative types of shells, I reviewed the shells by classifying them into 12 types like Oblong, Cone, Heart, Nan, Spiral, Satgat, Spindle, Gimlet, Pagoda, Bead, Circle, and Triange Type and regarding formative feeling and colors of shells, I reviewed the shells after classifying them into main color, accessory color and gradation color. In chapter 3. I researched and analyzed shell goods, accessories (brooches, earings, rings, necklaces, hats, shoes), clothes, furnitures, architects, bag design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recorded documents and studying in the internet. In chapter 4, I created a total 6 pieces of works, 3 of which were popular bag designs that emphasized commercial aspect employing theoretical backgrounds and formativeness of shell images and the other 3 of which are bag designs that emphasize cinematic quality and described the works based on the types of bags, motives, raw materials, manufacturing techniques etc. In chapter 5, I described the results that I obtained from the studies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follows. First, the rhythmic feeling of repeatedly recurring lines emerging from shells and aesthetic traits giving rhythmical senses exhibited a high level of applicability for expressing formative bag design. Second, the shell's textures could be expressed multi-dimensionally by producing bags employing natural wrinkle skill, padding-nubim skills, and the tuck skill, which highlight the merits of soft feeling of raw leather through repeated positioning of straight lines and curves which are formativ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images of shells. Third, the colors that emerged from shells in the process of recomposing and applying shell's image to bags were natural, beautiful and suitable for women's bags. Fourth, the Art Nouveau form of organic curve displayed in the beautiful, formative type of shells presents the indefinite design possibility for women's bag, and it was noted that such form can be used as a design coupled both with aesthetic qualities and appeal to the public. As such, I was able to devise distinctive bag designs equipped with both popularity and aesthetic qualities as well as formativeness and creativeness using organic forms and variously repeated lines and beautiful colors that originated from shell's images. The formative types and textures and colors that emerge from the images of shell's are suitable for applications in a bag designs which are creative, distinctive and of modern sense. I expect that various successive studies on shell's images will follow going forward, and that various bag design of shell types that favors preference of modern people, equipped with various scientific technologies, could be presented as a design that will produce high additional values.
The beauty of nature has become the mother's womb of every sphere of the arts, and created many pieces of characteristic and artistic works reflecting the trend. Especially in recent years, the studies and interests for naturalism and ecology have increased. At the early 90s, the studies were centered mainly on the ecology of pure natural image emphasizing return to nature, but during the latter part of the 90s, the new ecology emphasizing both natural and technical aspects became the main trend. With such studies, designs and cultural products employing images of nature have attracted the interests of people and many artists are striving to connect the human emotions with nature. In this study, seashells have been selected as images through recorded documents and studies devoted to the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of natural images which are characteristic as well as scarce. Among natural products, shells have the potential to be expressed in a variety of ways and are suitable for being expressed as a bag design. The literal meaning of a bag includes all of tools that are used to carry or transport a small volume of goods. In our modern world, a bag is not merely a functional tool that is used to carry belongings, but a tool that is fashionable and that emphasizes personal characteristics due to unique materials and designs used, and its functions and roles show the trend of being diversified and becoming of higher quality. Therefore, in this study I developed a tree-dimensional and modern design from the types, repeated lines and colors that emerged from the images of shells in order to create a bag design that emphasizes formativeness, functionality, and creativity, and that highlights the physical beauty innate to shells. Further, I intended to develop a notable bag design that is formative and creative coupled with aesthetic qualities and utilizability.. Also, I devised bag designs that can be popular among the people by emphasizing commerciality, and other type of bag designs that stressed the aesthetic quality composed of various images obtained from the forms, textures, and colors of shells In chapter 1. of this study, I discussed the purposes, methods and contents of this study and in chapter 2,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 discussed bags and shells generally and respectively. I identified the definition and the history of bags and 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 types of bags and shells, formative types, feelings and colors of shells. I classified bags according to raw materials, life styles, carrying methods and shapes. I classified shells into 5 Gangs including Bujokgang (Imipaegang), Bokjokgang, Dujokgnag, and Dapangang (Ssangsingyungang). Regarding the formative types of shells, I reviewed the shells by classifying them into 12 types like Oblong, Cone, Heart, Nan, Spiral, Satgat, Spindle, Gimlet, Pagoda, Bead, Circle, and Triange Type and regarding formative feeling and colors of shells, I reviewed the shells after classifying them into main color, accessory color and gradation color. In chapter 3. I researched and analyzed shell goods, accessories (brooches, earings, rings, necklaces, hats, shoes), clothes, furnitures, architects, bag design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recorded documents and studying in the internet. In chapter 4, I created a total 6 pieces of works, 3 of which were popular bag designs that emphasized commercial aspect employing theoretical backgrounds and formativeness of shell images and the other 3 of which are bag designs that emphasize cinematic quality and described the works based on the types of bags, motives, raw materials, manufacturing techniques etc. In chapter 5, I described the results that I obtained from the studies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follows. First, the rhythmic feeling of repeatedly recurring lines emerging from shells and aesthetic traits giving rhythmical senses exhibited a high level of applicability for expressing formative bag design. Second, the shell's textures could be expressed multi-dimensionally by producing bags employing natural wrinkle skill, padding-nubim skills, and the tuck skill, which highlight the merits of soft feeling of raw leather through repeated positioning of straight lines and curves which are formative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the images of shells. Third, the colors that emerged from shells in the process of recomposing and applying shell's image to bags were natural, beautiful and suitable for women's bags. Fourth, the Art Nouveau form of organic curve displayed in the beautiful, formative type of shells presents the indefinite design possibility for women's bag, and it was noted that such form can be used as a design coupled both with aesthetic qualities and appeal to the public. As such, I was able to devise distinctive bag designs equipped with both popularity and aesthetic qualities as well as formativeness and creativeness using organic forms and variously repeated lines and beautiful colors that originated from shell's images. The formative types and textures and colors that emerge from the images of shell's are suitable for applications in a bag designs which are creative, distinctive and of modern sense. I expect that various successive studies on shell's images will follow going forward, and that various bag design of shell types that favors preference of modern people, equipped with various scientific technologies, could be presented as a design that will produce high additional valu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