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결혼생활내의 갈등대처 방식을 유형화하고 갈등대처 유형이 개인이 속해있는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부의 갈등대처방식과 관련한 개인적 특성을 살펴본 후, 이것이 갈등대처방식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결정요인을 알아보았고 상담 및 임상현장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상담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대부터 60대 이상의 기혼자 5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부부갈등대처, 자아존중감, 부부의사소통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
본 연구에서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결혼생활내의 갈등대처 방식을 유형화하고 갈등대처 유형이 개인이 속해있는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부의 갈등대처방식과 관련한 개인적 특성을 살펴본 후, 이것이 갈등대처방식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결정요인을 알아보았고 상담 및 임상현장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상담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대부터 60대 이상의 기혼자 5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부부갈등대처, 자아존중감, 부부의사소통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카이검정(x²), 분산분석(ANOVA), K-평균 군집분석(K-means), 다항로지스틱 회기분석(Multinomial logit)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 대처유형은 복합대처형, 회피중심형, 이성대처형, 감정표출형의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어 각기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둘째, 부부 갈등대처 유형별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성별’,‘연령’, ‘자녀수’, ‘종교’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의 경우 회피중심형에 여성은 복합대처형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연령으로 보게 되면 20대는 이성대처형에 30대는 복합대처형, 40대는 이성대처형, 50대는 복합대처형, 60대 이상은 회피중심형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자녀수를 보게되면, 자녀가 없는 경우는 이성대처형이 가장 많은 반면 자녀가 있는 경우는 복합대처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기독교인 경우는 복합대처형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다른 종교들은 4개의 유형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셋째, 부부의 갈등대처유형별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복합대처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회피중심형을 구분하는 주요 변수로는 연령, 직업, 결혼지속년수, 종교, 부부의사소통으로 나타났으며 이성대처형은 직업, 결혼지속년수, 종교, 부부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정표출형은 직업, 자녀유무, 종교, 부부의사소통에서 복합대처형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의 대부분이었던 부부갈등대처양식과 관련한 변수들과의 상관 혹은 영향요인들에 관한 연구와는 달리 부부갈등대처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관련요인을 검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그러한 유형별 집단이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보여준 것은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상담적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실증적인 연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부부상담 혹은 가족상담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상담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혼자를 대상으로 결혼생활내의 갈등대처 방식을 유형화하고 갈등대처 유형이 개인이 속해있는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부의 갈등대처방식과 관련한 개인적 특성을 살펴본 후, 이것이 갈등대처방식을 어떻게 예측하는지 결정요인을 알아보았고 상담 및 임상현장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상담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대부터 60대 이상의 기혼자 52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부부갈등대처, 자아존중감, 부부의사소통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카이검정(x²), 분산분석(ANOVA), K-평균 군집분석(K-means), 다항로지스틱 회기분석(Multinomial logit)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갈등 대처유형은 복합대처형, 회피중심형, 이성대처형, 감정표출형의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어 각기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둘째, 부부 갈등대처 유형별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성별’,‘연령’, ‘자녀수’, ‘종교’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성의 경우 회피중심형에 여성은 복합대처형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연령으로 보게 되면 20대는 이성대처형에 30대는 복합대처형, 40대는 이성대처형, 50대는 복합대처형, 60대 이상은 회피중심형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자녀수를 보게되면, 자녀가 없는 경우는 이성대처형이 가장 많은 반면 자녀가 있는 경우는 복합대처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는 기독교인 경우는 복합대처형이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으며 다른 종교들은 4개의 유형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셋째, 부부의 갈등대처유형별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복합대처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회피중심형을 구분하는 주요 변수로는 연령, 직업, 결혼지속년수, 종교, 부부의사소통으로 나타났으며 이성대처형은 직업, 결혼지속년수, 종교, 부부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감정표출형은 직업, 자녀유무, 종교, 부부의사소통에서 복합대처형과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의 대부분이었던 부부갈등대처양식과 관련한 변수들과의 상관 혹은 영향요인들에 관한 연구와는 달리 부부갈등대처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관련요인을 검정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그러한 유형별 집단이 사회적 맥락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보여준 것은 임상 및 상담 현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상담적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실증적인 연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부부상담 혹은 가족상담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상담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intends to identify conflict coping types in marital life for the married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conflict copying types and social context belonged by individuals. To achieve them,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marital c...
This thesis intends to identify conflict coping types in marital life for the married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conflict copying types and social context belonged by individuals. To achieve them,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marital conflict coping types, investigate related variables how it expects conflict copying types, provide basic data in counseling and clinic sites and suggest counseling implications. To achieve those purpos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529 married people from 20s to 60s and their marital conflict coping, self-esteem and couple communication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d test(x²), ANOVA, K-means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1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bstracted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 coping types are divided into 4 groups; complicated coping type, avoid focusing type, reason coping type, emotion expressing type. And, each of them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Seco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marital conflict coping typ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gender’, ‘age’, ‘number of children’, ‘religion’. Men were distributed in avoid focusing type and women were distributed in complicated copying type the mostly. The 20s was distributed in complicated coping type, the 30s was distributed in complicated coping type, the 40s was distributed in reason coping type, the 50s was distributed in complicated coping type, more than the 60s was distributed in avoid focusing type the mostly. If there is any child, reason coping type was used the mostly, but if there are children, complicated coping type was used the mostly. Christians were distributed the mostly in complicated coping type, but other religions showed similar standard in all of 4 types. The third, related variables by marital conflict coping types were analyzed. As the result, main variables dividing avoid focusing types based on the complicated coping type are age, occupation, years of marriage continuing, religion and couple communication. Less than the 30s, office workers, less than 10 years for marriage continuing period, religions except for Christians, group with high score in couple communication showed higher possibilities to show complicated coping type than avoid focusing type. The variables dividing reason coping type were occupation, years of marriage continuing, religion and couple communication. In case of office workers, less than 10 years of marriage continuing, Roman Catholics, non-religion or other religions and group with high score in couple communication were related to reason coping type. And, for the emotion expression type, occupation, children, religion and couple communication were main variables. In case of office workers, non-children, non-religion or other religions, group with the lowest score in couple communication were related to emotion expression typ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identify marital conflict types and test related variables by types unlike most of the precedent researches for correlations with variables related to marital conflict coping types and effective factors. In addition, it's significant to show the relations of the identify group with social context because it can be basic data for providing more effectively counseling service on clinic and counseling site.
This thesis intends to identify conflict coping types in marital life for the married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conflict copying types and social context belonged by individuals. To achieve them,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marital conflict coping types, investigate related variables how it expects conflict copying types, provide basic data in counseling and clinic sites and suggest counseling implications. To achieve those purpos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529 married people from 20s to 60s and their marital conflict coping, self-esteem and couple communication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d test(x²), ANOVA, K-means cluster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1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abstracted as follows. First, marital conflict coping types are divided into 4 groups; complicated coping type, avoid focusing type, reason coping type, emotion expressing type. And, each of them shows different characteristics. Seco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y marital conflict coping type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gender’, ‘age’, ‘number of children’, ‘religion’. Men were distributed in avoid focusing type and women were distributed in complicated copying type the mostly. The 20s was distributed in complicated coping type, the 30s was distributed in complicated coping type, the 40s was distributed in reason coping type, the 50s was distributed in complicated coping type, more than the 60s was distributed in avoid focusing type the mostly. If there is any child, reason coping type was used the mostly, but if there are children, complicated coping type was used the mostly. Christians were distributed the mostly in complicated coping type, but other religions showed similar standard in all of 4 types. The third, related variables by marital conflict coping types were analyzed. As the result, main variables dividing avoid focusing types based on the complicated coping type are age, occupation, years of marriage continuing, religion and couple communication. Less than the 30s, office workers, less than 10 years for marriage continuing period, religions except for Christians, group with high score in couple communication showed higher possibilities to show complicated coping type than avoid focusing type. The variables dividing reason coping type were occupation, years of marriage continuing, religion and couple communication. In case of office workers, less than 10 years of marriage continuing, Roman Catholics, non-religion or other religions and group with high score in couple communication were related to reason coping type. And, for the emotion expression type, occupation, children, religion and couple communication were main variables. In case of office workers, non-children, non-religion or other religions, group with the lowest score in couple communication were related to emotion expression typ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identify marital conflict types and test related variables by types unlike most of the precedent researches for correlations with variables related to marital conflict coping types and effective factors. In addition, it's significant to show the relations of the identify group with social context because it can be basic data for providing more effectively counseling service on clinic and counseling sit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